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진단
1.1. 간호 문제 제시
지역사회 간호진단에서 간호 문제 제시는 지역사회 보건의료 문제를 사업명으로 제시하는 단계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지역사회의 주요 간호 문제로는 "낮은 금연실천율"과 "낮은 칫솔질 실천율"이 제시되고 있다.
"낮은 금연실천율"은 지역의 현재 흡연율이 22.8%로 높은 편이나, 1개월 내 금연계획률과 금연 시도율이 낮다는 점에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즉, 지역 주민들의 금연 실천 및 행동 변화가 미흡한 것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한편 "낮은 칫솔질 실천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어제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이 낮고, 저작불편 호소율이 높다는 점에서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구강관리 행태가 적절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관련 요인 및 원인 파악
낮은 금연실천율과 낮은 칫솔질 실천율은 관련 요인 및 원인이 다음과 같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낮은 금연실천율의 관련 요인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연에 대한 동기부여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흡연율이 높고 1개월 내 금연 계획률과 금연 시도율이 낮아 금연에 대한 필요성과 실천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연 지원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직장이나 가정 등에서의 금연 지원이 부족하고 보건소 내 금연클리닉 이용률도 낮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금연에 대한 지식과 기술 부족으로 실천율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성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전략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금연실천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낮은 칫솔질 실천율의 관련 요인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 건강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이 부족하다. 다른 지역에 비해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이 낮고 저작불편을 호소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 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구강 관리를 위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다. 적절한 칫솔질 방법과 구강위생 관리에 대한 교육이 충분하지 않아 실천율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구강 관리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부족할 수 있다. 바쁜 일상 속에서 구강 관리에 소홀해지거나 구강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요인들이 지역 주민들의 낮은 칫솔질 실천율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문제별 우선순위 설정
문제별 우선순위 설정은 간호 문제의 크기, 심각도, 사업추정효과 등을 평가하여 각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문제의 크기, 심각도, 사업 추정 효과 등 3가지 요소를 점수화하여 합계 점수(BPRS)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먼저 문제의 크기는 건강문제를 지닌 인구의 크기를 평가하여 10점 만점으로 점수화한다. 문제의 심각도는 매우 심각한 경우 9-10점, 심각한 경우 6-8점, 보통인 경우 3-5점, 심각하지 않은 경우 0-2점으로 평가한다. 사업 추정 효과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매우 효과적인 경우 9-10점,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경우 7-8점, 효과적인 경우 5-6점, 효과성이 낮은 경우 3-4점, 비교적 비효과적인 경우 1-2점, 거의 효과가 없는 경우 0점으로 점수화한다.
그 다음으로 이 3가지 요소의 점수를 합산하여 BPRS(Blended Priority Rating Scale)를 구한다. BPRS는 (A+2B)xC 공식으로 계산되며, A는 문제의 크기, B는 문제의 심각도, C는 사업추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BPRS 점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토대로 제시된 사례에서는 낮은 금연실천율 문제가 BPRS 168점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받았고, 낮은 칫솔질 실천율 문제가 BPRS 140점으로 2순위로 결정되었다. 이처럼 간호 문제의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지역사회 간호계획
2.1. 목표 설정
지역사회 간호계획에서 '2.1. 목표 설정'은 간호문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먼저 간호진단 결과 도출된 지역사회의 주요 문제인 "낮은 금연실천율"과 "낮은 칫솔질 실천율"에 대한 일반적 목표와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일반적 목표로 "금연 시도율을 2021년 19.5%에서 2023년까지 24.5%로 올린다"와 "8020 구강건강 실천율을 2021년 54.1%에서 2023년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