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립선암 배뇨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전립선암 개요
2.1. 정의 및 병태생리
2.2. 원인
2.3. 증상
3. 진단검사
3.1. 직장수지검사
3.2. 혈중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
3.3. 경직장 초음파검사 및 조직생검
3.4. 영상검사
4. 치료
4.1. 수술 치료
4.2. 호르몬 요법
4.3. 방사선 요법
4.4. 기타 치료법
5. 간호중재
5.1. 수술 전 간호
5.2. 수술 후 간호
5.3. 호르몬 요법 간호
5.4. 방사선 요법 간호
6. 합병증 관리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남성에게만 있는 전립선에 발생하는 암은 우리나라의 암종별로 살펴볼 때 남녀 전체를 기준으로 다섯 번째로 많은 유병률을 차지한다. 최근 남성 암의 3위를 기록할 만큼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전립선암은 지난해 국가암정보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만 6815명으로 최근 5년간 40% 증가했고 발생연령은 지난 20년간 평균 71세로 고령에서 발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43.0%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31.5%, 80대 이상은 17.1% 순이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국내 전립선암 환자는 꾸준히 늘어나 곧 우리나라 남성 1위 암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립선암은 2025년에 초고령화 사회를 예상해볼 때 쉽게 유발될 수 있는 고위험암으로 판단되며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해당 질환에 대한 연구와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전립선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전립선암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립선암의 정의와 병태생리, 발병 원인, 주요 증상 등에 대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고,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과 치료법, 그리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호르몬 요법과 방사선 요법 시 간호, 그리고 합병증 관리에 대해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립선암의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를 위한 간호 실무의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고령화 시대에 증가하는 전립선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전립선암 개요
2.1. 정의 및 병태생리
전립선암은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과 사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암세포가 지속적으로 증식하면서 주변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원격 전이가 일어나는 악성 종양이다. 전립선암 세포는 정상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계속 증식하면서 주변의 다른 조직으로 파고들어 침윤하기도 하고,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멀리 떨어진 조직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전립선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면,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있는 부성선의 하나로 방광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다. 길이 4cm, 폭 2cm, 깊이 2cm 정도의 밤톨만 한 크기이며 무게는 성인 평균 15~20g이다. 위로는 방광경부, 즉 방광에서 요도로 이행하는 부위와 인접하여 앞쪽의 치골전립선인대에 고정되고, 아래로는 비뇨생식격막에 의해 고정돼 있으며, 뒤쪽은 튼튼한 근막에 의해 직장과 분리된다. 전립선은 남성호르몬의 영향 아래 기능을 하게 되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주축을 이루는 남성호르몬은 태아 때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전립선을 자극하여 성장하도록 하는데, 남성호르몬이 충분하지 않으면 전립선이 완전히 자라지 않는다.
전립선암은 전립선 내의 선세포가 암화된 테스토스테론 의존성 선암(adenocalcinoma)으로 약 90%가 남성호르몬에 의해 증식한다는 특성이 있다. 조직의 비대가 전립선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양성전립선비대증과 달리 전립선암 세포는 전립선 주변부에서 발생한다. 또한 전립선암은 대부분 성장이 느린데 주로 림프절과 뼈에 잘 전이되는 특성이 있으며, 전이 방식은 주로 요도의 점막이나 방광벽, 정낭, 외부괄약근 등에 직접 침범하고 암 후기에는 림프절을 타고 전이된다. 또한 전립선에서 나오는 정맥을 따라 골반뼈나 대퇴골두, 간이나 폐 등으로 퍼지기도 한다.
2.2. 원인
전립선암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가족적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립선암 환자 가족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가족에 비해 전립선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등 친척에게 전립선암이 있었던 경우 그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유전적 요인이 개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인종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흑인에게서 전립선암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인종별 생활습관이나 유전적 요인의 차이 등이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나이도 중요한 원인이다. 전립선암은 고령으로 갈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40대 미만에서는 드물지만 50대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60대, 7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는 나이에 따른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식이요인도 전립선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고지방 식이, 붉은 고기 섭취 증가, 유제품 섭취 증가 등이 전립선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식이가 체내 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환경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다. 농약이나 중금속 등의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전립선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병력은 전립선암 발병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합해보면, 전립선암은 유전적 요인, 인종, 나이, 식이,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3. 증상
전립선암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무...
참고 자료
「성인 간호학 (상)」 윤은자 외, 2019, 수문사
「성인 간호학 (하)」 윤은자 외, 2019, 수문사
「비판적 사고와 간호 과정」 박금주 외, 2019, 계축문화사
「간호 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2018, 현문사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간호 진단 정의와 분류(2018-2020)」, 2018, 학지사메디컬
「국가암정보센터 암 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 정보」
「세브란스 병원」
성인건강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정여숙 등.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2013.
퍼시픽 학술국. 성인간호학 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서울: 퍼시픽북스. 2014.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http://www.khmcpharm.com/
대구 · 경북지역 암센터.(2015). 전립선암을 아십니까?. pp4-25.
전립선암 예방 가이드 (주요 질병 예방 가이드, 서울대학교병원)
로봇 보조 복강경 전립선 적출술: 200례의 임상경험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9권 제 3호 2008, 박성열, 함원식, 최영득)
윤영숙 외 9명, ⌜성인간호학Ⅱ⌟, Paciffic Books, 2019, p.275-280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NANDA-1(2021-2023) 개정에 따른 별책 부록, 수문사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약학정보원
메디칼업저버, 2023.11.06, “전립선암 경고음 .. 환자 절반 이상이 '고위험암'”,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668, 접속일: 2023.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