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영역에서의 사회적이슈와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시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영역에서의 사회적이슈와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간호와 윤리
1.1.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1.2. 아동간호사에게 필요한 아동의 성장, 발달 지식

2.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놀이
2.1. 놀이 선택 시 고려사항
2.2. 입원아동의 통제감 상실과 간호중재

3. 아동의 죽음과 사별간호
3.1. 임종을 앞둔 아동 가정에 대한 간호
3.2. 사별 과정의 단계와 간호
3.3. 아동 호스피스와 성인 호스피스의 차이

4. 한국사회의 돌봄과 육아 문제
4.1. 돌봄과 육아 상황
4.2. 돌봄과 육아에 대한 인식 변화
4.3. 돌봄과 육아 문제의 사회문제화
4.4. 돌봄과 육아 문제와 다른 사회문제의 관련성
4.5. 돌봄과 육아 문제의 해결 방안

5. 중년기의 사회문제
5.1. 중년기의 정의
5.2. 중년기의 특징
5.3. 중년기의 사회문제
5.3.1. 실직
5.3.2. 폐경과 중년여성의 우울증
5.3.3. 고독사와 자살
5.4. 중년기 사회문제 해결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간호와 윤리
1.1.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아동간호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아동간호 시 윤리적인 문제는 의료진의 도덕적 가치관과 신념에 의해 의료진의 결정방향이 제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동간호사는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와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과거 대가족 사회와 달리 현재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구성은 아동에 대한 간호에 다양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게 한다. 예를 들어 미숙아 출생 시, 보호자가 원치 않아 적극적인 치료 없이 상태유지만 하다가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문제나 사후나 뇌사상태일 때 장기기증에 대한 보호자의 결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로서 보호자가 결정하는 문제, 치료에 대하여 아동이 원하지 않더라도 보호자의 요구로 치료를 하는 방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혼으로 인한 편부모 가정일 경우 법정대리인의 의사만 반영되기도 하며, 응급상황일 경우 법정대리인이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어느 쪽 부모 한쪽이라도 연락되어 의사결정이 되는 상황이 오기도 한다. 아동이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하고 자기표현이 가능한 나이일 경우 아동의 가치관과 결정에 존중을 해주어야하지만 아동이 표현이 서툴거나 장애가 있는 경우에 간호사는 선을 행하고 해로움을 피하게 할 힘과 책임을 갖게 된다. 부모의 결정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가도록 해결책을 찾아 주어야한다.

간호사는 치료를 하다보면 여러 상황에서 여러 가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며 최선의 선택을 하려고 하지만 어느 하나 만족스럽지 못한 선택임에도 꼭 한 가지를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온다. 예를 들어 10세 이상의 아동이 백혈병을 앓고 항암치료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항암치료가 잘 되지 않아 더 이상 치료가 어렵다는 설명을 해야 하는데 보호자가 원하지 않아 아동에게 질환에 대한 진단명을 밝히지 못하였다. 아동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듣지 못 할뿐 아니라 치료에 대한 스케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했기에 치료에 비협조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알권리를 침해하였으며, 선택의 권리도 침해 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18세 미만의 아동이 법적으로 병원 서약서나 합의서에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황이고 현재 그들의 부모는 아이가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받을 정신적 충격이 큼으로 설명을 하지 않기를 원하는 상황이라면 간호사는 이런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과 고민을 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의 해결방안을 모색할 때는 자신의 가치관과 전문직 직업인으로써의 가치관, 윤리강령 등을 충분히 인식하고 타인의 가치관에 대하여 관대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가져야한다. 또한 혼자만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동료나 과거의 이런 비슷한 경험이 있는 선배의 조언을 요청하기도 하고, 병원 내에 있는 윤리위원회를 이용하기도 한다.


