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포생리학실험 - 세포 배양 및 유전자 추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세포배양의 개요
1.2. HEK293T 세포주
1.3. 핵산 분리의 필요성
2. 세포 배양
2.1. 부착세포와 부유세포
2.2. 계대배양 과정
2.3. 배지 조성과 pH 조절
3. DNA 추출
3.1. DNA 추출 방법
3.2. DNA 추출 실험 결과
4. RNA 추출
4.1. RNA 추출 방법
4.2. RNA 추출 실험 결과
5. 실험 결과 해석
5.1. 세포 형태 변화
5.2. 배지 pH 변화
5.3. DNA와 RNA 분리 과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세포배양의 개요
세포배양이란 넓은 의미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들 중 동물,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미생물들을 생체조직이 아닌 영양물, 전해질, pH,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 습도 등 요건이 충족된 인공배지에서 증식하게 하여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기능에 관한 연구, 각종 질환의 진단 및 관련 유전인자의 확인, 치료목적의 유용한 물질의 개발과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기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1.2. HEK293T 세포주
HEK293T 세포주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에 아데노바이러스 5번 DNA를 형질전환시켜 만들어진 세포주이다. 이 세포주는 SV40 large T antigen이라는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어, 인간 배아 신장 세포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무한정 증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HEK293T 세포주는 생물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세포주로, 단백질 생산, 유전자 도입 실험 등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특히 다른 세포주에 비해 유전자 도입이 용이하고 증식 속도가 빨라 실험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포 배양 과정이 간단하고 관리가 쉬워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HEK293T 세포주는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기초 연구부터 응용 연구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1.3. 핵산 분리의 필요성
핵산 분리의 필요성은 여러 가지가 있다. 모든 생물체는 유전물질인 DNA와 RNA를 가지고 있는데, 이 핵산들을 분리하여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첫째, DNA는 생물체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DNA 분리를 통해 이 유전정보를 연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던 블롯 분석, 유전체 라이브러리 제작, 유전자변형 생물 검출 등에 필요하다. 둘째, RNA는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핵산이므로 RNA 분리를 통해 유전자 발현 양상과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 있다. 노던 블롯 분석, RT-PCR, cDNA 라이브러리 제작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DNA와 RNA를 분리하는 것은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매우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2. 세포 배양
2.1. 부착세포와 부유세포
부착세포와 부유세포는 세포배양에 있어 중요한 두 가지 형태이다. 부착세포는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하여 자라는 세포로, 대부분의 조직세포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착세포는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단백질과 결합하여 부착하게 되며, 배양용기 바닥에 펼쳐진 모습으로 관찰된다. 반면 부유세포는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하지 않고 부유하며 자라는 세포로, 대표적인 예로 혈액세포가 있다. 이러한 부유세포는 세포와 세포 간의 결합이 약하여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하지 않고 부유하는 상태로 관찰된다.
부착세포와 부유세포는 계대배양 과정에서 서로 다른 처리방식이 필요하다. 부착세포의 경우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되어 있어 계대배양 시 세포와 바닥 간의 결합을 끊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로 Trypsin-EDTA 용액을 사용하는데, Trypsin은 세포 간 결합을 끊고 EDTA는 부착단백질과 세포 간의 결합을 끊는다. 반면 부유세포는 배양용기 바닥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순히 배양액과 함께 옮겨주면 된다. 이처럼 부착세포와 부유세포는 세포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계대배양 시 다른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2.2. 계대배양 과정
계대배양 과정은 초대배양을 통해 얻은 세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배양하는 과정이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는 부착배양을 해야 하며, 세포가 배양접시 바닥면에 부착되어 퍼진 후 증식하게 된다. 그러나 세포가 배양용기에서 증식하여 포화상태가 되면 일부 세포들이 떨어져 나가거나 죽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포를 새로운 배양용기로 옮겨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지속적인 배양이 가능하게 한다.
계대배양 과정에서는 바닥에 부착된 세포를 Trypsin-EDTA 용액을 사용하여 떼어낸다. Trypsin은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끊는 역할을 하고, EDTA는 세포-기질 간의 결합을 방해하여 세포를 분리시킨다. 이렇게 분리된 세포를 새로운 배양용기에 옮겨 담아 배양을 지속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세포를 장기간 배양할 수 있다.
계대배양 시에는 세포를 적절한 밀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포가 너무 밀집되면 영양분 및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세포 생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수행하여 세포 밀도를 조절한다.
이처럼 계대배양 과정을 통해 보다 균질한 세포 집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세포를 장기간 배양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실험적 조작, 클론화, 증식 연구 등에 유용...
