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리더십 분석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리더 소개
1.2. 리더 선정 이유
2. 리더십 이론
2.1. 특성이론
2.2. 행동이론
2.3. 상황이론
2.4. 현대적 리더십 이론
3. 진정성 리더십
3.1. 자아인식
3.2. 내면화된 도덕적 신념
3.3. 균형 잡힌 정보처리
3.4. 관계의 투명성
4. 섬김의 리더십
4.1. 조직 구성원에 대한 인격존중
4.2. 조직 구성원에 대한 헌신적 봉사
5. 이국종 교수의 리더십 분석
5.1. 진정성 리더십
5.2. 섬김의 리더십
6. 시사점 및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리더 소개
이국종 교수는 1988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995년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그 후 아주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아주대학교 외상외과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외과학교실 및 응급의학교실 부교수, 2013년부터는 해당 교실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2010년부터 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장 및 외상외과장을 겸임하고 있다.
이국종 교수는 아덴만 여명 작전 당시 심각한 부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을 오만에서 수술한 바 있으며,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당시 귀순한 조선인민군 병사를 수술하는 등 대한민국 내에서 복합중증외상치료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1.2. 리더 선정 이유
이국종 교수는 중증 외상 분야의 외과 전문의로, 외상 및 외상 후 후유증, 총상 치료 부문에서 한국 최고 권위자이시며 삶과 죽음의 최전선에 있는 권역외상센터장으로 계셨다"이다. 외상은 우리나라 40대 이전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에 하나이며 이런 중증 외상 환자를 24시간 동안 신속하고 빠르게 치료와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곳이 권역외상 센터이다. 항상 많은 말이 나왔던 부분으로 매년 적자를 보면서 센터를 운영하는 중이고 병원 측은 비영리단체지만 영리를 추구하는 입장에서 돈이 되지 않는 사업 진행을 피하기 위해 많은 말들이 나오게 되었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부터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조사하고 있는데 2015년 골든타임 내 적절한 치료를 받았을 때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이 30.5%였지만 권역외상 센터의 설립 이후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15.3% 감소하는 것을 통해 2년 만에 많은 발전은 권역외상 센터가 큰 도움이었다고 생각이 들며 선진국은 통상적으로 15% 내외라고 알려져 있다. 간호사는 근로기준법 준수도 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이국종 교수님은 "간호사들 유산하고, 손가락이 부러지고 있으니 간호사들을 더 그만큼 늘려주면…"이라고 말씀하실 정도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에 대한 처우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앞장 서시는 분이시다.
2. 리더십 이론
2.1. 특성이론
특성이론은 리더가 지닌 개인적 자질과 특성이 리더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가 지닌 개인적 자질들, 예를 들어 지능, 자신감, 결단력, 정직성 등이 리더십 발휘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특성이론은 초기 리더십 연구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는데, 개인의 타고난 성격이나 특성이 리더로서의 자질을 결정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들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리더의 공통된 특성들을 도출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리더로 적합한 후보자들을 선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특성이론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는데, 리더의 성공이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간과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특성이론은 리더십이 후천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후 리더십 연구는 특성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행동이론과 상황이론 등으로 발전해 나갔다. 하지만 특성이론은 여전히 리더십 연구의 중요한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개인의 특성과 리더십 발휘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2.2. 행동이론
행동이론은 리더의 행동 유형과 그러한 유형의 행동이 부하들의 동기부여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즉, 성공적인 리더가 어떠한 행동유형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행동유형이 부하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초점을 둔다.
행동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스탤러(Stogdill)와 미시간 대학의 릭터(Likert)를 들 수 있다. 스탤러는 리더의 행동 양상을 두 차원 - 구조 중심적 행동과 배려 중심적 행동 - 으로 구분하였다. 구조 중심적 행동은 과업 달성에 초점을 두고 부하들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며, 엄격한 업무 기준을 적용하는 유형이다. 반면 배려 중심적 행동은 부하들의 감정과 요구에 관심을 기울이며 상호 신뢰와 존중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유형이다.
릭터는 스탤러의 연구를 계승하여 리더십 행동을 보다 구체화하였다. 그에 따르면 상관 지향적 행동과 부하 지향적 행동이 리더십 효과성의 두 축이 된다. 상관 지향적 행동은 상위 관리자나 외부 이해관계자에 초점을 맞추는 유형이고, 부하 지향적 행동은 부하들의 요구와 복지에 관심을 가지는 유형이다. 이 두 가지 행동 유형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것이 효과적인 리더십이라고 본다.
나아가 블레이크와 모튼(Blake & Mouton)의 관리 격자모형은 이러한 행동이론의 관점을 더욱 발전시켜 제시한다. 이 모형은 과업 지향성과 people 지향성이라는 두 가지 차원...
참고 자료
NAVER, 「이국종」, NAVER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D%B4%EA%B5%AD%EC%A2%85&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11686
김경호, 남형석 기자, [앵커로그] '이국종 교수'도 우려…외상센터 간호사의 하루, mbc 앵커로그,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661408_32524.html
박성애 외, 『간호관리학』, JMK, 2019.2.25
김철중, 김준호 기자, ‘세상을 다 구하고 싶은 의사vs 영웅 뒷바라지에 지친 병원,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6/*************.html
김상기 기자, [단독] “이국종 교수, 석해균 선장 후송 에어앰뷸런스 비용지급 독촉받았었다”, 라포르시안 뉴스,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39
박성훈 기자, 이국종 “벼룩의 간을 내먹지 간호사 인건비를 빼먹나”,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327271001
문재영 외 2명, 『의료기관의 리더십과 조직문화형태에 따라 직무 만족 향상에 따른 검증』, 한국품질경영학회 (2009)
김인숙 외 공저, 『간호관리학』, 현문사 (2017)
장원징, 「카리스마 리더십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성 역할 정체성과 리더-부하 성별 일치도의 조절효과 검증-중국 중소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인사조직전공, 2014, pp5-8
김가진, 「진성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감 지각과 팔로워 웰빙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11, pp5
이국종(의사) 저. 골든아워. 흐름출판. 2018
이종건, 김동호,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상호작용 효과」,대한경영학회지 제21권 제 4호,2008, pp1496
`대화의 희열` 이국종이 말하는 정의.."자기 할 일을 하는 것",<매일 경제>, 2018.11.11.,https://www.mk.co.kr/news/entertain/view/2018/11/706264/, 2019-05-10 02:58
▪ '이국종 후배' 젊은의사 3인 "365일 피말려도 쾌감 있다",<중앙 일보>, 2017.12.09., https://news.joins.com/article/22189078, 2019-05-10 02:10
[출처: 중앙일보] '이국종 후배' 젊은의사 3인 "365일 피말려도 쾌감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wYyil6TaVc
https://www.youtube.com/watch?v=A_zuHvBlv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