소개글
"고등학교 재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나눔, 배려 등의 실천 사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그 사례를 통해 어떤 점을 느꼈는지 말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원봉사활동의 의미 및 필요성
1.1.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성
1.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교육적 의의
1.3.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및 실태
2.1.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유형 및 참여 현황
2.2. 자원봉사 인증터전 운영 및 상해보험 지원
2.3. 자기주도형 봉사활동 시범사업 추진
3.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1. 의식의 문제점: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부족
3.2. 교육 및 프로그램의 문제점: 체계적인 교육과 활동 부족
3.3. 지역사회 협력체계 미흡
4. 사회복지사로서의 자기 이해
4.1. 자신의 특성, 능력, 경험 돌아보기
4.2. 사회복지사로서의 강점 파악
4.3.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과 자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원봉사활동의 의미 및 필요성
1.1.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성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란 자발성, 공익성, 무보수성, 지속성 등의 특성을 지니는 활동이다. 즉, 개인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재능, 물질을 대가 없이 제공하여 지역사회나 공동체에 기여하는 것을 말한다. 자원봉사자들은 공공선을 추구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사람들로서,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자원봉사의 가장 큰 특성은 자발성이다. 자원봉사자는 스스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며, 강제나 의무에 의한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공익성을 들 수 있는데, 자원봉사는 개인의 이익보다는 공동체나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이루어진다. 또한 자원봉사는 무보수성을 지니는데, 금전적인 대가 없이 순수한 의도로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는 지속성을 갖는데, 일회성이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자원봉사는 자발적이고 공익적이며 무보수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으로, 개인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교육적 의의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학교교육 이외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획득하게 하고, 무보수의 활동을 통해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람 및 성취감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청소년의 긍정적인 인성개발에 도움을 준다. 여러 연구에서 자아존중감, 이타성, 사회성, 진로 선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청소년의 삶에 대한 행복도를 증진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은 자신의 내적 특성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자아존중감, 자기신뢰감과 같은 자아개념의 발달에 기여한다. 청소년은 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노력을 인정받고, 자신의 자아상과 타인이 자신을 볼 때의 태도에 있어 긍정적으로 형성하도록 돕는다. 또한 청소년은 봉사활동을 통해 집단에 기여하고 새로운 기술과 책임을 배우게 되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등 많은 책임과 통제권을 부여받는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부모 애착, 친구 애착과 같은 관계형성 및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청소년이 이타적인 삶을 살아가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나를 돕기 위한 동기를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이 성적이나 진학 및 취업을 위해 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보다 이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은 직업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통찰력을 얻게 되고 미래 직업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수 있게 되고, 이미 가진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며, 장래 진로 선택에도 도움을 받는다.
넷째,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은 가치 있는 삶을 직접 체험하여 그 의미를 깨닫고 실천 과정에서 기쁨과 보람을 느끼면서 이상적인 공동체 삶과 사회적 연대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청소년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공동체와 연결되어 있다는 의식과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질서의식 등을 기르게 된다.
즉,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학교교육 이외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과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함양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등 청소년의 전인적 발달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1.3.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시기인데, 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노력을 인정받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은 봉사활동에서 다양한 책임과 통제권을 경험하게 되면서 ...
참고 자료
김윤나, 박옥식(2009),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1(1), p77-79.
김향초(2015), “청소년복지론”, 학지사.
박은정(2015), "우리나라 청소년 자원봉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p95.
송은화(2014), “우리나라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p68-80.
여성가족부(2019), “2018 청소년백서”, p151-153.
이성은(2009),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0(2), 313-335.
이현숙(2000),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성호, 정태연(2010),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43-164.
청소년수련시설포털(http://youthnet.or.kr/) > 청소년시설소개
국제청소년센터 유스호스텔 사진, (http://www.iyc.or.kr/aboutus/about_us.jsp)
곡성청소년야영장 사진, (http://www.gokseongcamp.com/2-2.htm)
권선청소년수련관 사진, (http://www.syf.or.kr/web/index.do)
선부청소년문화의집 사진, (http://www.sunbuyouth.or.kr/)
김정진 외(2007).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서현사
지방자치시대의 사회복지관의 역할, 현재의 문제,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과제 / 차용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