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사와 장기기증
1.1. 뇌사의 정의와 특징
뇌사란 뇌 질환 또는 교통사고 등으로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회복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스스로 호흡이 정지되었지만 인공호흡기로 호흡을 유지하게 시켜 심장이 뛰고 있는 상태이다. 뇌사의 주요 원인은 뇌 손상, 즉 교통사고, 낙상, 총기사고와 뇌 질환인 동맥류, 뇌졸중, 뇌종양, 그리고 질식, 익사, 심장마비 등 산소 미공급에 의한 뇌사 등이 있다. 뇌사상태는 깊은 혼수상태로 자발적 호흡이 없으며 심장박동 외 모든 기능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식물인간 상태는 대뇌의 일부만 손상되어 무의식 상태이며 자발적 호흡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뇌사상태에서는 절대로 회복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심장박동도 멈추어 사망에 이르지만, 식물인간 상태에서는 수개월~수년 후 회복 가능성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1.2. 뇌사자 장기기증의 개념
뇌사자 장기기증이란 갑작스러운 뇌출혈이나 교통사고 등의 심한 뇌 손상을 유발하는 어떤 원인에 의해 뇌의 기능이 완전히 멈춰버린 상태로 의학적인 뇌사상태 여부의 확인 과정을 거쳐 장기를 기증하는 것을 말한다"" 뇌사자의 기증 가능한 장기로는 신장, 간장, 심장, 폐장, 췌장, 췌도, 소장, 안구 등이 있으며, 한 사람의 뇌사자로부터 최대 8명의 환자에게 장기를 이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많은 환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뇌사자 장기기증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3. 뇌사 판단 기준과 절차
뇌사 판단 기준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뇌사 판정을 위해서는 선행조건과 판정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선행조건으로는 원인 질환이 확정되고 치료 가능성이 없는 뇌 병변이 있어야 하며, 깊은 혼수상태와 자발적 호흡이 없어야 한다. 또한 치료 가능한 급성 약물중독 등의 증거가 없어야 하고, 저체온이나 쇼크 상태도 아니어야 한다.
판정조건으로는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전혀 없는 깊은 혼수상태, 자발호흡의 비가역적 소실, 양안 동공의 확대 고정, 뇌간 반사의 완전 소실, 자발 운동과 경련이 없어야 한다. 또한 평탄뇌파 소견이 관찰되어야 한다.
뇌사 판정은 신경과, 신경외과 또는 마취과 전문의 2인 이상의 참여와 함께 판정되며, 장기이식에 관여하는 의사는 참여할 수 없다. 뇌사 판정 후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2차 조사를 받아야 하고, 뇌사판정위원회의 윤리성 검토를 거치게 된다. 단 한 명이라도 반대하면 뇌사 판정은 내려지지 않는다.
1.4. 뇌사설의 주장과 근거
뇌사설의 주장과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의 핵심은 심장박동이 아니라 뇌 기능에 있고 인간의 개성과 특징은 뇌의 조직에서 나온다. 따라서 뇌 기능이 돌이킬 수 없이 상실된 사람은 기계적으로 심장이 박동하고 있더라도 죽은 사람이다.""
둘째, 뇌사상태에서는 절대로 회복될 수 없음이 과학의 발달로 밝혀졌고, 뇌사 여부를 식물상태와 구별하여 정확히 판정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때의 치료는 무의미하며, 집중 치료를 계속하여도 특별히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길어도 14일 이내에는 심장박동도 멈춘다.""
셋째, 뇌사상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