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중매체의 효과와 SNS
1.1. 대중매체 효과 이론 개요
1.1.1. 탄환 이론
탄환 이론은 대중매체가 사람들에게 강력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 이론은 마치 주사를 맞듯이, 대중이 매체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를 비판 없이 수용하며, 이로 인해 즉각적이고 통제된 행동 변화가 일어난다고 본다. 특히 20세기 초 라디오, 신문 등이 대중에게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1938년 라디오 드라마 "우주 전쟁"이 방송되었을 때 많은 사람이 외계인의 침공을 실제로 믿었던 사건이 있었다. 이처럼 탄환 이론은 대중매체가 수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보여준다.
1.1.2. 약효과 이론
약효과 이론은 대중매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며, 그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매체의 메시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개인적인 경험, 가치관, 사회적 관계에 따라 매체의 메시지를 해석하고 거부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는 기존의 태도나 신념을 변화시키기보다는 강화하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정치적 광고가 선거에서 유권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연구들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매체가 전달하는 메시지에 얼마나 강하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자신의 기존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메시지를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선택적으로 수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대중매체가 수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탄환 이론과는 대조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1.1.3. 선별 효과 이론
선별 효과 이론은 수용자들이 자신의 신념이나 태도에 부합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이다. 즉, 사람들은 자신이 편하게 느끼거나 자신의 기존 믿음과 일치하는 정보를 더 많이 선택하고 수용하며, 반대로 자신과 다른 정보는 회피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선별 효과는 대중매체 이용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사람들은 보수 성향의 매체를, 진보적인 사람들은 진보 성향의 매체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대중매체를 통해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자신의 기존 관점을 강화하게 된다.
SNS에서도 유사한 선별 효과가 나타난다. SNS의 알고리즘은 개인의 관심사와 성향에 맞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과 유사한 관점의 정보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이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접하기보다는 자신의 기존 신념을 강화하도록 이끌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SNS 사용자는 보수 성향의 정보를 더 많이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반대로 진보적인 사용자는 진보적인 정보에 노출되면서 자신의 정치 성향을 강화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SNS 상에서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별 효과 이론은 SNS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정보 수용 행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