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3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02
11,4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ph3p"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3. 실험 순서

2. 유기금속화합물 합성 실험
2.1. 실험 1: [Ph3PCH2C(O)CH3]Cl 합성
2.2. 실험 2: Ph3P=CHC(O)CH3 합성
2.3. 실험 3: [Ag{CH(PPh3)C(O)CH3}2]NO3 합성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실험 1: [Ph3PCH2C(O)CH3]Cl 합성
3.2. 실험 2: Ph3P=CHC(O)CH3 합성
3.3. 실험 3: [Ag{CH(PPh3)C(O)CH3}2]NO3 합성
3.4. IR Spectroscopy를 통한 구조 분석

4. 전위차 적정 실험 (pH meter 사용)
4.1. 실험 목적
4.2. 실험 원리
4.3. 실험 방법
4.4. 실험 결과 및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무기금속화합물인 [Ag{CH(PPh3)C(O)CH3}2]NO3를 합성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 생성물들인 [Ph3PCH2C(O)CH3]Cl과 Ph3P=CHC(O)CH3의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각 단계에서 생성물들의 수득률과 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유기금속화합물 합성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전위차 적정을 통해 약산과 다가염기에 대한 pKa 및 농도를 구하는 것도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실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PPh3와 ClCH2C(O)CH3가 SN2 메커니즘을 통해 반응하여 [Ph3PCH2C(O)CH3]Cl을 생성한다. PPh3의 강한 염기성으로 인해 ClCH2C(O)CH3의 클로로기가 치환되며 양성자가 빠져나가 양이온인 [Ph3PCH2C(O)CH3]+ 가 형성된다. 이후 클로라이드 이온이 결합하여 [Ph3PCH2C(O)CH3]Cl 화합물이 생성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강염기인 NaOH가 [Ph3PCH2C(O)CH3]Cl의 α-탄소 옆의 수소를 제거하여 공명 안정화된 Ph3P=CHC(O)CH3 화합물이 생성된다. NaOH의 OH-기가 반응물의 카보닐 옆 α-H를 빼앗아 안정한 공명구조를 갖는 생성물을 형성한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Ph3P=CHC(O)CH3이 AgNO3와 반응하여 유기금속화합물인 [Ag{CH(PPh3)C(O)CH3}2]NO3이 생성된다. Ph3P=CHC(O)CH3의 카보닐 탄소와 Ag+ 이온 사이에서 배위결합이 일어나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1.3. 실험 순서

첫 번째로, PPh3와 ClCH2C(O)CH3를 CHCl3 용액 상태에서 환류시키면서 반응시킨다. 그 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생성물인 [Ph3PCH2C(O)CH3]Cl을 흰색 고체 분말의 형태로 얻는다.

이어서 실험 2에서는 얻어진 [Ph3PCH2C(O)CH3]Cl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pH 7 이상의 중성 용액이 되도록 0.5M NaOH(aq)을 첨가한다. 그 후 감압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뒤 일주일간 공기 중에 말려 ph3P=CHC(O)CH3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실험 2의 생성물인 Ph3P=CHC(O)CH3를 AgNO3와 반응시킨다. 이때 Ph3P=CHC(O)CH3가 enol form에서 keto form으로 변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비커를 호일로 감싸 빛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1시간 동안 교반 후 용액을 농축시키고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생성물인 [Ag{CH(PPh3)C(O)CH3}2]NO3를 흰색 고체 분말의 형태로 얻는다.


2. 유기금속화합물 합성 실험
2.1. 실험 1: [Ph3PCH2C(O)CH3]Cl 합성

실험 1에서는 PPh3와 ClCH2C(O)CH3를 반응시켜 [Ph3PCH2C(O)CH3]Cl을 합성하였다. 이 실험은 SN2 메커니즘을 통해 생성물인 [Ph3PCH2C(O)CH3]Cl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실험 과정을 보면, PPh3와 ClCH2C(O)CH3를 함유한 CHCl3 용액을 환류시킨 후 실온 상태에서 용액을 교반하면서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해서 [Ph3PCH2C(O)CH3]Cl을 흰색 고체 분말의 형태로 얻었다. 실험 결과, 이 실험의 수득률은 50.2%로 약간 낮게 나왔는데, 그 이유를 예상해보면 실험 과정 중에 reflux를 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한 것 같고, 일주일 동안 공기 중에 말리는 과정과 전자저울로 수득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도 생성물의 손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IR Spectrometer를 이용해 이 생성물의 IR spectrum을 얻었는데, 생성물에 포함된 작용기인 C-H bond, Carbonyl, benzene(aromatic ring)를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생성하고자 했던 [Ph3PCH2C(O)CH3]Cl을 제대로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2.2. 실험 2: Ph3P=CHC(O)CH3 합성

실험2에서는 실험1의 생성물인 [Ph3PCH2C(O)CH3]Cl을 강염기인 NaOH와 반응시켜 Ph3P=CHC(O)CH3을 합성하였다. 이 반응은 NaOH의 OH-기가 [Ph3PCH2C(O)CH3]Cl의 Carbonyl 옆 α-H(α-C와 결합하고 있는 H)를 제거하여 공명으로 안정한 생성물인 Ph3P=CHC(O)CH3을 만드는 과정이다.

실험에서는 먼저 [Ph3PCH2C(O)CH3]Cl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분말을 수용액 상태로 만든 후 NaOH를 첨가하여 중성 용액을 만들었다. pH 확인은 pH paper를 이용하였다. 이후 감압 여과를 하고 물로 세척한 뒤, 일주일 동안 공기 중에 말려 최종적인 생성물인 Ph3P=CHC(O)CH3을 흰색 고체 분말 형태로 얻었다.

실...


참고 자료

이공학을 위한 무기화학실험, 이순원, 사이플러스, 2013
분석화학/Daniel C.Harris/제9판(번역본)/자유아카데미/2017/p162~163, p216~217, p642, p682
일반화학실험(개정판)/박영동/자유아카데미/2012/p81
레이먼드 창의 일반화학/Raymond Chang /제11판(번역본)/사이플러스/2014/p144~147, p241, p258~262, p653
분석화학/Daniel C.Harris/ 제9판(번역본)/자유아카데미/2017/p162~163, p216~217, p642, p682
일반화학실험(개정판)/박영동/자유아카데미/2012/p81
레이먼드 창의 일반화학/Raymond Chang /제11판(번역본)/사이플러스/2014/p144~147, p241, p258~262
염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3006&cid=62802&categoryId=62802
아세트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27599&cid=62802&categoryId=62802
수산화나트륨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409&cid=40942&categoryId=32260
탄산나트륨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13578&cid=60227&categoryId=6022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