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통증관리 교육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관절통증 관리
1.1. 관절통증이란?
1.2. 약물요법
1.3. 비약물요법
1.4. 식이요법
1.5. 관절통증 운동의 원칙
2. 자궁근종의 간호관리
2.1. 자궁근종의 정의
2.2. 자궁근종의 원인
2.3. 자궁근종의 임상증상
2.4. 자궁근종의 진단
2.5. 자궁근종의 의학적 관리
2.6. 자궁근종의 간호중재
3. 성인간호학 실습 신우신염 케이스
3.1. 간호력
3.2. 신체검진
3.3. 검사소견 & BST & 약물요법
3.4. Problem List
3.5.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4. 자궁근종 급성통증 고체온 사례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과정
4.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관절통증 관리
1.1. 관절통증이란?
관절통증이란 관절이 움직일 때 충격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뼈 끝에 붙어있는 연골이 외상 또는 노화로 인해 손상되어 발생하는 통증이다. 관절 표면의 탄력성이 저하되면 뼈의 표면이 직접 관절면에 닿게 되고, 마모되어 떨어져 나온 뼈나 연골의 조각들이 관절강 안에서 떠다님에 따라 통증이 생기게 된다. 관절 주변의 근육, 건, 인대 등도 함께 손상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관절통증의 원인은 주로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외상 등이며, 증상으로는 관절 움직임 시 통증, 관절 부종, 관절 강직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관절통증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1.2. 약물요법
관절통증의 약물요법은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들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아세트아미노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이 있다.
NSAIDs는 관절통증 및 염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디클로페낙 등이 대표적이다. NSAIDs는 통증 경감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만 장기 복용 시 위장관 출혈, 신장 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복용해야 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통증 및 발열 해소 효과가 있으며, 위장관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관절통증 관리에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과량 섭취 시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강력한 소염 및 진통 효과가 있어 관절강 내 주사나 경구 투여로 사용된다. 그러나 장기 복용 시 골다공증, 당뇨,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치의의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관절통증 관리를 위해 이러한 약물요법을 적절히 활용하되, 부작용 발생에 주의를 기울이고 약물 복용 후 효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약물 선택 및 투여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1.3. 비약물요법
비약물요법은 약물 투여 없이 관절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운동, 체중조절, 휴식, 물리치료 등이 포함된다. 먼저, 운동은 관절의 통증을 줄이고 유연성과 근력을 증가시키며 혈류 흐름을 향상시킨다. 체중감소는 체중을 받쳐야 하는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주어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운동성을 높인다. 또한 적절한 수면은 관절염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리치료는 열과 냉의 적용, 전기적 자극, 마사지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활용된다. 이 외에도 온열요법 후 운동을 시행하여 관절 범위를 최대화하고, 즐겁게 운동하며 점진적으로 운동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이 발생하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자세를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특히 추천되는 운동으로는 걷기, 수영, 등산, 자전거 타기 등이 있다. 걷기는 허리를 받치는 근육을 강화하여 요통 완화에 효과적이며, 수영은 물의 부력이 체중에서 받는 충격을 줄여주고 전신 근육을 강화한다. 등산은 척추를 바르게 펴주고 관절을 강화시키며, 자전거 타기는 척추에 이상적인 자세를 취하게 한다.
이처럼 다양한 비약물요법을 통해 관절통증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상황과 증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식이요법
관절통증의 식이요법은 관절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양소로는 철분, 칼슘, 비타민 C, 콜레스테롤 등이 있다.
철분은 연골형성에 필수적이며, 철분 섭취량이 부족하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어 관절통증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철분이 풍부한 식품인 녹색 채소, 콩, 렌즈콩, 붉은 고기 등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슘은 뼈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므로, 우유, 요구르트, 치즈와 같은 유제품과 녹색 채소, 견과류 등에서 칼슘을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C는 연골 생성에 도움이 되므로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콜레스테롤과 지방은 과도하게 섭취하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저지방 식단을 유지하고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 견과류, 올리브유 등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설탕과 소금 섭취를 줄이고 전곡물, 과일,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식이요법을 통해 관절 건강을 증진시키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1.5. 관절통증 운동의 원칙
관절통증 운동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열요법 후에 운동한다. 온열요법은 관절의 강직을 줄이고 통증을 경감시키므로 온열요법 후에 운동하면 관절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둘째, 즐겁게 운동한다. 지루하거나 힘든 운동은 장기적으로 지속하기 어려우므로, 대상자가 즐길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운동량을 점차적으로 늘린다. 1회 운동시간은 30~40분씩 주 5~7회 실시하여 운동을 습관화한다. 처음부터 무리한 운동량을 요구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
넷째, 통증이 오면 운동을 중단한다. 통증이 발생하면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다섯째, 본인이 할 수 있는 자세로 한다. 관절의 가동범위와 능력에 따라 적절한 운동 자세를 선택해야 한다. 무리한 자세는 오히려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을 지켜 관절통증 운동을 시행한다면 관절 기능 향상과 통증 경감에 효과적일 것이다.