참고 자료
강영희 외 편저. 2008.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p. 2013.
권순일 외 3명. 2016. 임상분자생물학. 정문각. pp. 116-117
김영희. 2011. 분자 생물학 실험서(2판). 월드사이언스. pp.165, 170-171.
김영희. 2011. 분자 생물학 실험서(3판). 월드사이언스. pp.123-124
김준 외 공저. 2019. 생화학:분자생물학 실험서. 범문에듀케이션. pp.325-326, 332-334.
문자영 외 16명. 2021. 세포학: 분자적 접근(8판). 월드사이언스. pp. 3, 22-25
박정수. 2004. 세포노화, 세포자연사, 발암. 대한노인병학회지. 8(1), 1-7.
오상진. 2015. 노화의 생물학. 탐구당. pp. 5-11, 118-120.
장태용 외 4명. 2021. 미생물학 길라잡이(11판). 라이프사이언스. pp. 78-79
Avery OT, Macleod CM and McCarty M (1944). "Studies on the Chemical Nature of the Substance Inducing Transformation of Pneumococcal Types: Induction of Transformation by a Desoxyribonucleic Acid Fraction Isolated from Pneumococcus Type III".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79 (2): 137–58
Chomczynski P. and Sacchi N. 2006. The single-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acid guanidin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 twenty-something years on. Nature protocols, 1(2), 581-585.
DULBECCO R and FREEMAN G (1959). "Plaque production by the polyoma virus". Virology. 8 (3): 396–7.
George O. Gey, Ward D. Coffman and Mary T. Kubicek. Tissue Culture studies of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cervical carcinoma and normal epithelium. Johns Hopkins hospital and university, Baltimore, MD, cancer research vol.12. 1952. pp. 264-265
Graham, J. and others. (1977)Characteristics of a human cell line transformed by DNA from human adenovirus type 5, 36 , pp. 59-74
Hayflick L. 1965. The limited in vitro lifetime of human diploid cell strains. Exp Cell Res;37:614-6.
Rio D, Clark S and Tjian R ( 1985). "A mammalian host-vector system that regulates expression and amplification of transfected genes by temperature induction". Science. 227 (4682): 23–28.
Taylor R. and others. 2018. Campbell biology : concepts & connections Ninth edition. Pearson. p.247.
William S. klug and others. 2018. Essentials of genetics. 바이오사이언스. pp. 168-169, 174, 205
Campbell, M. K., and O. F. Shawn. 2009. 생화학 6th Ed., 라이프사이언스, pp237-239
Dakasi, G., G. Yoko., N. Yasuo., D. Seiichi., D. Naoyuki., D. Yasui., M. Dakasi., S. Naruya., S. Paabo., H. Yasao., and H. Hirohumi. 2012. Newton highlight 생명과학의 기초 DNA., 1st Ed., 뉴턴코리아, pp6-17
Daniel, D. C. 2011. 인체생명과학 6th Ed., 라이프사이언스, pp320-321
Geoffrey, M. C. 2002. 분자세포생물학(The Cell). 1st Ed., 도서출판 한우리, p86, pp239-240
Kang, H. I. 2006. 전기영동 최신 프로토콜. 1st Ed., 도서출판 월드사이언스, p14
Kim, T. J., H. K. Kang, and S. K. Kim. 2004. 세포배양학 개론. 도서출판 고려의학, pp173-175, p199, pp205-207
Reece, J. B., L. A. Urry., M. L. Cain., S. A. Wasserman., P. V. Minorsky., and R. B. Jackson. 2012. 캠벨 생명과학. 9th Ed., 바이오사이언스, p5
Scott, F. G. 2004. 발생생물학. 7th Ed., 라이프사이언스, pp56-60
http://en.wikipedia.org/wiki/HEK_293_cells
http://en.wikipedia.org/wiki/RNA_extraction
http://en.wikipedia.org/wiki/DNA_extraction#Detecting_DNA
Katsuya Iuchi et al. 2020. Different morphologies of human embryonic kidney 293T cells in various types of culture dishes, Cytotechnology 72, p.132
문자영 외16인. 2021. 세포학 분자적 접근, 제8판, 월드사이언스, pp.22~25
박승택. 1997. 조직세포배양, 계축문화사, p.179
박승택. 2002. 세포배양의 이해, 정문각, p.99, pp.101~103, p.108
김태전 외2인. 2004. 세포배양학 개론, 고려의학, p.208, p.210
남상욱 외2인. 2020. 유전공학의 이해, 제3판, 라이프사이언스, pp.40~42, p.44, p.46
대한화학회. 2010.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7판, 천문각, p.122, p.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