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골반 염증성 질환 정의 및 개요
1.1. 정의
골반 염증성 질환은 질과 자궁 경관을 통해 세균이 침입하여 자궁 및 난관, 난소, 복강 내에 염증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난관염증이 첫 병변이며 림프 혹은 혈행성 감염으로 인해 난소와 골반복막까지 퍼지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생식기 감염 징후는 난관 이외의 난소와 골반복막까지 감염이 나타나며, 이와 같이 혼합된 임상증후군을 골반염증성 질환이라고 한다."
1.2. 병태생리
대부분의 골반염증성 질환 사례는 생식기 하부의 성병 감염에서 비롯된 것으로 가정되며, 그 뒤에 상행 감염이 발생한다"" 자궁경관 점액은 상행 감염에 대한 기능적 장벽으로 작용하지만, 박테리아성 질염에서 생산되는 효소, 월경/배란 중의 호르몬 변화, 역행성 월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그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자궁경관 점액은 상행 감염에 대한 기능적 장벽으로 작용하지만, 박테리아성 질염에서 생산되는 효소, 월경/배란 중의 호르몬 변화, 역행성 월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그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대부분의 골반염증성 질환 사례는 생식기 하부의 성병 감염에서 비롯된 것으로 가정되며, 그 뒤에 상행 감염이 발생한다""
1.3. 원인과 위험요인
골반염증성 질환의 주된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골반염증성 질환의 85%는 성매개 감염이 원인이며, 임균, 클라미디아균, 마이코플라즈마, 화농성균 등 다양한 균주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가드넬라 바지날리스와 같은 질 내 상재균에 의한 감염도 포함된다. 이러한 균들이 질과 자궁 경관을 통해 침입하여 자궁, 난관, 난소, 골반내 부위에 염증을 일으킨다.""
골반염증성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이전에 골반염증성 질환이나 성매개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청소년과 생식연령의 젊은 여성, 자궁내 장치 삽입, 그리고 산후나 유산 후 발생한 자궁경부염, 자궁내막염 등이 있다."" 젊은 여성의 경우 성활동이 활발하여 감염 기회가 3배 이상 높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성매개 감염의 경우 균이 점막을 따라 상행성으로 전파되며, 분만이나 유산 후 발생한 자궁경부염, 자궁내막염이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골반 주위와 난관으로 퍼져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과 위험요인으로 인해 골반염증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2. 임상 증상
2.1. 급성 증상
골반 염증성 질환의 급성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한 골반·하복부 통증이 나타난다. 이 통증은 내진 시 경부를 움직이면 더욱 심해지며, 자궁 및 자궁부속기의 압통과 근육경직이 동반된다. 이러한 통증은 보통 월경 중이나 월경 직후에 나타나는데, 이는 월경 시 자궁내막의 탈락으로 인해 세균에 대한 자궁강 내의 저항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악취가 나는 농성 질 분비물이 관찰된다. 이는 골반 내 감염이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셋째, 고열(38℃ 이상)과 오한, 빈맥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골반 내 감염에 따른 전신 염증반응의 결과이다.
넷째, 오심과 구토가 동반될 수 있다. 이는 골반 내 병변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