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열상 응급실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두부열상 응급실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두피 열상의 정의와 특징
2.1. 두피 구조와 특징
2.2. 두피 열상의 원인과 증상

3. 두피 열상의 간호사정
3.1. 상처 모양 사정
3.2. 상처 배액 사정
3.3. 상처부위 통증 사정
3.4. 상처 봉합상태 사정

4. 두피 열상의 간호중재
4.1. 지혈 및 상처세척
4.2. 상처 봉합
4.3. 상처 관리 및 드레싱
4.4. 감염 예방 및 관리

5. 응급실에서의 두피 열상 간호
5.1. 초기 활력징후 측정 및 사정
5.2. 상처처치 및 검사 시행
5.3. 상처 치료 및 약물 투여
5.4. 환자 교육 및 퇴원 계획

6. 사례 연구
6.1. 대상자 간호정보 수집
6.2.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수립
6.3. 간호중재 및 평가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기후의 변화로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가 정례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인위재해 또한 산업화가 되어가고 인구 급증으로 인위재해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인명피해의 양이 매우 크다. 재해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중 갑작스런 재해로 인해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부상자를 중증도에 따라 적합한 병원에 빠른 시기에 옮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빠른 이동과 더불어 알맞은 간호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국내 재난의료체계는 국가 표준 매뉴얼이 마련돼 있지만, 현장에서는 매뉴얼대로 잘 시행되지 않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데 환자를 구조해 가까운 병원으로 실어 나르기 바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중환자는 치료가 지체돼 생명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대량의 환자가 응급센터로 오게 되었을 때 당황하지 않고 대응하기 위해 상황 연습과 대비책에 대해 미리 준비를 해야 할 것에 대해 이 과제를 통해 자세히 조사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 두피 열상의 정의와 특징
2.1. 두피 구조와 특징

두피는 두부 표면을 둘러싸며 두부 내부를 보호하고 있는 피부조직이다. 두피는 다섯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카락이 자라는 표피, 얇은 지방층이 있는 결합조직, 고밀도의 섬유조직층으로 단단한 머리덮개널힘줄, 그물눈결합조직, 두개골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피는 피부의 일부분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피지선이 많고, 신체를 감싸는 다른 외피보다 혈관과 모낭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피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혈액공급이 풍부하나 이들 혈관들은 혈관수축력이 불량하기 때문에 두피열상은 다량의 출혈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2.2. 두피 열상의 원인과 증상

두피 열상은 두피라고 하는 머리의 표면 피부가 외부의 충격이나 상처에 의해 찢어진 상태를 말한다. 두피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출혈이 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두피 열상의 주된 원인은 외부의 충격이나 외상이다. 머리를 어딘가에 세게 부딪히면 두피가 찢어져 열상이 쉽게 생길 수 있다. 낙상, 자동차 충돌 사고, 폭력에 의한 두부 손상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두피의 피부 표면에는 많은 혈관이 있기 때문에 두피가 찢어지면 다량의 출혈이 있을 수 있어 두피 열상은 실제보다 더 심각해 보일 수 있다.

두피 열상의 주요 증상으로는 두피의 찰과상, 열상, 혈종 또는 좌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경미한 두부 손상의 경우 두통, 어지러움, 혼돈, 메스꺼움 등을 겪을 수 있지만 다른 부분의 손상이 없으면 병원 입원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두피가 찢어진 경우 머리에 큰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경외과 진료가 필요하다.


3. 두피 열상의 간호사정
3.1. 상처 모양 사정

상처 모양 사정은 상처의 가장자리 모양, 상처 주변의 피부색, 배액이나 튜브 등을 관찰하여 상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건강하게 치유되는 수술상처는 깨끗하게 잘 봉합되어 있고 딱지가 생성된다. 처음에는 가장자리가 붉고 약간 부어있지만 약 1주일 후에는 상처가 치유되면서 정상피부와 외양이 유사해진다. 따라서 간호사는 상처의 가장자리 모양, 상처 주변의 피부색, 배액 유무와 특성 등을 관찰하여 상처의 상태를 사정해야 한다."


