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와 현대제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포스코와 현대제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기업 소개
2.1. 포스코
2.2. 현대제철
2.3. 동국제강

3. 산업분석
3.1. 산업 개요
3.2. 산업 구조 분석
3.3. 산업 분석 결론

4. 경쟁력 분석
4.1. 시장지위 및 경쟁력
4.2. 시장점유율
4.3. 해외진출 현황
4.4. SWOT 분석
4.5. 내부경쟁력원천

5. 재무분석
5.1. 성장성지표
5.2. 재무구조 및 안정성
5.3. 수익성지표
5.4. 재무분석 결론

6. VRIO 분석
6.1. VRIO 분석의 개념
6.2. 경쟁기업의 VRIO 분석
6.2.1. 포스코
6.2.2. 현대제철
6.2.3. 동국제강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과 글로벌화 추세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은 내·외부적인 환경의 급격한 다변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국가 간의 거래 확대와 수요산업의 구매패턴 변화, 그리고 기업 간의 심화되는 경쟁으로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영환경 속에서 각 기업은 새로운 가능성과 위기를 느끼며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새로운 경영전략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은 기업에게 있어서 기회로 활용되거나 위협을 감소시켜 주는데, 소수의 경쟁 기업에서만 소유하고 있어 모방비용이 비싸거나 공급이 비탄력적인 상황에서 확보한 해당 자원들은 기업의 경쟁우위적인 기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기업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핵심역량인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하고, 이를 정확히 분석하여 대응하는 것은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데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 기업 소개
2.1. 포스코

포스코는 1968년 4월에 설립한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회사로, 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로 성장해 선진화의 시기를 거치면서 중추 산업으로 발전했다. 현재 연간 4,700만 톤의 조강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국내 1위의 철강사이자 조강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5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우수기업이다.

포스코는 스마트화 중심의 효율적인 생산시스템과 월드클래스 기술력, WTP(World Top Premium) 제품과 극한의 비용 혁신, 글로벌 인프라 사업의 재편에 따른 그룹사들의 시너지 창출 등을 핵심역량으로 보유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신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게 하고, 최적의 공정 조건으로 공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 설비의 자동화와 함께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포스프레임' 및 '스마트 용광로'는 모방이 어려운 기술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9년 기준 포스코의 영업이익은 2.6조 원이며, 영업이익률은 8.5%를 기록했다. 또한 연결 기준의 영업이익은 3.9조 원으로 경쟁사 대비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프리미엄 철강제품군 WTP의 판매 확대와 함께 원가 경쟁력 향상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포스코는 국내외 철강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 안정적인 재무구조 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나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현대제철

현대제철은 1953년 6월 10일에 '대한중공업 공사'로 출발하여 1962년 11월에 인천중공업으로 회사명을 정했으며, 1970년 4월에 인천제철과 합병해 현재의 현대제철로 성장·발전하였다. 1978년 철강사업의 진출을 희망하던 현대그룹에 인수되었고, 외환위기 때도 경영진들의 공격적인 경영으로 강원산업과 삼미특수강을 차례로 인수하였다.

강원산업의 인수로 800만 톤에 육박하는 생산능력을 갖추었고, 국내 초대형 철강회사로 변신하였으며, 세계 2위의 전기로 업체가 될 정도의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삼미특수강을 인수하면서 스테인리스 생산능력까지 보유하게 되었고, 2001년 새롭게 출범한 현대자동차그룹의 일원이 되어 혁신적인 제2의 창업 선언과 함께 사명을 'INI STEEL COMPANY'로 변경하게 되었다.

2004년에 한보철강을 M&A하고 인수 후 7개월 만에 열연강판의 상업 생산을 성공하였으며, 열연공장의 조기 정상화와 일관제철소 건설 착수로 국내 최초의 민간 일관제철소 사업에 진출하였다. 2006년에 사명을 '현대제철'로 바꾸었고, 40개월 만인 2010년 1월에 제1고로를 화입하고, 11월에 제2고로에 불씨를 지폈다. 2013년 9월에 연산 1,200만 톤규모의 제3고로 건설을 완료하며 국내 최초로 민간 자본에 의한 일관제철소를 완공하게 되었다.

뒤이어 현대하이스코의 냉연부문을 분할 합병하고, 2015년 당진에 특수강 공장을 건설하면서 연산2,400만 톤의 규모로 세계 최고의 자동차 소재 전문제철소로 도약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제철은 국내 최초로 민간의 자본에 의해 만들어진 민간 일관제철소를 보유함으로써 기업의 역사적인 노하우와 경험 속에서 또 다른 차별화와 경쟁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되었다.


2.3. 동국제강

동국제강은 1954년 7월에 설립되어 1960년대부터 큐폴라로를 시작하였으며, 1971년에는 국내 최초 후판 사업에 진출하면서 판재류와 봉형강류로 사업을 재편하였다. 2015년에는 유니온스틸과의 합병을 통해 기존의 열연 철강 제품에서 냉연강판의 제조 및 판매업까지 사업을 확장하게 되었다. 후판 사업은 당진공장으로 집약하고 포항의 2후판 공장은 가동을 중단하는 등 사업구조를 재편하면서 수익성 위주로 개편하여 차별화와 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동국제강은 철강업계 최초로 컬러강판의 브랜드 '럭스틸'을 도입하여 기존의 보수적인 철강의 영업방식에서 브랜드 마케팅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혁신적인 제품을 만드는 고객중심의 마케팅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과 차별화되는 마케팅을 추진함과 동시에 지역전문가를 양성해 미개척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적극적인 현지 활동으로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기로만 보유하던 동국제강은 철광석 공급사인 발레와 포스코의 합작으로 2016년 6월에 브라질 세아라주에 고로 제철소인 CSP 제철소를 건설하였다. 이를 통해 후판 원재료인 슬라브(중간재)를 직접 생산함으로써 후판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였다.

이와 같이 동국제강은 기존 보수적이었던 철강 산업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제품과 브랜드 마케팅, 수직계열화 전략 등을 통해 차별화와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3. 산업분석
3.1. 산업 개요

산업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 건설 등 전반적인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대표적인 기간산업이다. 1960년대 이후 경제발전과 더불어 국내 철강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철강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거대한 설비투자가 필요하고, 경기변동에 후행하기 때문에 설비투자와 구조조정이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철강산업은 전방후방산업 연쇄효과가 크고, 필수재 산업의 성격상 경기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편이다.

2010년 이후 세계 철강 수요는 지속적...


참고 자료

www.posco.co.kr /포스코
http://www.kosa.or.kr/ 한국철강협회
http://www.kiet.re.kr/ 산업연구원
http://kepc.re.kr/infoDB/ 엔지니어링플랜트기술센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419&mobile&categoryId
=200000180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65
http://paxnet.moneta.co.kr/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102509450569008&nvr=Y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4735565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92809321841008&nvr=Y
http://www.korearatings.com/index.jsp
http://www.kisrating.com/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2/10/20121024157909.html
http://vip.mk.co.kr/newSt/price/price_corp_frame_kc.php?flag=5&code=A005490
http://vip.mk.co.kr/newSt/price/price_corp_frame_kc.php?flag=5&code=A004020
박홍윤, 조직을 위한 전략적 관리 기법 200가지, 이담북스, 2013.3.
신형덕,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스마트북스, 2016,
안광호, 마케팅원론, 학연사, 2018.
장세진, 경영전략, 박영사, 2020.
최영철(2020).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POSCO의 핵심역량 분석 -VRIO 모형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동국제강...업계 최초 컬러강판 생산·전략적 ‘브랜드 마케팅’ 확대, 경향비즈, 2015.10.2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