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IT 좀 아는 사람
1.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장기간 지속된 코로나19로 인해 우리 사회는 IT와 좀 더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 듯하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재택근무, 비대면 회의가 일상이 되었고,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OTT 서비스 가입자가 급증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런 변화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는 크게 올랐으며, 너도 나도 투자에 열을 올렸다. 그렇다면 이런 IT 빅테크 기업들은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버는 것일까?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방식으로 IT기업들이 변화할까 궁금해졌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IT는 진일보한 기술이며 특정 계층이 누리는 특별한 기술이었지만, 이제는 누구도 IT를 빼고 살 수 없는 일상이 되었다. 앞으로는 IT를 이해하지 못하면 식당에서 밥을 먹는 것조차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그 도움마저 IT의 기술로 이루어질 것이 뻔하다. 즉 IT 지식은 특정 분야, 특정 세대나 계층에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이들의 필수 지식인 셈이다. 이 시대의 필수 지식을 엿보기 위한 책으로 이 책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저자들의 프로필이었다. 구글과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실무를 담당했던 경력은 최근 IT 기술의 경향과 업계에서 중요하여 여기는 기준 등을 엿볼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이다.
1.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1.2.1. 핵심 주제
'1.2.1. 핵심 주제'는 "IT 좀 아는 사람이 대접받는 세상이 도래하였다"이다. 본 도서는 IT기술을 이해하는 사람이 이 시대의 리더가 되었다는 점을 핵심 주제로 다룬다. 21세기에 IT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은 모든 직업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주제이다. 과거에는 IT 기술이 특정 계층과 세대에 국한되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IT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1.2.2. 주요 내용
21세기 리더는 IT기술을 이해하는 사람이다. 이제는 직업이 무엇이든 간에 IT지식이 필수인 시대가 됐다. 의사가 인공지능으로 병을 진단하고 농부가 드론으로 작물을 재배한다. 한때는 정유회사와 전기회사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했지만 이제는 그 자리를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가 차지하고 있다.
IT기술을 이해하면 각국의 기업들이 어떤식으로 확장하는지 알 수 있다. 인터넷의 기본 원리라든가 페이스북과 우버의 비즈니스 전략처럼 중요한 IT 지식들은 쉬운 말로도 얼마든지 설명 가능하다. 이 책은 IT와 비즈니스 전략에 대한 입문서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비즈니스 전략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쉽게 설명한다. IT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기술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심지어 직접 만들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스포티파이가 어떤 식으로 음악을 추천하고, 자율주행차가 어떻게 작동하며, 왜 아마존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프라임 회원에게 무료배송서비스를 제공하는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구글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30조 개가 넘는 웹페이지 중에서 가장 좋은 결과물을 10개로 추린다. 이것은 알고리즘을 통해 가능한 작업으로, 인터넷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DB에 저장하고 특정 키워드의 인위적인 노출로 검색결과를 악용할 것에 대비해 페이지 랭크라는 혁신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아마존은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가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해 나가게 되었다. 소위 아마존북스의 사업을 극대화하였으며, 아마존고를 만들어서, O2O 셔비스를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이처럼 디지털 기술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아마존의 영향력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아마존이 사업 모델을 확장하면서, 여러 사업들을 인수하는 과정, IT인프라에 대한 이해, 협업과 융합이 필요한 세상으로 만들게 된 것이다. 즉 IT 소양을 갖추지 못한 경영자는 스스로 경쟁력이 없는 경영자로 낙인찍힐 수 있다.
조직 뿐만 아니라 리더와 리더십에 IT 소양을 요구하는 이유는 기업 전반에 애자일 기법이 도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완성된 제품을 시장에 내놓고, 그에 대한 검증 과정이 과거의 비즈니스 모델이었다면, 지금은 먼저 제품을 내놓고, 개선과 지속적인 수정을 통해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 나가는 것을 미덕으로 삼는다. 소비자의 니즈와 우원츠가 계속 바뀌는 것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있다. 페이스북의 비즈니스 모델 뒤에는 경쟁자가 될 수 있는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었다. 왓츠앱을 인수하게 된 배경도 여기에 있으며, 페이스북의 기업 확장성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타겟광고 알고리즘이 어떻게 탁월한 비즈니스 사업이 될 수 있었는지 하나 하나 알게 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앱과 기업은 사라질지라도 여기서 배운 핵심 개념은 오랫동안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구글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30조 개가 넘는 웹페이지 중에서 가장 좋은 결과물을 10개로 추린다. 이것은 알고리즘을 통해 가능한 작업이다. 인터넷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DB에 저장하고, 특정 키워드의 인위적인 노출로 검색결과를 악용할 것에 대비해 페이지 랭크라는 혁신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구글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30조 개가 넘는 웹페이지 중에서 가장 좋은 결과물을 10개로 추린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다. 구글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압도적인 검색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구글의 검색 엔진 기술은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구글은 검색 광고 시장을 장악하며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이처럼 IT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은 기업의 경쟁력과 수익 창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IT 기술력은 기업 성공의 핵심 요인이 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IT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중요성을 잘 설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