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 보건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1. 지리적 특성
1.1.2. 인구학적 특성
1.1.3. 건강수준
1.1.4. 환경적 특성
1.1.5. 지역사회 자원
1.2. 보건소 보건사업
1.2.1. 추진영역 및 추진과제
1.2.2. 치매안심센터 운영
1.2.3. 치매조기검진사업
1.2.4. 치매사례관리사업
1.3. 치매조기검진의 중요성
2. 간호진단
2.1. 간호문제와 관련요인 도출
2.2. 우선순위 결정
2.3. 간호목표 설정
2.4. 간호수행 계획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1. 지리적 특성
남양주시는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도농복합도시이다. 구체적으로 동쪽으로는 양평군과 가평군,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구리시, 남쪽으로는 하남시와 광주시, 북쪽으로는 포천시와 접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서울외곽순환도로, 서울춘천고속도로, 서울-덕소 간 한강북단도로가 지나가고 있으며, 경춘선, 중앙선 외에 2022년 지하철 4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서울 접근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도심과 농촌이 공존하는 전원도시로서 최근 택지 개발지구 선정과 개발로 인해 상주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1.2. 인구학적 특성
남양주시의 총인구수는 2019년 693,793명에서 2020년 709,247명을 거치면서 인구 70만 시대를 열었으며 2022년 10월 말 현재 737,352명이다. 지난 10년간 평균 인구증가율은 2.0%를 보였다. 남녀 인구구성비는 49.7 : 50.3으로 경기도와 비교 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노인인구는 총인구 대비 2019년 13.0%, 2020년 13.8%, 2021년 14.5%, 2022년 15.2%로 2021년에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또한 지난 4년 동안의 합계출산율 추이는 2018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1.1.3. 건강수준
2022년 기준 남양주시의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다.
2급 감염병은 수두, 3급 감염병은 C형 간염이 신고 빈도가 높았다. 결핵신환자는 2021년 기준 181명으로, 지난 4년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전국, 경기도의 변화 추이와 유사하였다. 치매환자수는 2021년 기준 10,084명으로 2020년의 9,285명보다 많지만, 노인인구수의 증가로 인해 치매환자 유병률은 전국, 경기도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중증환자 수와 알츠하이머 환자수, 경도인지장애환자수가 증가하였으나 환자유병률은 경기도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남양주시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2020년 기준 전체 64.1%로, 전국 67.8%, 경기도 67.3%에 비해 낮았다. 국가암검진율 또한 2020년 기준 전체 48.9%로, 전국 49.6%, 경기도 49.7%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폐암 검진율이 25.8%로 전국 34.0%, 경기도 32.6%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현재 흡연율은 2019년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으나 경기도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2020년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하지만 현재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 2020년에 비해 2021년 감소하여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았다. 고위험음주율의 경우 2019년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았으나 2020년, 2021년은 경기도보다 높았다. 건강생활실천율(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은 2019, 2020년까지는 경기도와 전국 평균에 비해 높았으나 2021년에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아졌다.
비만율은 최근 2년간 지속 증가하...
참고 자료
남양주시,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2023.01
남양주시 보건소, www.nyj.go.kr›health
장성옥, 이영휘, 공은숙, 김춘길, 김희경, 조명옥 and 채경숙. (2020).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선별검사 수행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32(2), 134-144.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국가치매정책동향 2022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https://gyeonggi.nid.or.kr/information/status_dem/list.aspx
네덜란드 치매케어 정책 동향_국가치매전략 2021-2030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
이정열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2017.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중앙치매안심센터 https://www.nid.or.kr/
이정열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현문사, 2017.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중앙치매안심센터 https://www.nid.or.kr/
부산광역시 북구 보건소 health.bsbukg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