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1.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1.1.1. 평화주의자
평화주의자(Placater) 유형은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억누르는 경향이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갈등을 피하고자 하며, 항상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의하고, 자신을 희생시키는 모습을 보인다. 평화주의자는 주로 타인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행동하며, 자신의 진정한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지 못한다.
1.1.2. 비난자
비난자(Blamer) 유형은 자신의 감정이나 불만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며, 종종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갈등 상황에서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며,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지적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출한다. 비난자는 주로 자신의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타인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
1.1.3. 논리주의자
논리주의자(Computer) 유형은 감정을 억누르고, 이성적으로 상황을 분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감정 표현을 회피하며,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논리주의자는 종종 감정을 억제하며, 문제를 객관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고 오히려 이성과 논리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어, 가족 내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은 가족 관계를 소원하게 만들고 갈등을 해소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1.1.4. 산만자
산만자(Distractor) 유형은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회피하기 위해 주제를 바꾸거나, 주의력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갈등 상황에서 불편함을 느끼며, 이를 피하기 위해 상황을 회피하려고 한다. 산만자는 종종 문제의 본질을 회피하며, 다른 주제로 대화를 돌림으로써 갈등을 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1.1.5. 일치자
다섯째, 일치자(Leveler) 유형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타인의 감정과 욕구를 존중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일치자는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진솔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갈등을 해결하는 데 있어 협력적인 접근을 한다. 일치자는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명확히 표현하면서도,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균형 잡힌 의사소통 방식을 보인다. 이러한 태도를 통해 일치자는 갈등 상황에서도 상호 이해와 존중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2. 필자의 가족 사례 분석
1.2.1. 누나의 의사소통 유형
필자의 누나는 대학 졸업 후 취업 준비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가족 내에서 비난자(Blamer) 유형의 의사소통 방식을 보이기 시작했다. 누나는 부모님이 자신의 취업 준비에 대해 걱정하거나 조언을 할 때, 이를 비난으로 받아들이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취업 준비는 잘 되고 있니?"라고 물었을 때, 누나는 "당신들은 내가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며 화를 냈다. 이러한 반응은 부모님을 당황하게 했으며, 가족 내에서 갈등이 점점 심화되었다.
비난자 유형의 의사소통은 누나의 불안과 스트레스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불안을 부모님에게 표출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해소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부모님과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가족 내에서의 긴장을 증가시켰다. 부모님은 누나의 반응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고, 이는 가족 전체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1.2.2. 가족 갈등 사례
필자의 누나는 대학 졸업 후 취업 스트레스로 인해 가족 내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누나로 하여금 비난자 유형의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누나의 취업 준비에 대해 걱정하거나 조언을 할 때 누나는 이를 비난으로 받아들이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부모님은 당황하게 되었고, 가족 내에서의 갈등이 점차 심화되었다. 이러한 비난자 유형의 의사소통은 누나의 불안과 스트레스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누나는 자신의 불안을 부모님에게 표출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해소하려 했지만, 이는 오히려 부모님과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부모님은 누나의 반응을 이해하지 못했고, 이는 가족 전체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사례에서 누나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비난자 유형의 의사소통 방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