3.2. 상처 배액 사정

상처 배액은 염증반응의 결과로 상처에서 삼출액이 나오게 되는데, 이 삼출액은 혈관에서 빠져나온 세포들과 체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직의 안이나 바깥쪽에 축적된다. 이러한 상처 배액의 양, 색, 냄새, 농도 등을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처의 치유 과정을 파악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상처에서 배출되는 삼출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배액의 양이다. 상처부위의 염증 정도에 따라 삼출액의 양이 달라지는데, 삼출액이 과다하거나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경우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둘째, 배액의 색이다. 배액의 색은 황색, 노란색, 녹색, 갈색 등 다양하며 이는 상처의 염증 정도와 감염 여부를 나타낸다. 셋째, 배액의 냄새이다. 정상적인 상처 배액은 무취이지만 악취가 나는 경우 세균 감염을 의미한다. 넷째, 배액의 농도이다. 상처 치유 과정에 따라 배액의 농도가 달라지는데, 초기에는 혈청 성분이 많고 점차 농도가 진해지면서 부유물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이다.

이처럼 상처 배액의 사정은 상처 치유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감염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상처 배액에 대한 지속적인 사정과 관찰을 통해 대상자의 상처 치유 과정을 확인하고, 적절한 상처 관리 및 감염 예방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3.3. 상처부위 통증 사정

상처부위 통증 사정은 대상자가 상처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통증의 정도와 특성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자가 상처로 인해 계속되거나 증가하는 통증을 호소할 경우에는 자주 사정을 해야 한다. 특히 농이 흐르거나 증가되며 통증이 동반되는 것은 상처가 감염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처부위 통증 사정은 감염 여부를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처부위 통증의 정도는 주관적인 표현으로 파악하되, 통증 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umeric Rating Scale(NRS)나 Faces Pain Scale(FPS)을 활용하여 통증 수준을 평가한다. 또한 통증의 특성, 즉 통증의 양상, 위치, 지속시간 등...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 제9판.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I. 제9판. 수문사. 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I (제7판). 현문사. 2018
전미양 외. 기본간호학I 제4판. 수문사. 2019
전미양 외. 기본간호학II 제4판. 수문사. 2019
고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현문사. 2019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수문사. 2018
이윤미 외.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제5판). 수문사. 2019
김용성, 임훈 외 2인. 2006. 두부손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와 두피손상 양상, 크기와 두개내 손상과의 관련성.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응급의학교실. 대한외상학회지. Vol.19 No.1. p.8-13.
유지성. 2006. 두부손상 응급환자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응급간호전공 석사논문. p.1-134.
양희범. 2020. 외상 환자 상처 처치는 어떻게?.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p.169-172.
고찬영, 김호중 외 3인. 2012. 응급실에 내원한 안면 깊은 열상환자에서 무마취 피하봉합 후 피부 본드 사용의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23(6), p.862-868.
김현주. 2014. 응급실에서 안면부 열상 봉합 시 Leukosan Skinlink® 의 유용성. PhD Thesis
김진우. 2014. 119 구급대원의 상처관련 지식이 상처환자 수행관리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p.127-145.
응급처치교실 두부손상. 강원도소방본부
https://fire.gwd.go.kr/fire/life/life_class/life_class_subject?articleSeq=11015817
응급처치법 출혈과 쇼크. 강원도소방본부
https://fire.gwd.go.kr/fire/life/life_class/life_class_act/life_class_act_shock
신체부위별 응급처치 두부손상. 서울종합방재센터
https://119.seoul.go.kr/asims/firstaid/contents.do?pageNo=0301
응급상황시 행동요령: 응급처치 출혈과 쇼크. 김해 분야포털
https://www.gimhae.go.kr/01545/01854/04425.web
근거기반 기본간호학(상권)
근거기반 기본간호학(하권)
네이버 백과사전 – 영상의학진단
네이버 약물 백과사전
구글 이미지검색 : Laceration
NANDA 간호진단목록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2019). 심폐소생술. September 5, 2019, From
www.kcn.or.kr
대한 심폐소생술 협회. (2019). 심폐소생술. September 5, 2019, From
www.kacpr.org/cp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2019). 응급·재난 간호. September 5, 2019, From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국민재난 안전포털. (2019). 응급·재난 간호. September 5, 2019, From
www.safekorea.go.kr
이옥철 외 20(2015). 응급 및 재난간호. 서울:현문사
Tener Goodwin Weenema(2016). 재난간호. 핸드북:정담미디어
조영희,신은주,남미라 외 20(2007). 기본간호학(하). 신광출판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