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생식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생식계통의 기능
남녀의 생식기관은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를 생산하고, 수정을 통해 새로운 생명을 여성 몸속에 잉태시키며 성호르몬을 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생식계통은 크게 생식세포 생산, 수정, 새 생명의 발생과 영양 공급, 성호르몬의 생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남성의 고환과 여성의 난소는 감수분열을 통해 생식세포를 생산하며, 이렇게 생산된 생식세포가 수정되어 새로운 생명체를 잉태한다. 생식세포가 결합하여 태아가 발달하는 동안 모체의 자궁에서는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며, 생식계통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은 생식기관의 발달과 성적 기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생식계통은 생명 창조와 성 기능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2. 생식세포의 형성
남성의 고환과 여성의 난소는 생식세포 또는 성세포를 생산한다"." 감수분열을 통해 남녀 생식세포가 형성된다"." 두 번의 연속된 세포분열을 통해 염색체 수가 46개에서 23개로 줄어들게 된다"."
남녀 모두 생식세포는 생식기관에서 발생한다"." 남성은 고환에서, 여성은 난소에서 각각 생식세포를 생산한다"." 생식세포 발생 과정에서는 감수분열이 일어나 염색체 수가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형성된다"."
사춘기가 되면 정세관에서 정자발생이 시작된다"." 버팀세포는 정자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호르몬을 생산한다"." 정조세포가 체세포분열하여 일차 정모세포로 분화한 뒤, 감수분열을 통해 이차 정모세포로 분열하여 정자세포로 발생한다"." 정자세포는 머리, 중간부분, 꼬리를 갖는 정자로 발달한다"."
난소에는 태아기부터 많은 수의 난조세포가 존재하며, 출생 시에는 약 40만 개의 일차 난모세포가 남아있다"." 사춘기가 되면 이 중 약 400개 정도가 배란된다"." 배란 시 일차 감수분열이 완료되면서 이차 난모세포가 배출되며, 정자가 이를 수정하여 수정이 완성된다"."
이처럼 남녀 모두 생식기관에서 감수분열을 통해 생식세포를 생산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
1.3. 남성 생식계통
남성 생식계통은 고환, 일련의 관계통, 부속샘과 지지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음낭은 고환을 함유하는 주머니로, 음낭근과 고환올림근이 고환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고환은 정세관과 사이질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소엽으로 나뉘며, 사춘기가 되면 정세관에서 정자발생이 시작된다. 정자세포는 정세관과 일련의 관계통을 거쳐 몸 바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낭은 정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비물을 만들며, 전립샘은 영양분, 단백질 분해효소, 산성을 중화시키는 물질을 분비한다.
남성 생식계통의 기능은 호르몬과 신경의 영향을 받아 조절된다.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은 뇌에서 분비되어 뇌하수체 전엽에서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 분비를 자극한다. 황체형성호르몬은 고환의 사이질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난포자극호르몬은 버팀세포와 결합하여 정자발생과 인히빈 분비를 자극한다. 테스토스테론은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및 난포자극호르몬 분비에 음성 되먹임 작용을 한다.
남자의 사춘기는 보통 12~14세에 시작되어 18세경 끝나는데, 이 시기에 테스토스테론이 증가하면서 생식기관의 크기가 커지고 이차성징이 나타나게 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에게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생식계통과 그 밖의 몸 구조물에 영향을 준다. 정상적인 성욕을 위해서도 테스토스테론이 필요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남성의 성행동은 호르몬과 신경의 영향을 받으며, 성적 자극은 감각 및 정서적 측면이 모두 포함된다. 감각자극은 엉치신경얼기를 통해 중추신경으로 전달되며, 운동자극은 발기, 점액분비, 사정을 유발한다. 남성의 불임은 주로 정자 수가 매우 적은 것이 원인이며, 인공수정을 통해 임신이 가능할 수 있다.
1.4. 여성 생식계통
여성 생식계통은 난소, 자궁관, 자궁, 질 바깥생식기관 및 젖샘으로 이루어져 있다.
난소는 골반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난자발생과 수정의 기능을 담당한다. 태아기 4개월 때 약 500만 개의 난조세포가 있지만, 출생 무렵 대부분이 퇴화하고 약 4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