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버지의 사랑이 담긴 사진첩
1.1. 현상해서 사진첩에 담긴 가정의 추억
현상해서 사진첩에 담긴 가정의 추억이다. 최근에는 사진을 거의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디지털 파일 형태로 저장해 놓다 보니 현상된 사진을 보는 것이 힘들어졌다. 하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사진이란 현상해서 사진첩에 넣어놓는 것이었다. 특히 아버지가 사진이나 카메라에 관심이 많으시고 사진 찍는 게 취미였던 덕에 우리 집에는 현상된 사진이 무척 많이 보관되어 있다. 아버지가 쓰시던 카메라는 꽤 좋은 카메라여서 가격이 꽤 있는 편이었는데 그 카메라 값보다 아마 사진 현상하느라 든 비용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오죽하면 아버지는 사진 현상하는 법을 직접 배워 볼까 싶으셨다고도 한다.
1.2. 아버지의 사진철학과 가족에 대한 사랑
아버지의 사진철학과 가족에 대한 사랑이다.
아버지의 사진철학은 단순히 사진을 찍는 것뿐만 아니라 현상하고 정리하는 것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아버지는 찍힌 사진들을 골라내지 않고 전부 현상하셨는데, 이는 의도치 않은 사진의 가치를 높게 치셨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이러한 철학은 가족에 대한 사랑이 담겨있었다. 아버지가 찍은 모든 순간이 사진첩에 고스란히 담겨있는데, 이는 가족의 모습을 빠짐없이 기록하고자 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반영된 것이다.
디지털 사진과 달리 현상 사진은 찍힌 순간을 온전히 담아내며, 이를 통해 아버지의 가족에 대한 애정이 드러난다. 아버지는 우리가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순간들까지 모두 소중히 간직하셨다. 이는 가족의 모든 순간이 귀하고 사랑스러웠다는 뜻이기도 하다. 심지어 아버지는 사진을 현상하는 법까지 직접 배우셨는데, 이를 통해 사진을 통한 가족 기록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사진첩에는 아버지의 글씨도 함께 남겨져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녀의 성장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사진첩에는 가족에 대한 아버지의 깊은 애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아버지가 만들어주신 이 소중한 기록은 단순한 사진첩이 아닌, 가족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3. 사진첩을 통해 드러나는 가족의 성장과 변화
사진첩을 통해 드러나는 가족의 성장과 변화"
사진첩에는 아버지의 사진철학과 가족에 대한 사랑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아버지는 단순히 사진을 찍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현상하고 정리하는 것까지 포함하여 사진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다. 사진첩에는 아버지가 가족들과 함께 찍은 사진들이 연대기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성장과 변화를 고스란히 엿볼 수 있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과 함께 찍은 사진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모님이 가족사진을 자주 찍었고, 그 때마다 부모님의 모습도 함께 담겨 있다. 이를 통해 부모님의 모습을 추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친구들과 함께 찍은 사진들이 늘어나고, 사춘기를 겪으며 가족사진을 찍기를 꺼려했던 시기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 돌이켜보면 그때의 모습이 정작 가장 예뻤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성장하면서 내가 쓴 글귀들도 사진첩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 앨범을 펼치면 처음 글씨를 쓸 수 있게 된 이후부터 점차 단정해지는 글씨를 통해 내가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알 수 있다. 이처럼 사진첩에 담긴 가족들의 모습과 글귀를 통해 가족의 성장과 변화의 궤적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사진첩이 가족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가족에 대한 애정과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소중한 보물이다. 특히 어린 시절의 모습이 담겨 있는 사진첩은 그 시절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이처럼 사진첩은 가족의 성장과 변화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창구인 것이다.
1.4. 사진첩이 담고 있는 부모님의 애정
사진첩을 살펴보면 내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가족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부모님께서는 나와 가족들을 위해 어려움을 마다하지 않고 항상 자신의 모습을 사진에 담아주셨다. 그리고 그렇게 촬영된 사진들을 정성스레 사진첩에 모아두셨다. 부모님의 목적은 단순히 추억의 매체를 남기는 것뿐만이 아니었다. 그 속에는 나와 가족들에 대한 부모님의 깊은 사랑과 애정이 녹아있다.
어린 나에게 부모님이 사진을 찍고 사진첩을 만드시는 모습은 당연한 일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 어른이 되어 그 순간들을 돌이켜보면, 부모님께서는 그 자리에 계시면서 가족들과 함께 있는 시간들을 기록하고자 하셨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버지의 경우 평소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셨기에 어린 시절 나와 가족들을 향한 그분의 각별한 관심과 애정이 더욱 잘 드러난다.
아버지께서는 사진을 찍으실 때마다 피사체가 될 가족들의 표정과 자세, 감정까지도 세심하게 관찰하셨다. 그리고 그것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포착하고자 하셨다. 때로는 의도치 않은 사진일지라도 가족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자 하셨다. 이렇듯 아버지께서는 단순히 이미지만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그 순간의 감동과 추억을 고스란히 담아내고자 하셨다.
사진첩을 펼쳐보노라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리 가족의 모습이 점점 변화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릴 때의 천진난만한 모습에서 점점 성장해 나가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리고 그 변화 속에서 부모님의 변함없는 애정과 관심도 읽을 수 있다.
사진첩 속 가족의 모습은 부모님의 사랑과 정성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셈이다. 비록 누군가의 눈에는 그저 평범한 가족사진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 안에는 부모님께서 우리 가족을 향한 숨결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언제나 우리 곁에 계시며 우리를 지켜보시는 부모님의 모습이 사진첩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2. 교복 단추에 담긴 약속
2.1. 중학교 시절 교복 단추 나누는 풍습
중학교 시절 교복 단추 나누는 풍습"은 일본에서 건너온 문화로, 좋아하는 사람에게 졸업식에서 교복 단추를 선물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좋아하는 남학생에게 졸업식에서 두 번째 단추를 받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단추 중에서도 두 번째 단추가 선택된 이유는 그 위치상 심장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었다. 즉, 단추를 건네는 행위가 심장을 건네는 행위에 빗대어지는 것이었다.
2000년대 초반 한국에서도 이러한 일본의 문화가 유입되었고, 중학교 내에서 누군가의 교복 단추를 받는 풍습이 퍼졌다. 당시 한국의 청소년들은 만화책을 통해 이런 이야기를 접했고, 좋아하는 사람에게 졸업식에 단추를 선물하는 풍습을 따랐다.
중학교 졸업 무렵 헤어질 것 같아 불안해하던 주인공은 예비신랑이 자신의 교복 단추를 목걸이에 달아 선물하면서 "졸업식에 단추를 받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며 위로의 말을 건넸다. 이처럼 중학교 시절 교복 단추를 나누는 풍습은 두 사람의 만남과 사랑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 있는 상징이 되었다."
2.2. 예비신랑과의 만남과 교복 단추 선물
중학교 때 내게 교복 단추를 뜯어서 선물해 준 예비신랑은 몇 달 후면 내 남편이 된다. 오래 연인이자 올해 12월 내 남편이 될 예비신랑은 참 세심하고 다정한 남자이다. 그와 내가 처음 만난 것은 중학교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학교 입학하자마자 같은 반이었던 우리는 이후 사이좋은 친구로 지내다가 연인 사이로 발전하게 되었다. 먼저 고백한 건 예비신랑이었는데, 사실 내 쪽도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