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레인 오버 미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레인 오버 미' 개요
1.1. 영화 줄거리
1.2. 등장인물 소개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2.1. PTSD의 정의 및 증상
2.2. PTSD의 발병 원인 및 위험 요인
3. 영화 속 주인공의 PTSD 증상 분석
3.1. 재경험 증상
3.2. 회피 증상
3.3. 부정적 인지와 감정상태 변화
3.4. 각성과 반응성 변화
4. PTSD 치료 방법
4.1. 약물 치료
4.2. 정신 요법
4.3. 활동 요법
5. 영화 속 주인공에 대한 간호 과정 적용
5.1. 간호 문제 확인 및 우선순위 선정
5.2. 간호 진단
5.3. 간호 중재 및 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레인 오버 미' 개요
1.1. 영화 줄거리
치과의사인 앨런 존슨은 길을 지나가다가 같은 치과대학 동창이자 룸메이트였던, 가족이 비행기 사고로 모두 사망한 찰리파인먼을 만난다. 찰리파인먼은 단란하고 풍족한 삶을 즐기던 그가 9.11 테러로 인해 인생이 180° 바뀌게 된 사람이다. 당시 테러대상인 건물과 정면으로 부딪힌 비행기 안에는 그의 사랑하는 아내와 세 딸, 애완견까지 타고 있었던 것이다.
오랜만에 만난 찰리는 표정의 변화도 없고 반가워하지 않는다. 존슨의 이름과 얼굴, 대학 때 룸메이트였던 것까지 기억하지 못한다. 늘 헤드폰을 쓰고 다닌다. 대학에 대한 기억도 잃어버린 것 같다. 어떻게 지내냐는 물음에 대답하지 않고 아무런 상관이 없는 대답을 한다.
한순간에 가족을 모두 잃고 혼자 남은 찰리는 의사생활을 접고 사건 이후부터 지금까지 집 안에 박혀서 게임만 하면서 폐인처럼 지내고 있었던 것이다. 이미 감정 상태는 둔화되고 인간관계가 위축되고 집안에서 고립되고 일종의 정신적인 마비상태가 되어있었을 수도 있다.
찰리와 존슨의 대화 중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를 꺼내면 "나한텐 가족이 없어. 누가 보낸 거야. 놈들이 보낸 거야?"라면서 존슨에게 소리를 지르고 얼굴에 술을 뿌린다. 존슨을 찾아오는 장모님과 장인어른을 피한다. 존슨 아버지가 죽었다는 소식에 죽음에 대한 주제를 돌리며 아침 먹으러 가자고 말한다.
찰리가 존슨을 만나러 치과에 직접 찾아오고, 찰리의 집에 가서 둘이 밤새도록 게임을 하며 점점 둘은 친해진다. 항상 무표정에 혼자 다니며 웃지 않고 다른 사람은 믿지 못하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면서 존슨과는 영화를 보고 농담도 하고 같이 밥을 먹으면 하루 종일 함께 있는 모습을 보며 지지체계가 생기고 인간관계가 점점 변해가는 모습이 보였고 놀라웠다.
존슨은 찰리의 예전 삶을 되찾아주기 위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노력한다. 하지만 가족들을 떠올리게 하는 대화만 하면 흥분하고 폭력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늘 존슨을 당황하게 만든다. 여러 번의 우여곡절 끝에 찰리는 존슨에게 직접 자기는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도와달라고 말한다. 그렇게 엔젤라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담을 하면서 찰리는 머뭇거리고 헤드폰을 다시 써야겠다고 말하고 가슴이 탐스럽다고 말하는 둥 관련이 없는 이야기를 하지만 엔젤라는 찰리의 모든 말을 수용해주며 반응해준다. 그가 표현하는 것들을 경청하며 어려운 점을 확인하고 떠오르는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화를 내는 찰리에게 이렇게 와줘서 고맙다고 말하며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말하고, 가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 오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사실대로 말해준다. 기다리겠다고 말하며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에게라도 그 이야기를 꺼내야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면서 대화를 이어나간다. 그로 인해 찰리는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존슨에게 꺼낸다.
하지만 그 뒤로 테러와 관련된 뉴스를 찾아 보고 연인들이 함께 춤추는 로맨스 영화도 보는데 자신의 가족이 죽고 그 사건의 경험을 다시 겪고 있는 듯한 느낌(flashback)으로 점점 충격이 심해져 총을 사용해서 타인에게 위협을 가한다. 그로 인해 정신병원에 가서 치료도 받고, 재판도 열린다.
찰리는 재판이후 장모와 장인어른에게 와서 "거리에서 모든 사람이 아내처럼 보인다며 두 분은 서로 의지할 수 있지만 자기는 혼자서 아내와 아이들의 얼굴을 봐야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속마음을 다 털어 놓고 가벼운 입맞춤을 하며 진심을 전한다. 떠나기 전 자신이 부숴버린 램프를 선물한다. 이렇게 솔직한 마음을 고백하면서 마음속의 고통과 불안을 한 단계 한 단계 해소해 나아가는 것이다.
이후 앨런의 도움으로 세상과의 소통을 시작한 찰리는 이사를 하면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면서 영화가 끝나게 된다.
1.2. 등장인물 소개
'1.2. 등장인물 소개'
영화 '레인 오버 미'에는 총 두 명의 주요 등장인물이 있다. 첫 번째는 치과의사인 앨런 존슨이다. 그는 같은 치과대학 동창이자 룸메이트였던 찰리 파인먼을 우연히 만나게 된다. 찰리 파인먼은 영화 속 중심 인물로, 9.11 테러로 인해 가족을 모두 잃은 후 극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다. 존슨은 찰리의 예전 삶을 되찾아주기 위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노력하지만, 찰리는 가족들을 떠올리게 하는 대화를 하면 흥분하고 폭력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찰리의 불안정한 반응에 존슨은 당황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 번의 우여곡절 끝에 찰리가 자신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상담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찰리는 서서히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16&cid=51004&categoryId=51004
정신간호총론(임숙빈 외 6명), 제 7판 수정판, 서울: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Meg Gulanick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박현숙 외,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현문사(2021)
성미혜 외,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수문사(201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