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근무 중 1시간의 휴식시간이 내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병동 내 간호사 이직률에 미치는 효과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간호사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 봉사정신이 필요한 직업이다. 그러나 현재 간호사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간호의 질적인 제공에 장애가 생기고 있다. 국내 간호사 이직률은 15.2%로 다른 산업군 이직률(4.9%)보다 월등히 높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란 간호사라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서 직업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개인적인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간호사의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을 불러일으키고 이직으로 생긴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한 신규간호사의 채용과 교육에 많은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동료 간호사의 업무 과중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한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근무 환경은 직무와 근로자 개인에게 모두 영향을 끼치며, 근무에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지 않았을 경우 근로자는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능률이 감소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서 근로자의 근로 환경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하루 8시간 근무를 할 경우 1시간의 휴게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하지만 병원 내 인력 부족과 3교대라는 특수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간호사들에게 이는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전문직 간호사는 법적으로 보장받아야 하는 휴게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8시간 근속하게 되면서 이로 인한 피로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 피로는 결국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고 또한 직무 능률에도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근무중 주어지는 1시간의 휴게시간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이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 호소율과 이직률이 높은 내과 병동 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개선 및 이직률 감소를 위한 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근무중 1시간의 휴식시간을 제공하여 휴식시간이 직무스트레스와 병동 내 간호사 이직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1.3. 연구 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 중 1시간의 휴식시간을 가진 실험군은 휴식 시간을 갖지 않은 대조군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간호사는 다양한 전문지식과 기술, 봉사정신이 요구되는 직업으로 고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내과 병동 간호사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률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근무 중 휴식은 간호사의 피로를 줄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실험군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대조군보다 감소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둘째, 근무 중 1시간의 휴식시간을 가진 실험군은 휴식시간을 갖지 않은 대조군보다 병동 내 이직률이 감소할 것이다.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직무스트레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간호 인력의 부족과 신규 간호사 채용 및 교육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따라서 근무 중 휴식시간 제공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이를 통해 병동 내 간호사 이직률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1.4. 용어 정의
1)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는 이론적 정의로 간호사가 근무와 관련하여 겪는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조작적 정의로는 본 연구에서 안미경(2003)이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을 뜻한다.
2) 1시간의 휴게 시간은 이론적 정의로 근로기준법 제 50조 2항과 제54조 1항 및 2항에 따라 간호사가 근무중 1시간의 휴게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조작적 정의로는 본 연구에서 근무 듀티 별 내과 병동 간호사들이 2조로 나뉘어 한 번의 식사시간 후로 1시간의 휴식시간을 교차적으로 가지는 것이다.
3) 내과 병동 간호사는 이론적 정의로 간호사 면허 소지자로 병원 내 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조작적 정의로는 본 연구에서 385병상을 보유한 경상북도 경주시의 동국대학교 병원 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면허를 소지한 간호사를 의미한다.
4) 이직률은 이론적 정의로 업체가 근로자들을 정당한 사유로 면직하는 해고, 근로자 자신의 희망 사직·퇴직, 동일 기업 내의 다른 사업체 배치전환에 따른 전출 등으로 이직이 발생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조작적 정의로는 본 연구에서 경상북도 경주시의 동국대학교 병원 내과 병동인 실험군 61병동과 대조군 62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1년간 이직률을 의미한다.
1.5.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근무 중 주어지는 1시간의 휴게시간이 내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설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를 통해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병동 내 이직률을 측정한다. 실험군에게는 근무 중 1시간의 휴게시간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휴게시간을 제공하지 않는다. 실험 처치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후 조사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병동 내 이직률을 측정한다.
실험 처치는 2022년 12월 06일부터 2023년 6월 6일까지 6개월간 시행한다. 이를 통해 근무 중 1시간의 휴게시간이 내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