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세대와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대의 개념
2.1. 세대의 정의
2.2. 한국의 세대구성
3. 산업화 세대의 특징과 관점
3.1. 덕수의 산업화 세대론적 관점
4. 정보화 세대의 특징과 관점
4.1. 기택의 정보화 세대론적 관점
5. 영화 에 나타난 세대 간 소통
6. 선배시민과 후배시민의 역할
6.1. No 人 vs Know 人
6.2. 선배시민의 실천과 후배시민과의 소통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노키즈존이라는 문구를 본적이 있는가? 나는 있다. 가끔 카페를 가거나 식당에 가면 노키즈존은 흔하게 볼 수 있다. 노키즈존이란 어린아이의 입장을 금지한다는 뜻에서 사업장에서 아이들을 받지 않겠다 라는 의미로 보통 가게 입구 앞에 붙여놓는다. 하지만 이젠 노키즈존을 넘어 노 시니어존, 노OO존 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하게 배제와 차별을 하는 것이 일상화가 되어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배제와 차별에 대해 우리가 꼭 알아야 할 필요가 있나?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YES 라고 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누구나 어린시절이이 있고 누구에게나 노인이라는 시기는 찾아오기 때문이다. 지금의 차별이 당장의 나에겐 영향이 없을 수 없어도 향후 앞으로 살아갈 날들에 있어서 영향을 받을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대간의 차별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금부터 본론에서 세대간의 차이와 차별 그들의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2. 세대의 개념
2.1. 세대의 정의
세대는 연령에 따라 동시대에 동일한 사건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생기는 것을 말한다. 어른들의 어렸을 적에는 국민 학교를 다녔고 현재의 아이들과 젊은 세대들은 보통 초등학교에 다녔을 것이다. 같은 학교이지만 국민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 초등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은 다르다. 이처럼 상이한 세대를 코호트에 초점을 맞추어 구분한다. 코호트는 인구학적 연령집단으로 생물학적인 출생과 죽음의 리듬에 기반해서 이들을 특징짓는다."
2.2. 한국의 세대구성
한국의 세대구성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지만, 일반적으로 산업화 세대, 민주화 세대, 정보화 세대로 구분된다. 산업화 세대는 1940-50년대에 출생하여 6-70년대 보릿고개를 겪으며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세대로, 국가발전을 우선하는 집합주의와 권위주의, 물질중심적 가치관, 가부장적 가족형태와 고정된 성역할 등이 특징이다. 민주화 세대는 1960년대 후반에 출생하여 1970년대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세대로, 정치인은 국민이 선출해야 한다는 ...
참고 자료
세대와 소통, 유범상, 박기범, 성미애, 이지혜, 장호준, 정준영,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장호준, 정준영, 유범상, 성미애, 박기범, 이지혜| 세대와 소통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0년 08월 01일
호모 헌드렌드, 네이버 지식백과
100세 시대 프로젝트, 네이버 지식백과
고령화 사회,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