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평활근종(Leiomyoma of Uterus)
1.1. 정의 및 발생빈도
자궁평활근종(Leiomyoma of Uterus)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smooth muscle)에 생기는 종양이며, 양성질환이다. 자궁평활근종은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
1.2. 발병 위치 및 유형
자궁평활근종(Leiomyoma of Uterus)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양성 질환이다. 발병 위치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자궁평활근종은 자궁내에서 자라는 생장부위에 따라 장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점막하근종으로 구분된다. 장막하근종은 자궁의 바깥쪽을 싸고 있는 장막 아래에서 발생하여 자궁 밖으로 튀어나오는 형태이고, 근층내근종은 자궁 근육층 내부에 깊숙이 위치하여 자궁 자체가 비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여 자궁강 안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다.
이 외에도 기생성 근종은 자궁 혈관보다 복막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아 자궁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근종이며, 인대내 근종은 자궁을 지지하는 광인대 사이에 근종이 발생하는 경우다. 또한 육경성 근종은 경(pedicle)을 이루며 자궁경부나 질 내로 돌출되는 형태이다.
이처럼 자궁평활근종은 자궁 내에서 다양한 부위와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증상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다."
1.3. 원인
자궁평활근종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평활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즉, 자궁의 평활근 내부에서 발생한 미성숙 세포들이 과도하게 증식하면서 근종이 형성되는 것이다"".
둘째,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 자궁평활근종을 가지고 있는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근종 발생 위험도가 경도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색인종, 특히 흑인 여성에서 근종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점도 유전적 요인을 뒷받침한다"".
셋째, 지속적인 에스트로겐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은 자궁평활근종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생식기능이 왕성한 시기에 근종이 많이 발생하고 폐경 이후에는 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피임약 복용이 근종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처럼 자궁평활근종의 발병에는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유전적 요인, 지속적인 에스트로겐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1.4. 증상
자궁평활근종(Leiomyoma of Uterus)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가 절반 정도이다.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월경과다(hypermenorrhea)와 월경기간 연장(men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