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셜미디어 한국의 선거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사례첨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셜미디어와 사회복지정책 여론 형성
1.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영향력
1.2. 정보사회발달이 사회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
1.3. 소셜미디어가 사회복지정책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1.3.1. 긍정적 영향
1.3.2. 부정적 영향
2. 인터넷과 민주주의
2.1. 인터넷을 활용한 시민들의 정치 참여
2.2. 새로운 정치참여 형태: 비제도적 참여
3. 소셜미디어 상의 유행 밈(meme)
3.1. 소셜미디어와 밈의 특성
3.2. 2022년 유행한 주요 밈
3.2.1. 오히려 좋아
3.2.2.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3.2.3. 가보자고
3.3. 2022년 소셜미디어 밈의 공통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셜미디어와 사회복지정책 여론 형성
1.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영향력
소셜미디어는 SocialNetwork Service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고, 서로의 생각이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를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소셜미디어는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 소통, 정보공유 및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또 이를 강화시켜 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한다. 현대 사회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개인의 이동형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시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언제, 어디에서 누구와도 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 기기 보급이 일반화 되면서 SNS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사용하는 SNS의 수량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소셜미디어의 장점은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이 가능하게 하며, 빠른 속도로 많은 이들에게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긍정적인 예로 지진, 산사태, 태풍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현장에 있는 사람들이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SNS통해 전달 할 수 있고, SNS가 시민의 정치 참여를 유발하여 민주화를 요구하는 기폭제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SNS의 장점들이 오히려 사회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불확실한 정보가 쉽게 확산 됨에 따라 사회적 혼란을 유발할 수 도 있으며,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타인에 대한 악의적 비방, 욕설 등이 또다른 사회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렇듯 SNS는 사회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폭발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그 영향력이 사회에든 개개인에게든 누구에게나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무기로 오늘날 자리잡게 되었다.
1.2. 정보사회발달이 사회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발달이 사회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안건 형성 및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서, 소외되었던 국민들의 영향력이 확대된다. 과거에는 국가에서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 정책이 주로 정부 관료들의 판단에 의존하였으나, 현재는 정보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이 국민들에게 여과되지 않은 채로 전달되고, 이에 여론형성 및 사회복지정책 문제의 이슈 또한 국민들에 의해 스스로 형성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국민들의 여론은 정부 관료들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게 되고, 실제적인 사회 복지 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보화는 사회복지정책의 평가에도 영향력을 준다. 과거와는 달리 국민들은 정부 기관의 홈페이지 게시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글을 올리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표출하고, 집행된 정책을 평가하기도 한다. 즉 정보화 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전 국민으로 주체의 범위가 확대 된 것이다. 이것은 평가의 해석과 선택에 있어서 폭넓은 이해관계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역으로 보았을 때 국민들은 의도적으로 또한 한정된 정보를 통해 가치관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스스로가 그러한 영향력 속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민주가 아닌 민주를 외칠 가능성도 높아진 것이다.
이렇듯 정보화로 인해 변화된 그리고 변화될 미래의 사회 복지 정책을 모두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사회는 이미 정보화 단계로 접어들었고, 사회복지 정책의 발달과 진정한 민주화를 실현시키기 위해 미리 분석하고 대비하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할 것이다.
1.3. 소셜미디어가 사회복지정책 여론 형성에 미치는...
...
참고 자료
사회복지정책론(교안). 한울평생교육원
사이버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윤창번 (2001)
온라인을 통한 정책홍보 강화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심재철(2010)
소셜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환경. 삼성경제연구소. 박준 외(2011)
[칼럼] 소셜 네트워크의 영향력과 문제점. 중앙일보. (2011)
박상현, 김성훈, 정승화(2020.09)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신동욱, 양해술 (2010.12) “인터넷미디어의 특성이 정치커뮤니케이션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정보학회
오대영. (2018).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1), 97-115.
정낙원(2013),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사회과학연구”, 24(2), 273-294.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645
https://news.joins.com/article/23222778
“MZ세대를 이해하고 싶다면? 디지털 유행 코드 ‘밈(meme)’을 주목하라” SK하이닉스뉴스룸. 2020-08-03
https://news.skhynix.co.kr/post/trendy-code-meme
서정민 기자. “[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오히려 좋아” 중앙일보. 2022-03-3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9788
“[월드컵 줌인] ‘중꺾마’,’알빠임?’… 월드컵發 희망 가득 ‘밈’ 열풍” 더 팩트 스포츠. 2022-12-08
https://news.tf.co.kr/read/soccer/1984660.htm
“[Z세대 탐구생활 연말결산 밈·화제인물]내봬누·다나카·가보자고“ 뉴시스. 2022-12-31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30_0002142595&cID=10601&pID=1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