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관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관절 전치환술
1.1. 정의
1.2. 임상증상
1.3. 수술방법
1.4. 수술 후 합병증 및 주의사항
1.4.1. 감염
1.4.2. 탈구
1.4.3. 삽입물의 해리
1.4.4. 삽입물의 마모
1.4.5. 신경 마비
1.4.6. 무혈관성 괴사
1.5. 수술 전 간호
1.6. 수술 후 간호
1.6.1. 바른자세 취하기, 들어올리와 돌아눕기
1.6.2. 배액관리
1.6.3. 투약
1.6.4. 통증관리
1.6.5. 피부 간호 및 운동
1.6.6. 기동과 퇴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관절 전치환술
1.1. 정의
고관절 전치환술이란 고관절(골반 관절 또는 엉덩이 관절)을 이루는 골반골 부분인 비구와 대퇴골의 골두를 모두 인공으로 만든 삽입물로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고관절은 무릎 관절에 이어 두번째로 큰 관절로 몸통과 다리의 연결 부위인 사타구니에 위치한다. 고관절은 공과 같이 생긴 대퇴골의 골두와 이 공 부분을 감싸고 있는 소켓 모양의 골반골인 비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퇴골의 골두와 비구의 표면은 매우 부드럽고 빛나는 지주 빛의 연골로 덮여 있으며, 이 연골은 관절에 주어지는 압력 또는 힘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1.2. 임상증상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는 환자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고관절 질환의 초기 증상은 고관절 부위의 통증이다. 환자는 골절 부위의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이 통증은 활동하거나 걷거나 움직일 때 아프고 서혜부(사타구니), 둔부(엉덩이), 대퇴부에 주로 나타나게 되고 드물게 무릎 주변으로도 나타난다. 병이 좀 더 진행하면 걸을 때 다리를 절게 된다. 또한 대퇴골 두의 함몰이 심한 경우나 고관절의 발달성 부전이 있는 경우 다리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짧아진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다리를 외회전시킨 상태에서 약간 굴곡할 때 조금 편안해 한다.""
1.3. 수술방법
수술방법 고관절 전치환술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시멘트를 사용한 수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처음 영국의 Charnley 경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 방법은 골시멘트라는 물질을 이용하여 고관절 삽입물과 환자의 골조직을 고정시킨다. 즉, 티타늄 합금이나 코발트 크롬합금으로 만들어진 대퇴 삽입물의 소켓 부위를 골시멘트로 뼈에 고정시킨다. 골시멘트는 매우 빠르게 굳고 단단하여 수술 후 바로 수술한 다리로 걸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골절이나 다른 불안정성이 존재할 때는 체중부하가 약간 지연될 수 있다.
둘째,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수술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골시멘트 없이 삽입물과 주위 골 사이에서 생물학적인 반응으로 주위 골이 삽입물에 자라 들어가는 것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즉, 티타늄 금속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며, 이 삽입물은 표면에 구멍이 뚫려 있어 뼈가 이 구멍을 통해 자라 들어가거나 뼈의 해부학적 구조에 꽉 끼게 제작되어 대퇴골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 과정은 적어도 수주 가량 소요되나 고정 후에는 영구적으로 안정된 인공관절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두 방법 모두 성공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인공 삽입물의 재질, 삽입되는 골의 상태, 그리고 삽입물과 골 사이의 상호 작용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고정법을 사용할지는 고관절 전치환술의 목적, 환자의 골 형태, 환자의 기능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이후 혈종 형성을 예방하고 배액을 위해 hemovac을 삽입한다. 또한 고관절 대치술 시 창상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수술실에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수술 시 혈액이 손실되는 양만큼 수혈을 하며, 소변량을 관찰하기 위해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게 된다.
1.4. 수술 후 합병증 및 주의사항
1.4.1. 감염
고관절 전치환술 후 수술 부위의 감염은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수술 직후 조기에도 발생할 수 있고, 퇴원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 수술 후 수년이 지난 후에도 생길 수 있다. 이처럼 감염은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감염은 항생제 치료로 관리될 수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삽입물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삽입물을 제거하는 수술은 환자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몸의 다른 부위에서 감염이 고관절로 파급되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치과 치료나 다른 침습적 시술을 받을 때 반드시 주치의에게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음을 알리고,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지 확인해야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 수술실에서부터 철저한 무균술이 지켜져야 한다. 수술 시 혈액 손실이 많은 경우 수혈이 필요하며, 수술 후에는 배액관을 삽입하여 혈종 형성을 예방한다. 또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배뇨 관리를 하고, 수술 후 처음 2일 동안은 정맥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후에는 경구 항생제로 전환하여 투여한다.
수술 후 감염 징후를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술 부위의 발적, 부종, 열감, 농성 분비물 등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체온 등 활력징후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011~1042p, 1072~1079p
고자경 외(2017년), 성인간호학 Ⅱ, 퍼시픽북스, 1100-1102p
원종순 외(2015년),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11-217p
서울 아산병원, 질환 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
[KIMS, 약품/의약품 정보] 트리돌 주 50mg/ml
https://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YHYSIJ0A20
[KIMS, 약품/의약품 정보] 케토신 주 30mg/ml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MMNSIJ0G6J
[KIMS, 약품/의약품 정보] 메트몰 주 500mg/5ml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GJUSIJ0DK3
[KIMS, 약품/의약품 정보] 세프트리악손 주 2g
https://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DHWSIJ07KY
[KIMS, 약품/의약품 정보] 마그밀 정 500mg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OSMNSTB000Y
[KIMS, 약품/의약품 정보] 오페릴 50 서방정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SAHSTR07E5
[KIMS, 약품/의약품 정보] 알소벤 정 100mcg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UNMSTB09TF
[KIMS, 약품/의약품 정보] 하트만용액 1000mL(백)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CHWSIJ04M3
[KIMS, 약품/의약품 정보] 데노간 주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YJNSIJ04PM
[KIMS, 약품/의약품 정보] 멕쿨 주
http://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druginfo/EJJYSIJ0DSJ
[네이버 지식백과] 고관절 전치환술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슬관절 전치환술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3.
이우주, 「이우주 의학사전」, 군자출판사, 2012.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2권」, 현문사, 2018
삼성서울병원 , “고관절 치환술 후 근력운동” (2020년 4월 23일)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blogBoard/HealthInfo.do?DP_CODE=SCC&MENU_ID=003018 (2020년 4월 23일)
성인간호학, 박정숙 외, 엘스비어코리아, 2013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2
김민철(2014),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일차적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과 내고정술 후 이차적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비교, 전남대학교
[네이버 지식백과] 고관절 전치환술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