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중급 수준을 대상으로 한 듣기 전, 중, 후 활동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가정 자녀 중급 학습자를 위한 교수법 및 말하기 활동
2.1. 전통 민속놀이를 통한 문화 인식 및 한국어 학습
2.2. K-Culture를 통한 한국어 학습
2.3. 전자책을 활용한 독서수업 강화
2.4. 발표수업(PPT) 및 토론을 통한 한국어 학습
3. 한국어 듣기 평가 도구 개발
3.1. 한국어 듣기 능력의 중요성과 중급 학습자 평가
3.2. 교재와 평가 항목 설계
4.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및 문화 교육
4.1.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
4.2. 전래동화 '심청'을 활용한 수업 교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다문화가정은 국제결혼, 이중문화가정, 혼혈인 가족 등 서로 다른 국적 또는 문화의 사람이 만나 구성된 가정을 뜻하며 세계화와 외국인의 급속한 유입으로 매년 증가하는 국제결혼에 따라 다문화가정의 비율은 엄청난 속도로 꾸준히 증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당수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은 '언어문제'를 가장 심하게 느끼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대학 진학 비율이 현저히 낮으며 언어적 문제로 인한 교육의 차이가 교육 현장에서도 심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자녀의 언어능력은 주양육자와의 끊임없는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되지만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경우 주 양육자의 한국어 실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뒤쳐지고 부진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 역시 대한민국의 다가오는 미래이기 때문에 그들이 마주하는 언어장벽의 해소와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들의 환경을 이해하고 알맞은 교수법이 이뤄져야 한다. 다음에 나오는 본문에서는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 중급 학습자의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그들의 학습능력을 최대치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교수법과 말하기 활동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2. 다문화가정 자녀 중급 학습자를 위한 교수법 및 말하기 활동
2.1. 전통 민속놀이를 통한 문화 인식 및 한국어 학습
전통 민속놀이를 통한 문화 인식 및 한국어 학습은 다문화가정 자녀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에 거주하면서도 한국 고유의 전통 문화와 풍습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에게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를 경험하게 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메우고 모국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습득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윷놀이, 제기차기, 구슬치기 등과 같은 전통 민속놀이는 언어와 문화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어,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어 어휘와 표현은 물론 명절, 가족, 공동체 등 한국 문화의 핵심 가치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전통 놀이를 직접 체험하면서 한국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모국어와 한국어의 어휘 및 문법을 비교하는 활동을 병행한다면, 중급 학습자들의 언어 실력 향상과 문화 간 이해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윷놀이를 할 때 윷의 종류와 각 윷의 이름, 윷놀이의 규칙과 절차 등을 학습하면서 한국 명절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기차기 활동을 통해 한국인의 여가와 놀이 문화를 경험하고, 쓰이는 어휘와 표현을 익힐 수 있다. 이처럼 전통 민속놀이는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놀이 자체를 경험하는 것에 그치...
참고 자료
윤희원,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2009
이은영,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을 위한 읽기 활동, 2009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한달완성 한국어 중급 I 듣기, 연세대학교대학출판문화원, 2008.
고미정(2016),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양가기(2018),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