2. 자궁근종의 간호관리
2.1. 자궁근종의 정의
평활근종(leiomyomas)은 섬유성 종양, 섬유종, 근종, 섬유성 근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자궁근육조직에서 느리게 성장하는 양성 종양이다. 이 종양은 생식기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50세 이후에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흑인과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 및 과체중 여성에게서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이 종양은 악성 종양으로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난소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임신을 하는 경우나 호르몬 치료를 받는 여성의 경우 상당히 커질 수 있다. 폐경기 이후에는 순환하는 난소호르몬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종양 크기가 자연적으로 작아진다."
2.2. 자궁근종의 원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양은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으며, 인종적으로 흑인인 경우, 임신 경험이 없는 경우, 과체중 여성의 경우 호발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활근종이 발생하는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양은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임신 호르몬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 종양이 자라날 수 있다. 또한 인종적으로 흑인인 경우, 임신 경험이 없는 경우, 과체중 여성의 경우에 자궁근종이 호발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이는 호르몬 분비 및 대사 과정, 면역 기능, 염증 반응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2.3. 자궁근종의 임상증상
자궁근종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자궁근종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종양이 매우 크면, 복강 내 혈액순환에 장애를 주고, 주변 장기의 위치가 바뀐다. 여성은 허리 통증과 하복부 압박감, 변비, 요실금, 월경곤란증(생리 시 통증)을 호소한다. 오심, 구토는 종양이 소장을 압박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크기가 클 경우 복부에서 종양이 촉진될 수도 있다. 과다 출혈이 있을 경우 빈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육경성 종양은 뒤틀리거나 괴사를 일으켜 통증을 유발한다. 섬유종은 착상과 임신의 유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임신기간 동안 종양은 조산, 유산, 난산 등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증상의 심각성은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르다.
2.4. 자궁근종의 진단
자궁근종의 진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복강경 검사는 자궁의 종양과 난소의 종양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초음파 검사는 염증성 종양과 자궁내막증, 장막하 섬유근종을 구분하는데 이용된다. 자궁난관 조영술은 자궁과 난관 안쪽의 ...
참고 자료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영(2014). 성인간호학 상권. 제 6판. 현문사.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현경선,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2012). 성인간호학Ⅰ. 일곱째판. 수문사.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정여숙, 양복순, 공은숙, 형희경, 이정옥, 양면석, 임경자, 최미숙, 정수경(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3판. 현문사.
임난영, 강현숙, 오세영, 김원옥, 김종임, 이숙희, 서길희, 강희영, 김상희, 김선애, 백설향, 신수진, 이경희, 이명희, 정현철, 제미순, 함미영, 김선애, 성거미 공저(2012). 근거기반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수문사.
이은옥, 서문자, 김매자, 김채숙, 한경자, 박영숙, 전명희(2008). 간호진단과 중재. 14쇄 발행.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서길희, 선정주, 손정태, 송정희, 이경민, 이은주(2011). 간호과정 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 아산병원 질환 백과 - 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1
국가보건정보포컬 건강/질병 정보 - 담낭염(cholecystitis) :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4090&subIdx=1&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No=&category=&category_code=&dept=&sortType=date&page=1&searchField=&searchWord=
기사 - 월간암 : 김진하 기자 기사입력: 2014년02월28일22시07분
http://www.cancerline.co.kr/html/10342.html
안숙희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I 제12판, 현문사, 2021
안숙희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II 제12판, 현문사, 2021
하영수 외, 모성신생아·여성건강간호학Ⅰ, 신광출판사, 2009
조수희 외, '자궁근종으로 진단된 환자의 치료 선호도 및 치료방법에 관한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Park, Seung Yeon, and Min Chung. "Can gum chewing reduce postoperative ileus after open abdominal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77.5 (2009): 306-309.)
김승호, et al. "부인과적 개복 수술 후 장 기능 회복에 미치는 N2O 의 효과."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2.3 (2007): 156-159.)
신용순, et al. "성인 발열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 지침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 25.3 (2013).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제4판, 현문사, 2021
성미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2020
미즈메디병원 병동업무지침서: 메뉴별 수분 함량표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