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재난상황 대응지침의 필요성
재난상황 대응지침의 필요성은 인적재난·자연재해 등의 재해발생으로 시설 이용자나 관리자들이 위기상황에 놓여 있을 때 적절한 안전관리 및 대응절차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시설의 이용자 행동특성에 따라 재난안전관리 절차서를 활용하여 어르신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재난상황 대응지침은 화재, 감염병, 지진, 태풍·호우, 미세먼지 등 다양한 재난유형에 대한 대응절차를 포함하고 있어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재난상황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 내 다수의 고령자가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므로 재난상황 대응지침의 마련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 고려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 고려는 재난상황에서의 대응지침 마련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노인장기요양기관은 면역력이 약한 다수의 어르신들이 밀접하게 접촉하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재난이 발생할 경우 기관 내 수급자와 종사자들에게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감염병이나 재난으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질 경우, 요양서비스 중단에 따른 기관의 휴업 및 폐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개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미치는 피해가 막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대응지침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수급자와 종사자들의 건강관리 및 응급상황 대응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화재, 지진, 태풍 등의 재난상황에서도 어르신들의 신체적 특성과 돌봄 서비스의 연속성을 고려한 대피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기관은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상태나 거동능력이 취약한 만큼, 평상시 재난대비 교육과 모의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종사자들의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내 관련 기관들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3. 문서 구성 및 활용 목적
본 문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문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 장인 서론에서는 재난상황 대응지침의 필요성과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대응방안 마련의 중요성을 다룬다. 이어 문서의 구성 및 활용 목적을 설명한다.
본론에서는 재난상황의 유형별 대응지침을 제시한다. 화재, 감염병, 지진, 태풍·호우, 미세먼지 등 다양한 재난에 대한 대응절차와 행동요령을 안내한다. 또한 자위소방대 구성과 역할, 방문요양서비스 운영 계획 등 기관 내부의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상술한다.
결론에서는 재난 대비 및 대응 체계 구축,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적 향상,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등 본 문서가 추구하는 목적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문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종 재난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재난상황 유형별 대응지침
2.1.1. 화재 발생 시 대응절차
화재는 연간 발생하는 재난 중 피해가 가장 큰 사회적 재난으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수시로 발생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직원들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
화재 발생 시 대응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불을 발견하면 큰 소리로 "불이야"라고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른다. 직원들은 어르신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킨다. 이때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하되,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시킨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몸과 얼굴을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으로 감싸주어야 한다. 연기가 많을 때는 한 손으로 코와 입을 젖은 수건 등으로 막고 낮은 자세로 이동한다. 문을 열기 전에는 문손잡이를 만져보아 뜨겁지 않으면 조심스럽게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간다. 만약 출구가 없으면 연기가 방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물을 적셔 문틈을 막고 구조를 기다린다.
소화기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기고 안전핀을 뽑는다.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쪽으로 향하게 하고,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소화제를 뿌린다. 소화기는 잘 보이고 사용하기 편한 곳에 두되 햇빛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분말소화기는 분말이 굳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투척용 소화기 사용법은 고정틀에서 소화기를 꺼내 든 뒤 불이 난 곳 중심으로 던지는 것이다. 평소에 투척용 소화기의 위치와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2.1.2. 감염병 발생 시 대응체계
장기요양기관은 면역이 약한 다수의 어르신이 밀접하게 접촉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 감염병이 발생하면 기관의 수급자 및 종사자에게 빠른 속도로 전파시킬 우려가 높다"". 감염병에 걸리면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수급에 심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대상자의 사망에 이르는 등 개인을 비롯하여 지역사회로의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 수급자 및 종사자 사이에서 감염병이 유행하면 정상적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이 어려우며 요양서비스 중단에 따른 장기요양기관 휴업·폐업을 해야 하는 사태에 이를 수 있다"".
감염병 발생 양상에 따른 주요 조치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의심 또는 확진 환자 1명 발생 시 감염병 환자(유증상자 포함) 관리, 접촉자 관리 및 추가 발병자 파악, 보건소 신고(관내 운영센터 신고), 감염병 예방 및 발생 시 대처요령 교육을 실시한다"". 의심 또는 확진 환자 2명 이상 발생하거나 전체 인원의 5% 발생 시에는 감염병 환자(유증상자 포함) 관리, 감염자 조기격리 및 유증상자 관리, 보건소 신고(관내 운영센터 신고), 시설물 및 취약지역 소독, 방역 실시 등의 조치를 취한다"".
장기요양기관의 감염병 발생 시 대응체계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