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사업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장애인 복지 정책의 중요성
1.2. 장애인 일자리 및 직업재활 정책 분석의 필요성
2. 본론
2.1. 장애인일자리사업
2.1.1.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개요
2.1.2.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근거 및 목적
2.1.3. 장애인일자리사업의 사업내용
2.1.4. 장애인일자리사업의 현황 및 사례
2.2.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제도
2.2.1. 근거 및 제도 소개
2.2.2. 장애인 고용의무제도
2.2.3. 장애인 고용부담금
2.2.4. 장애인 고용장려금
2.2.5. 현황 및 사례
3. 결론
3.1. 법적·제도적 환경의 개선 방향
3.2. 사회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장애인 복지 정책의 중요성
장애인 복지 정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1년 기준 전국 장애인 등록수가 264만 5,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1%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매년 8만 7,000명씩 새롭게 장애인으로 등록되고 있어 언제든 장애를 가질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장애인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며, 이들에게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은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는 수단을 넘어 자아실현과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취업과 고용에 있어 여러 장벽에 직면해 왔다. 이에 국가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경제적 독립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편견 해소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각은 이들의 사회 참여와 통합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결국 장애인 복지 정책은 단순히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더욱 포용적이고 통합적인 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1.2. 장애인 일자리 및 직업재활 정책 분석의 필요성
장애인 일자리 및 직업재활 정책 분석의 필요성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기회 보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첫째, 노동은 인간에게 생계 유지와 자아실현의 기본적인 수단이지만 장애인의 경우 장애로 인해 취업과 직업생활에서 많은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장애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 제공과 직업재활 지원을 통해 이들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이들의 일자리가 제한적이어서 사회 통합과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장애인 고용정책과 직업재활 지원 강화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권익 보장이 필요하다. 셋째, 최근 인구 고령화와 기술혁신으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 속에서 장애인의 취업과 직업생활 유지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따라서 장애인 일자리 및 직업재활 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적·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2. 본론
2.1. 장애인일자리사업
2.1.1.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개요
장애인일자리사업은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전국 시ㆍ도, 읍ㆍ면ㆍ동 주민센터, 공공기관 등에 직접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소득보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미취업 장애인에게 전일제와 시간제의 일자리를 제공하여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을 보장하고, 일반 노동시장으로의 전이를 위한 실질적인 직무능력 습득을 지원한다. 전일제의 경우 주 40시간(일 8시간, 주 5일) 근무하며 월 2,011천원의 보수를 받고, 시간제의 경우 주 20시간(일 4시간 이상) 근무하며 월 1,005천원의 보수를 받는다. 또한 전일제 7,590명, 시간제 3,925명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일자리사업은 장애인복지법 제21조(직업)과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13조의2(장애인일자리사업 실시)에 근거를 두고 있다.
2.1.2.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근거 및 목적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근거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근거는 장애인복지법 제21조(직업)와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13조의2(장애인일자리사업 실시)에 있다. 장애인복지법 제21조 제1항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이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13조의2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장애인의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하여 소득보장을 지원하는 장애인일자리사업을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둘째, 장애인일자리사업의 목적은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소득보장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근로 연계를 통한 장애인 복지 실현과 취업 연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즉, 장애인의 적성...
참고 자료
“장애 유형별 장애인(성/시군구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홈페이지, 2022년 8월 22일 수정,
2023년 4월 9일 접속, https://gsis.kwdi.re.kr/statHtml/statHtml.do?orgId=338&tblId=DT_2GC0111N
“장애인 일자리”,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2023년 2월 10일 수정, 2023년 4월 9일 접속,
https://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70304&PAGE=4&topTitle=%EC%9E%A5%EC%95%A0%EC%9D%B8%EC%9D%BC%EC%9E%90%EB%A6%AC
“2021년 한 해 동안 새롭게 등록한 장애인 8만 7,000명”,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2022년 10월 7일 수정, 2023년 4월 9일 접속,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1108
“장애 원인의 88% ‘후천적 요인’…혼자 사는 장애인 늘어”, KBS 뉴스 홈페이지, 2018년 4월 19일 수정, 2023년 4월 9일 접속,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637060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만족,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민식,김대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제8권 제1호. 2022.
장애인일자리사업 종합평가 연구. 이인재,이재원,김진,박혜경. (재)한국장애인개발원. 2020,12.
보건복지부. 2022년 장애인일자리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국 장애인자립기반과. 2022.1.
김성희. 제19대 국회 보건복지 쟁점과 과제 토론회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2012.6.1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장애인 고용공단 홈페이지 (https://www.ke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