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성인과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인 차이는 존재하며 그 차이를 인지하고 아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특히나 갓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에는 면역체계의 발달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감염에 더 취약하며, 신체에 나타나는 반응 또한 성인과는 다르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정상적인 신체 반응을 보이는 아이와는 달리 평균 주수를 채우지 못하고 나온 미숙아들이나,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치료하기 위해 입원하는 아이들을 치료하고 돌봐주는 곳이다. 이번 대상자 역시 주수를 채우고 태어났으나 빈호흡 때문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아이이다.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oea of newborn, TTN)은 태어난 직후에 배출되어야 하는 폐수가 남아 있어서 일어나는 일시적인 다호흡, 호흡곤란을 말한다. 호흡은 인간이 생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해 어떻게 치료하고 간호하는지 알기 위하여 이 질환을 가진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대상자 선정 동기
이 대상자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진단으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이다. 실습하던 중 이 환아에게 관심이 가게 되었는데, 인큐베이터 안에서 인공호흡기에 의존하며 불규칙한 호흡으로 움직이는 가슴을 보며 내가 더 안타까워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환아가 점차 호전되어 인큐베이터에서 나와 젖병 수유를 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끼게 되었고, 환아와 라포를 형성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 이 환아를 케이스 환자로 선택하게 되었다.
2. 본론
2.1. 아동의 상태나 질환에 관한 문헌 고찰
2.1.1. 정상 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사례아동과의 비교
정상 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사례 아동과의 비교
정상 신생아의 활력증상은 체온 36.5~37.7°C, 맥박 각성상태 100~180회/분, 수면상태 80~160회/분, 호흡 30~60회/분이다. 이에 비해 사례 아동의 활력증상은 체온 37.0°C, 맥박 136회/분, 호흡 88회/분으로 정상 범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상 신생아의 신체계측 결과는 키 48~53cm, 체중 평균 3400g(2.7~4kg), 두위 33~35cm, 흉위 30.5~33cm이다. 사례 아동의 신체계측 결과는 키 50cm, 체중 3260g, 두위 34cm, 흉위 34cm로 정상 범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례 아동의 활력증상과 신체계측 결과는 정상 신생아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1.2. 관련 질병에 대한 문헌의 개요
2.1.2.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태어난 직후에 배출되어야 하는 폐수가 남아 있어서 일어나는 일시적인 다호흡, 호흡곤란을 말한다. 출생 후 폐포 및 폐간질 등의 폐조직 내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일과성 폐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중심정맥압을 높여 폐액이 흉관이나 폐 림프계로의 배출이 지연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출생 전과 중 정상적인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면 세기관지 주위의 림프관들과 기관지혈관공간에 폐액이 차게 되고, 이어서 세기관지 압박으로 세기관지 허탈 및 공기 저류가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폐의 탄성이 감소하고, Respiratory acidosis를 보상하기 위해 빈호흡이 나타나게 된다.
2.1.2.2. 원인과 발생 빈도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태어난 직후에 배출되어야 하는 폐수가 남아 있어서 일어나는 일시적인 다호흡, 호흡곤란을 말한다. 이 증후군은 '젖은 폐(wet lung)로 종종 불리며, 제왕 절개술로 출생한 아기, 경산부의 아기, 산모의 마취 및 과진정으로 복압이 감소된 경우, 둔위 분만, 저출생체중아, 주산기 가사, 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흔하다."이다. 국내에서는 호흡곤란 증후군보다 흔하며 주로 만삭아에 가까운 신생아에서 발병되나 미숙아에게도 나타난다.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증후군은 내재하고 있는 폐의 병리상태는 없으며, 태아 폐액의 흡수가 늦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증후군은 1000명 중 5.7명의 빈도로 발생한다.
2.1.2.3. 진단검사
'2.1.2.3. 진단검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의 진단은 주로 임상적 소견과 영상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 흉부 X선 검사에서 양측 폐문부로부터 방사되는 선상 울혈, 경한 심비대, 폐엽간 또는 늑막에 삼출액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둘째,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에서 경한 호흡성 산증과 경한 저산소증이 관찰된다. 셋째, 백혈구 수와 혈소판 수 등의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임상적 소견으로 호기 시 신음 소리, 빈호흡, 흉벽 함몰, 청색증 및 드럼통 모양의 흉곽 등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진단검사를 통해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을 확진할 수 있으며, 다른 신생아 호흡기 질환과도 감별할 수 있다. 특히 흉부 X선 검사와 동맥혈 가스분석은 TTN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로 여겨진다.
2.1.2.4. 치료적 관리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의 치료적 관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에는 산소포화도(SaO2)가 90~95%가 되도록 산소 후드나 비강 캐뉼라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한다. 이 방법으로 산소포화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지속적 양압환기(CPAP)를 적용하여 폐 림프관 내로의 폐액 배출을 돕는다. 산소요법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인공호흡기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호흡곤란 증상이 심하여 FiO2가 0.4 이상 필요하거나 양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TTN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른 신생아 호흡기 질환이나 심장질환의 원인을 살펴봐야 한다.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배양 결과가 음성이 될 때까지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또한 지속적인 체중증가와 함께 호흡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는 이뇨제를 투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체온 조절, 충분한 수분 섭취와 영양 공급, 정상 수준의 혈당 유지 등의 지지요법을 적용한다. 호흡수가 분당 80회를 초과하는 경우 흡인 위험이 있으므로 금식하고 정맥으로 영양을 공급한다. 호흡수가 분당 60~80회이고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다면 비위관을 통한 수유를 시도해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대부분 2-3일 내 완전히 회복되며 예후가 좋고 사망률도 낮다. 호흡 보조와 빈호흡은 며칠에 걸쳐 서서히 감소한다. 일부 환아에서는 지속적 폐동맥 고혈압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2.1.2.5. 간호
간호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 상태는 신생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호흡기 장애 중의 하나이므로 이런 아기의 간호는 다른 호흡기 질환에서와 비슷하다. 이런 아기는 구강으로 아무것도 줄 수 없으며 임상적 상태나 산소요구도의 변화를 측정해야 한다.
신생아를 세밀히 관찰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증가된 호흡노력으로 피로하지 않은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또한, 좀 더 심각한 질병의 초기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빈 호흡은 호흡기 폐쇄의 첫 증상일 수 있다.
산소요법으로 대부분 48~72시간 내에 호전된다. SaO2가 90~95% 이상이 되도록 nasal cannula나 hood를 통한 보조적인 산소공급을 한다. nasal cannula를 통한 보조적인 산소 공급만으로 충분하며 일단 좋아지면 아무런 후유증 없이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심각한 경우 폐를 통한 공기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 양압 환기기(CPAP)를 적용한다.
호흡수가 분당 80회 이상이면 흡인의 위협 때문에 금식을 하고 IV로 영양을 공급한다. 호흡수가 분당 60~80회 사이고, 임상적으로 큰 distress가 없어 보일 경우 G-tube를 시도해 본다.신생아는 면역체계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환아의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