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드너 다중지능이론 기본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1.1. 다중지능이론의 기본 원리
1.2. 가드너의 9가지 지능
1.3.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2.1. 이론의 특징
2.2.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5단계)
2.3. 동기위계설의 교육적 시사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1.1. 다중지능이론의 기본 원리
다중지능이론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은 단일한 능력 요인 또는 다수의 능력 요인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지능이 아닌, 서로 별개로 구분되는 다수의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드너는 인간의 지능이 다양하며, 이를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지능이 하나의 단일한 능력으로 정의될 수 없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둘째, 가드너는 8가지 지능이 각각 독립된 체제로 기능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한 분야에서 뛰어난 지적능력을 보이더라도 다른 분야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지능검사와 차별화되는 점으로, 전통적인 검사에서는 특정한 능력만을 평가하지만, 가드너의 이론은 다양한 지능 분야를 독립적으로 평가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한다.
셋째, 각각의 지능이 독립적으로 기능한다고 해서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지능들은 서로 상호작용한다. 실제 활동에서는 여러 지능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농구선수는 신체 운동 능력뿐만 아니라 팀워크를 위한 대인관계 능력도 필요하다. 즉, 농구 시합 중 신체 운동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면서도 상호 보완하여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낸다.
이처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각 개인의 독특한 지적 능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지능의 개념을 다원화하고, 기존의 획일화된 지능 평가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였다.
1.2. 가드너의 9가지 지능
가드너의 9가지 지능은 언어 지능, 논리-수학 지능, 음악 지능, 공간 지능, 신체-운동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 탐구 지능, 자기실존 지능으로 구성된다.
언어 지능은 말과 글을 사용하여 생각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언어의 소리, 리듬, 기능 등을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 지능은 시인, 언론인, 문학가 등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동화구연, 독서, 글쓰기 등의 학습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논리-수학 지능은 논리적 사고와 수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
참고 자료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재⌟ 학지사, 2009
신명희, 강소연 외 3명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하워드 가드너 ⌜다중지능⌟ 유경재 외 1명 역, 웅진지식하우스, 2007
유구종, 조희정 <유아교육에서의 다중지능 접근 활동과 평가를 통한 통합교육 방안>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7 pp: 51-72
허지연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교수·학습모형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전용오, 여태철, 황매향(2020). 『교육심리학』. 서울: 방송대 출판문화원.
김임순 외 1명(201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학연구,.
박효정(2006). 『다중지능 이론과 수업』. 양서원.
이윤정(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이해중(2020). 『교실 심리학』. 푸른칠판.
전용오, 여태철, 황매향(2020). 『교육심리학』. 서울: 방송대 출판문화원.
김준오, “Howard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통합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2008.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공병규,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의 학습 지도안 개발”. 2012.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숙경.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 : 전통적 지능 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2004. 창원대학교
姜素英. "매슬로우 욕구에 따른 네일관리행동." 국내석사학위논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대전
이경인, 이진남. "매슬로의 욕구이론에 대한 비판 -과잉긍정 문제 해결을 위한 ‘철학함’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인문학연구 제 55집, 2018, 70~9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