1.2. 아동간호사에게 필요한 아동의 성장, 발달 지식

아동간호사에게 인간의 성장발달은 아동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구조적, 기능적, 행동적 변화가 수정 순간부터 전 생애를 걸쳐 지속적으로 일어남을 알아야 한다. 특히 아동기에는 성장발달의 범위가 넓고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모든 발달은 적절한 시기가 있고 그 시기를 놓치면 성취하기 어렵고, 각 단계의 발달 성과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 단계의 발달이 가능하다. 또한 이전 단계에서 발달의 결함이 생기면 다음 발달과업을 달성하지 못하고, 그 결함이 누적이 되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건강한 아동에 비해 입원아동은 부모와의 분리, 낯선 환경, 신체적 손상 등 발달과업을 방해하는 요소가 생길 수 있기에 아동간호사는 아동의 발달의 신체적, 정서적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발달에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


2.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놀이
2.1. 놀이 선택 시 고려사항

입원한 아동은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익숙해지도록 놀이를 한다. 놀이를 통해 기분전환이 되고 긴장이 풀리면서 낮선 환경에서도 안정감을 느끼고 감정표현이 자유로워진다. 또한 놀이는 치료적 목적을 수행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 창의적 사고와 흥미를 유도하기도 한다. 놀이를 선택할 때는 아동의 상태, 연령 흥미 등을 기초로 한다. 아동이 입원한 이유를 우선적으로 생각하면서 의학적 요구를 염두에 두고 계획해야하며 아동의 제한상태를 고려한다. 또한 놀이기구를 선택할 때에는 아동의 성장발달 단계와 능력에 적합성을 고려한 것이어야 한다. 장난감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고 쉽게 씻을 수 있어야하며, 유아나 영아는 작은 조각으로 분리되어 삼길 염려가 없는 것이 좋다."


2.2. 입원아동의 통제감 상실과 간호중재

아동은 성장하면서 스스로 무엇인가를 행하여 성취할 수 있게 되고 점차통제력을 갖게 된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자가 간호를 통한 극복감을 느낄 수 있다면 통제감과 자존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동이 병원에 입원함으로써 신체적인 활동이 제한되고 일상생활의 변화가 온다. 예컨대, 침습적 절차를 위해 아동을 신체적으로 억제할 경우 아동의 통제감을 위협하게 되고, 백혈병이나 화상같이 감염의 위험으로 격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통제감을 위협하게 된다.

발달단계별 아동의 특징과 이에 따른 간호...


참고 자료

이상미, 김혜원, 201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권인수, 김미예 외 11명 저, 2003, 임상아동간호학, 수문사
김영혜, 권봉숙 외 다수, 2015, 아동간호학(각론, 총론), 현문사
이광재, 2003, 호스피스사회사업, 인간과 복지
김미예, 구현영 외 다수, 2007, 아동건강간호학 총서, 군자출판사
지속가능한 돌봄정책 재정립방안연구 김은지 김소영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1/2017101101096
젠더와 사회 한국여성연구소 2014 동녘
http://www.ildaro.com/8440
돌봄 사랑의 노동 김희강 2016 박영사
“행정안전부 – 연령별 인구 현황”, https://jumin.mois.go.kr/#
“인스파일러 – 연령대별 인구 비율(2023년 9월)”, https://insfiler.com/detail/rt_pop_kr_month-0002
“대구한의대 본초 교수 ‘장산본초 블로그’ – “중년기 정신건강의 문제를 파악하고, 관련 보도에서 개입 방안을 작성하기.”, https://m.blog.naver.com/seojangsan/221562376679
“정신과 교수 신일선 – “중년의 스트레스”,
https://www.cnuh.com/health/disease.cs;WEB_JSESSIONID=DC4D5947DE6401290DB3106302D6FB2F?act=view&infoId=157&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44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 – 실직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4667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손정남 -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갱년기 삶의 질을 중심으로”, https://e-jhis.org/upload/pdf/jhis-43-2-148.pdf
천호성 기자, “실직·이혼에 사회와 단절…고독사 절반 이상이 5060 남성”, 「한겨례」, 2022-12-14
이현정 기자, “지난해 3378명 고독사…‘주택거주 5060 중년남성이 위험하다’”, 「서울신문」, 2022-12-14
“사회정책 대표 누리집 –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발표”, http://www.inclusivekorea.go.kr/boardView.do;jsessionid=cqrazlQ9a-45Uq3c5PF8NfxR.node20?boardID=72723&boardSeq=95069&lev=0&searchType=&searchWord=&curPage=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