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는 60대 가장입니다. 50대 아내, 30대 아들과 관계 향상을 위해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보고서 작성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가족기능의 중요성
1.2.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2.1.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2.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3.1. 프로그램 실행 과정
3.2. 프로그램 평가
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4.1. 가족관계 개선
4.2. 가족 문제 해결 및 예방
5.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5.1. 가족생활교육의 전문화
5.2. 가족생활교육 정책의 활성화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가족기능의 중요성
가족은 개인과 사회의 중간에 위치한 체계로 전체 사회에 대한 하위체계이면서 개인에 대해서는 상위체계의 기능을 수행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가족기능은 사회지향적인 면과 개인지향적인 면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가족은 사회의 하위체계로서 사회의 유지 및 존속에 큰 영향을 준다. 한편으로 가족은 개인의 발전 및 욕구충족 그리고 자아개념·자아정체감 형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개인이 자아실현과 사회적 존재로서 긍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족이 제기능을 바람직하게 수행해야 한다. 이에 가족기능이 바람직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그 가족구성원간의 가족관계가 원만해야 한다.
1.2.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현대사회의 급속한 사회적·경제적 변화로 인하여 사회의 기초를 이루는 가족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 아니라 가족관계도 붕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가족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 가족복지 전문기관에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원만한 가족관계 형성을 조력하고 있다. 여기서 가족생활교육이란 가족생활의 질적 극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가족구성원에게 필요한 자원·정보·기술 등을 제공하고 지도하는 과정으로서 가족복지적 측면에서 가족구성원의 개인적 가치관의 확립과 더불어 타인의 가치관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대인적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가족생활교육은 개인과 가족의 발달을 조력하는 가족생활에 대한 평생교육차원의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2.1.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은 4회로 매주 1회씩 4주간 진행되도록 개발되었다. 각 단계(회)별 제목, 목표, 주요교육내용, 그리고 가족관계 관련 하위변인은 다음과 같다.
첫 회는 '가족관계란?'으로, 라포형성과 가족관계 이해하기를 목표로 한다. 주요교육내용은 가족관계에 대한 강의와 우리 가족 소개이다. 가족관계 관련 하위변인은 전반적인 가족관계 이해이다.
두 번째 회차는 '가족구성...
참고 자료
김유숙 저, 「가족치료」, 학지사 : 서울, 1998
김수현 저,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전보영 저, ‘조손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 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서울, 2011
이혼전문변호사가 말하는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뉴스와이어, 2013.05.10.
이수희, 2005,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권 1호, p.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