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우스 해부 실험 introduc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및 배경
1.1. 실험동물로서의 생쥐
1.1.1. 생쥐의 특성
1.1.2. 실험동물로 사용되는 이유
1.2. 포유류의 특징
1.3. 동물실험의 윤리
1.3.1.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고려
1.3.2.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역할
2. 생쥐의 해부와 내부 구조 관찰
2.1. 마취 및 해부 방법
2.2. 내부 장기의 관찰
2.2.1. 뇌
2.2.2. 폐
2.2.3. 심장
2.2.4. 간
2.2.5. 비장
2.2.6. 신장
2.2.7. 위
2.2.8. 소장
2.2.9. 대장
2.3. 생식기관 관찰
2.3.1. 암컷 생식기관
2.3.2. 수컷 생식기관
3. 결과 분석 및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및 배경
1.1. 실험동물로서의 생쥐
1.1.1. 생쥐의 특성
생쥐는 설치목(Rodentia) 쥐과(Muridae)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이다. 체장은 약 8cm, 꼬리길이는 약 7cm이며, 체중은 30~40g 전후이다. 평균 수명은 2~2.5년이다. 잡식성 동물로, 외모는 백색에서 흑색까지 다양한 모색을 지니고 있다. 번식력이 좋아 임신기간이 12~14일, 한 배에 약 1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생후 약 80일이면 번식이 가능하다. 온화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쉽게 다룰 수 있으며, 근교퇴화가 일어나지 않아 많은 근교계가 만들어져 있다. 이처럼 생쥐는 크기나 형태, 번식력, 성격 등의 특성으로 인해 실험동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1.2. 실험동물로 사용되는 이유
생쥐가 실험동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생쥐는 포유류 중에서도 유전적 특성을 달리하는 많은 계통이 만들어져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목적에 적합한 계통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생애주기(life cycle)가 다른 실험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세대 교대를 빨리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유전학적, 세대적 특성 연구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게다가 생쥐는 번식능력이 우수하고 사육관리가 용이하며, 연구나 생물검정에 있어서 다수의 동물을 일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계적 결론을 얻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람과 유사한 질병의 생쥐를 선택하여 목적에 맞는 실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이점이 있다.
다만 체격이 작아 외과수술, 시험장치의 부착, 혈액·소변·젖 등의 시료 연속 채취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생쥐가 실험동물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포유류 중에서도 실험에 가장 적합한 특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1.2. 포유류의 특징
포유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포유류는 몸이 머리, 목, 몸통, 꼬리의 4부분으로 구분되고 털로 덮여 있으며 젖샘이 있어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온혈동물이다. 또한, 뇌의 발달이 현저하여 척추동물 중에서뿐만 아니라 전체 동물계에서도 가장 지능이 뛰어난 무리이다. 가슴과 배 사이에 근육성의 가로막(횡격막)이 있으며 심장은 2심방 2심실로 되어있고 혈액은 체순환과 폐순환을 한다. 땀샘이 있고 체내수정을 하며, 대부분이 태생이다. 4다리로 땅위를 걷는 야행성동물이 많아서 조류에 비해 후각이 예민하고 상대적으로 시각이 덜 예민하다. 지상, 수중, 공중 등 여러 공간에서 활동하며, 지상에서도 여러 가지 지세, 풍토에 각각 적응하여 지구상에 널리 분포한다."
1.3. 동물실험의 윤리
1.3.1.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고려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고려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동물실험은 사람의 이익을 위해 동물에게 고통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동물실험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사람들은 동물실험이 본래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복지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물실험의 혜택은 대부분 사람이 얻게 되고, 동물은 단지 희생만을 하게 된다는 비판도 있다. 즉, 동물경시의 많은 부분이 연구자들의 윤리관 결여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물실험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때는 혜택을 받는 측의 이익의 크기와 실험동물이 겪는 고통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동물실험계획서의 심사와 실시 상황을 감시하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와 같은 조직이 필요하다. 이 위원회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뿐만 아니라 동물애호가 등 다양한 지식인이 참여하여 동물실험의 윤리성을 평가하고 있다.
결국 동물실험의 윤리적 고려는 단순히 실험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해 얻게 되는 이익과 동물이 겪는 고통의 균형을 끊임없이 검토하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동물실험의 허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연구자들의 윤리의식 제고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3.2.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역할
동물실험윤리위원회는 동물보호법 제25조의 규정에 따라 실험동물의 윤리적, 과학적 취급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동물실험시설운영기관에 설치 및 운영된 합의제 의결기구이다. 동물실험윤리위원회는 동물실험계획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의 심의 및 승인, 실험동물의 생산도입관리이용 및 실험이 종료된 후 해당 물의 처리에 관한 확인 및 평가, 동물실험시설 운용실태 확인 및 평가 등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의 윤리적, 과학적 취급을 통해 동물실험의 연구품질을 향상시키고 윤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대효과가 나타난다.
2. 생쥐의 해부와 내부 구조 관찰
2.1. 마취 및 해부 방법
생쥐를 안락사하는 방법으로는 CO2 챔버 사용, 경추 탈골, 복강 주사 등이 있다. CO2 챔버를 이용하여 안락사시키는 경우 CO2 가스를 주입하여 질식사시키는 방법이며, 경추 탈골은 두 손가락으로 목을 눌러 경추를 분리시켜 ...
참고 자료
김익달 저, , 학원사, 2003, p. 832
김완종 외 9인, <해부학실습>, 정문각, 1992, p.238~263
강두희 저, <생리학> 제4판, 신광출판사, 1992, p.130
강신성 저, <생물과학> 제3판, 아카데미서적, 2000.02.10
곽대오 외 9명 공저, <일반 생물학>, 형설출판사, 1997, p. 342, 344, 345
네이버 지식백과, 쥐 [rat],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ld=422498&cid=60261&categoryld=60261
대학생물학 교재 편찬 위원회, <일반생물학>, 자유아카데미, 1996, p. 288~295
이정일 저, <일반 생물학 및 실험서> 1999, P 203~210
약물학분과회, <약물학/독성학 실험>, 신일북스, 2004, 14∼16p
예방약학분과회, <예방약학>, 신일북스, 2020, 232∼237p
George C.kent&Larry Miller, <척추동물의 비교생리학>, 월드사이언스, 1999, 1st ed
science.ytn.co.kr/site/ ‘[과학본색] '흰 쥐'의 해... 생명과학 발전 이끈 실험용 쥐’ Post
www.biologycorner.com/ ‘Rat Navigaion’ Post
네이버 두산백과 – 설치류
김생곤 외 8명, 척추동물 해부학, 정문각, 2005
권혁빈 외 11인, 2011년, 생명과학 실험서, 312~314p, 라이프사이언스
http://m.blog.naver.com/godoong_v/6011052397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205&cid=40942&categoryId=3275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591&cid=40942&categoryId=32310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09395&thread=09r02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394&efYd=2015012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