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대생 논문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교육과 생명윤리의식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3. 연구의 결과
1.4. 논의 및 제언
1.5. 결론
2.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2.1.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2.2.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2.3. 임상실습 만족도
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3.1. 무례함,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스트레스
3.2.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교육과 생명윤리의식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교육과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인간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인은 윤리적 문제에 노출됨에 따라 최선의 윤리적 결정이 요구된다. 이에 생명의 존중과 윤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오고 있으며, 의료현장에서 윤리적 가치판단을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요소로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교육을 들 수 있다. 간호에서 윤리교육의 핵심은 건강관리 현장에서 요구되는 도덕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하기 위해 도덕적으로 민감하고 윤리적 소양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대학에서도 현실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임상현장에서 빈번하게 직면하게 되는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하여 비판적 사고를 통한 윤리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간호학생 및 간호사들은 이러한 문제에 적절히 준비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한국에서는 윤리강좌가 독립 교과목으로 개설되지 않은 교육기관이 많고 윤리를 가르치는 교육자 자신도 간호윤리를 전공한 사람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공과목으로 개설된 생명윤리학 교육을 통하여 생명윤리주제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미래에 보건의료현장에서 접하는 갈등상황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내포된 것을 식별해 낼 수 있는 윤리적 민감성과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틀인 생명윤리 교육의 교수 및 학습방향을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G 시에 소재하고 있는 K대학교 간호보건대학 재학생으로, 전공 교과 중에서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과 비 수강자 전수이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대상에게 연구의 목적과 응답의 비밀보장과 참여자로서의 권리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설문지에 서명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05월 29일에서 06월 1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재학생 총 600명 중 실습 중인 3학년 160명과 각 학년의 A,B반을 제외한 200명 중 200명(100%)이 설문에 응했으며, 불완전하게 응답한 설문지는 없었으며, 총 200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1.3.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생명윤리의식은 위의 표와 같다. 생명윤리과목 수강 학생과 비 수강 학생의 생명윤리의식 차이는 인공임신중절(t=5.14,p=.000), 신생아의 생명권(t=4.222,p=.000, t=3.103,p=.002), 안락사(t=3.292,p=.001), 장기이식(t=4.341,p=.000), 태아진단(t=3.244,p=.001) 총 49문항 중 6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비 수...
참고 자료
김예진, 이명남.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 11(10) : 312-323.
조미경.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2013 ; 11(4) : 311- 320.
안혜영, 조병선, 최숙희.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8 ; 14(1) : 98-107.
하주영, 김동희, 황선경.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 ; 15(2) 216-224.
이원희, 한성숙, 김용순, 김분한, 지성애, 엄영란, 안성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01 ; 4(1) 1-14.
Kim, Y. S., Park, J. W., You, M. A., Seo, Y. S., & Han, S.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confronted by korean hospital staff nurses. Nurs Ethics, 2005; 12(6) : 595-605.
이주열. 생명의료 윤리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보건복지포럼 1999 ; 28 : 32-39.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의과대학교육현황 제 13집. 2004-2005.
손화철.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교육 실태분석. 철학사상 2007 ; 24 : 156.
권복규.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06 ; 9(1) : 60.
소병욱, 박현숙.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조사연구. 가톨릭사상 2004 ; 30 : 345-350.
권선주.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구 : 2003.
안혜영, 조병선, 최숙희 외.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윤리 의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8 ; 14(1) : 98-107.
문미영, 정애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및 생명의료 윤리의식과의 관련성 조사연구. 생명윤리 2012 ; 13(2) : 49.
유명숙, 손기철.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생명윤리 2011 ; 12(2) : 62.
권윤희.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9 ; 23(2) : 262-272..
최화영.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2011.
정하윤, 정귀임. 간호대학 신입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2 ; 6(4) : 37-48.
전현숙. 간호대학생과 비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식. 기본간호학회지 2011 ; 18(3) : 401-410.
유명숙, 손기철.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생명윤리 2011 ; 12(2) : 62.
Gorovitz S. Bio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Monist 1977 ; 60(1) : 3-15.
권선주.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구 : 2003.
이영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 1990
이규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 2002
최창섭. 강릉시내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명윤리 의식. 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강릉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