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멕시코 문화적 특성 관광경쟁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래 대한민국 에너지를 찾아서 떠나는 여행
1.1. 답사의 대 주제 및 주제 선정 이유
1.2. 답사의 Route Map 및 스케줄
1.3. 답사지의 선정근거 및 특성
1.3.1. 삼소섬
1.3.2. 말뫼
1.3.3. 헬리셰이디
1.3.4. 기타 여행지의 특성
1.4. 답사 국가 인문·자연지리적 특성
1.4.1. 덴마크
1.4.2. 스웨덴
1.4.3. 노르웨이
1.4.4. 아이슬란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래 대한민국 에너지를 찾아서 떠나는 여행
1.1. 답사의 대 주제 및 주제 선정 이유
세계 각국은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2도 이하로 유지하고,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파리협정을 체결하였다. 우리나라도 교토의정서에서는 감축 의무가 부과되지 않았지만 파리협정에서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대비 37% 감축을 내세웠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현재 4.8%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량을 2030년까지 20%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의 시대가 열렸다. 이에 세계 유수의 신재생에너지 선도국가를 방문하여 기존 화석연료나 원전에너지가 유발하는 환경오염과 위험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답사의 Route Map 및 스케줄
답사의 Route Map은 한국 → 코펜하겐 → 삼소섬 → 덴마크 말뫼 → 노르웨이 오슬로 → 송네피오르 → 베르겐 →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 싱벨리어 국립공원 → 블루라군 → 헬리셰이디 → 레이캬비크 → 인천이다.
스케줄은 다음과 같다.
- 1일차(2018.08.01.) 인천(13:10) → 코펜하겐(21:30)
- 2일차(2018.08.02.) 칼스버그 맥주박물관, 인어공주상, 로열코펜하겐매장 방문
- 3일차(2018.08.03.) 삼소섬으로 이동(약 4시간 소요), 삼소섬 답사
- 4일차(2018.08.04.) 말뫼로 이동(약 5시간 소요), 말뫼 도시 답사
- 5일차(2018.08.05.) 점심식사 후 노르웨이 오슬로로 이동(약 8시간 소요)
- 6일차(2018.08.06.) 오슬로 대성당, 아케르스후스요세, 국립미술관, 노르웨이 왕궁
- 7일차(2018.08.07.) 베르겐 이동 및 탐방(Sognefjord in a nutshell one way 투어 이용)
- 8일차(2018.08.08.) 아이슬란드 레이캬비로 이동(4시간 30분 소요), 싱벨리어 국립공원
- 9일차(2018.08.09.) 블루라군관광, 헬리셰이디 답사, 레이캬비로 이동
- 10일차(2018.08.10.) 레이캬비(07:45) → 인천(19:05)
1.3. 답사지의 선정근거 및 특성
1.3.1. 삼소섬
삼소섬은 덴마크에 위치한 면적 114km2, 인구 약 3,800명의 소규모 섬이다. 북유럽 유트란트반도 동쪽으로 18km 가량 떨어진 카테가트 해협에 위치해있으며, 농업과 관광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현재는 신재생에너지가 주요 산업이 되었다. 삼소섬은 세계 최초의 에너지 자립섬 및 탄소중립적 무공해(Carbon Neutral) 섬을 달성한 사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삼소섬은 인구 고령화와 농업경쟁력 약화 등으로 낙후를 면치 못하였으나, 신재생에너지 섬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 섬 전체의 전력과 난방을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100% 조달하고 있는데, 전력수요는 육상 풍력발전으로 100%를 충당하고 있으며, 난방 및 온수는 태양광 및 바이오매스(우드칩, 밀짚 등) 에너지에서 70%를 충당하고 있다. 부족한 30%의 난방에너지는 열펌프 등 새로운 난방시스템 도입과 해상 풍력발전을 통해 보충함으로써 100% 에너지자립을 달성하였다.
삼소섬의 성공...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대한상공회의소, 의료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2013
안희자,심원섭, “창조경제시대 산업간 융합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방안”, 기본연구 2013_34
이재호‧ 박나리, “싱가포르의 주요 산업: MICE, 의료관광을 중심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12-17, 2012: pp. 57∼101
이수진, “경기도 의료관광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GRI 정책연구, 2014.04
이수진‧김태경‧신종호, “메디컬한류 육성방안”, 이슈&진단 No.131, 2014
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료관광총람, 2012
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료관광총람_입문편, 2013
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료관광총람_전략편, 2013
한국무역협회, “우리나라의 의료관광 추진현황과 성장전략”, Trade Focus Vol.9 No.27, 2010.05
현대경제연구연구원,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리포트: 성장 동력으로서의 의료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13-11 [통권 521호], 2013.03
박현숙,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호텔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특급호텔의 의료관광 상품개발을 중심으로, 가천의과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관광학, 2012년 08월
송채헌, 한국의 의료관광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무역학과, 2014년 2월
박정환, ‘메디텔’공식허용, 의료한류 첨병인가, 영리병원 전신인가, 조세일보, 2014.02.20.
엽합뉴스, 동남아ㆍ대만, 의료관광 허브 '각축전', 2014.05.06.
이준혁, 치열해지는 아시아 '의료허브' 각축전…대만, 中 의료관광객 무제한 체류 허용, 한국경제, 2012.06.27
정책프리핑(태양열에너지로 라면 끓이는 시대 꿈꾸다)
서울신문[원전 대안은 신재생에너지] ② 화석에너지 ‘제로’ 도전 스웨덴 말뫼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CO2로 돌 만든다" … 세계최초 기술 개발 성공)
세계의 명소(북구의 낭만주의자, 스칸디나비아의 불꽃)
죽기 전에 꼭 가야 할 세계휴양지 1001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