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손목터널증후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손목터널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2.1. 손목터널증후군의 정의
2.2.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
3. 손목터널증후군의 임상 증상
3.1. 통증 및 감각 이상
3.2. 운동 장애
4. 진단적 검사
4.1. 이학적 검사
4.2. 전기생리학적 검사
4.3. 영상학적 검사
5. 치료
5.1. 보존적 치료
5.2. 수술적 치료
6. 간호중재
6.1. 통증 관리
6.2. 운동 및 활동 증진
6.3. 환자 교육
7. 합병증 및 예후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CTS)은 팔과 손에 통증을 가져오는 흔한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분석에 따르면 2010년부터 CTS의 진료인원과 진료비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같은 기간 통계청의 업무상질병 발생현황 중 수근관 증후군 항목의 발생건수는 큰 변화가 없다. 이는 근골격계 질환이 초기에는 증상이 크게 드러나지 않거나 불편감만 있어 간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CTS는 외관상 증상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 질병이기 때문에 많은 근로자나 사업주가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CTS의 실태와 예방법 및 대책을 조사하여 이 질병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2. 손목터널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2.1. 손목터널증후군의 정의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CTS)은 손목부위에서 정중신경의 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군을 말하며, 상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신경압박질환이다."
손목굴(수근관)은 손목뼈(수근골)과 굴곡지대라 불리는 섬유성 조직 사이에 형성된 딱딱한 통로를 말하며, 손목굴(수근관) 내에서 윤활액으로 싸인 9개의 힘줄과 정중신경은 한 덩어리가 되어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윤활액막이 붓거나 두꺼워져 관의 공간이 감소되어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손과 손가락의 저림, 통증, 감각 저하, 부종, 힘의 약화 등이 나타난다."
2.2.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부정 유합된 원위 요골 골절, 감염이나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 있을 경우, 반복적 가사노동에 의한 경우,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손목에 지나친 부담을 준 경우, 손목 부위의 골절이나 탈구로 수근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는 경우, 감염이나 류머티스 관절염, 통풍 등 활액막염을 초래하는 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한 경우 등이 주된 원인이다.
이론적으로는 수근관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떤 경우라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손목 부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임신과 관련된 부종,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경우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특히 중년 여성의 경우 유병률이 높은데, 이는 여성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3. 손목터널증후군의 임상 증상
3.1. 통증 및 감각 이상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들은 주로 손바닥, 손가락, 손목에 통증과 감각이상을 호소한다"". 특징적인 증상은 손목 통증과 함께 정중신경의 지배 영역인 엄지, 검지,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이 밤에 심해지는 것이다"". 손목 관절을 일정 시간(60초) 굽히고 있도록 하면 뻐근함과 무감각이 나타나며, 손목 관절을 직접 두드리거나 엄지로 손목 관절을 30초 정도 압박했을 때 통증이나 저림이 유발된다"".
심한 경우에는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기도 하며, 엄지 근육의 위축으로 납작해지기도 한다"". 또한 손과 손가락의 감각이 점점 떨어져 바느질이나 뜨개질 등의 미세 운동이 어려워지고, 물건을 잡을 때 힘이 들어가지 않아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게 된다"".
손과 손목을 이용해 장시간 일을 하면서 굽히거나 편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경우 통증이 심해지고 감각 이상이 생기게 되며, 증상이 지속되면 움직임이 제한되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게 된다"".
3.2. 운동 장애
손목터널증후군의 경우 심한 경우 엄지 근육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손의 힘이 약해져 물건을 잡기 어려워지며, 손가락을 이용한 정교한 움직임이 어려워진다"" 특히 엄지, 검지, 중지 등의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서 감각 저하와 운동 장애가 나타나 바느질이나 뜨개질 등 미세한 손동작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심각한 경우에는 엄지근육의 위축으로 인해 엄지부분이 쳐져서 납작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4. 진단적 검사
4.1. 이학적 검사
손목터널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이학적 검사에는 팔렌검사(Phalen test), 틴넬 징후(Tinel sign), 가드너-듀먼 검사(Gardner-Dumont test) 등이 포함된다.
팔렌검사(Phalen test)는 손목을 90도 굴곡한 상태로 60초 동안 유지한 후 정중신경 분포 영역에 저림과 무감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수근관 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증상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틴넬 징후(Tinel sign)는 손목 부위를 두드리거나 정중신경을 압박했을 때 정중신경 분포 영역으로 방사되는 저린 감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 역시 수근관 내 압력 상승에 따른 정중신경 자극을 확인할 수 있다.
가드너-듀먼 검사(Gardner-Dumont test)는 손...
참고 자료
김수근(2016), 사업장에서 손목터널증후군의 관리, 월간산업보건, 52-62.
김수근(2016), 직업성 근골결계질환 1-직업병으로서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산업보건, 333, 64-73.
김수근(2017),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22: 근골격계질환의 의학적 관리 (1)-의학적 관리체계와 1 차 예방 중심으로. 산업보건, 356, 39-52.
황옥남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4thDsInfo.do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www.kosha.or.kr/kosha/index.do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수근관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이영휘 외 9명,성인간호학Ⅱ, 정담미디어(2017) p1487~1489
서울아산병원 “손목수근관증후군”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0
세브란스병원 “손목터널증후군” http://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health_focus/view.asp?con_no=10904
대한정형외과학회 “수근관증후군” http://www.koa.or.kr/info/index_15_14.php
이석하, 이승준(2014) “수근관 증후군” J Korean Orthop Assoc 2014; 49: 331-339
[네이버 지식백과] 쉴 틈 없어 더욱 아파오는 손목의 이상증후, 손목터널증후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2830&cid=63166&categoryId=56745
[네이버 지식백과] 손목터널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49508&cid=58505&categoryId=58519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110100022
허혜경. "간호사의 수술후 통증관리에 대한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6.2 (1994): 236-250.
유광수.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관한 지식 및 태도, 낙상 예방활동에 관한 연구." 韓國保健看護學會誌 31.3 (2017): 436-450.
김경희(Kim Kyung-Hee),정혜경(Chung Hae-Kyoung),and 이현수(Lee Hyun-Su). "수술전 환자의 정서적 상태와 수술후 통증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9.2 (2002): 288-299.
김태희,길윤경,추상희,장선영,정미연,서미애,이영진,김수정,and 정혜정. "수술 후 통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9.2 (2007): 125-134.
박미숙. "수술 환자의 통증 호소와 간호사의 통증 사정에 관한 연구." Health & Nursing 11.1 (1999): 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