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나리오
1.1. 시나리오 개요
83세 여자 김OO님은 oo동 주택에 거주 중이시다. 기혼이시나 1년 전 배우자가 폐렴으로 인해 사망하신 후 혼자 살고 계신다. 배우자를 잃으신 후 배우자가 아플 때 따로 지냈던 방에는 들어가시지도 못하며 우울함을 느끼고 계신다. 가족관계는 아들 2명과 딸 1명이 있고 큰아들은 다른 지역에 거주 중이다. 큰아들의 직업 특성상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아 목, 허리, 다리를 수술하여 걱정이 많으셨다. 둘째 아들과 딸은 대상자의 집과 가까이 거주하며 자주 들린다고 하신다. 특히 며느리가 자주 방문하며, 며느리가 키우는 강아지를 출근하기 전 대상자분에게 데려다주면서 오래는 아니지만 매일 대상자분과 접촉을 하신다.
1.2. 대상자 특성
83세 여자 김OO님은 기혼이시나 1년 전 배우자가 폐렴으로 사망하신 후 혼자 살고 계신다. 가족관계는 아들 2명과 딸 1명이 있고 큰아들은 다른 지역에 거주 중이다. 둘째 아들과 딸은 대상자의 집과 가까이 거주하며 자주 들린다고 하신다. 특히 며느리가 자주 방문하며, 며느리가 키우는 강아지를 출근하기 전 대상자분에게 데려다주면서 매일 대상자분과 접촉을 하신다. 대상자분께서는 1년 전 남편의 죽음으로 인해 그 이후로 잠을 자기가 힘들어지며 불면증을 겪고 있다. 현재 지속적인 우울감을 느끼고 있으며 우울증의 과거력이 있다. 최근 1년 사이 55kg에서 39kg으로 몸무게가 감소되었다. 하루의 대부분을 침대에서 지내며 집에서 강아지와만 생활한다. 이러한 것들 때문에 대상자분은 삶을 사는 게 재미없다고 느끼며 "이 나이 먹고 오래사는 것도 안좋아. 그냥 빨리 죽었으면 좋겠어"라고 자주 말씀을 하신다..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물리적 환경
집안 환경은 전반적으로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었다. 복용하고 있는 약도 질환별로 바구니에 정리가 되어있었고,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거실, 부엌과 방에 모두 미끄러지기 어려운 매트가 깔려있었다. 화장실 앞에는 보조 손잡이가 있어 어두운 밤에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화장실 내부는 바닥이 젖어있어 낙상 위험이 있었다. 대상자가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방의 침대 주변에는 휴지통과 약, 물컵이 있어 편의성이 높았지만 옷장 위의 수건을 꺼내기 위해서는 침대를 기어올라가야 했다. 안방 문은 완전히 열리지 않아 불편했다. 전반적으로 집안의 환경은 깨끗하고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었지만, 일부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2.2. 인구학적 특성
부산진구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산진구의 전체 인구수는 357,190명으로, 이 중 남성은 172,803명, 여성은 184,387명이다. 따라서 남녀성비(남/여*100)는 93.7로 나타나,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부산광역시 전체 인구에서 부산진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3%로, 부산광역시 전체 고령화율 18.8%보다 높다. 이는 부산진구의 고령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의미한다.
부산진구의 1인 가구 비율은 34.1%로, 부산광역시 전체 1인 가구 비율 29.7%보다 높은 편이다. 이는 부산진구가 단독 가구 거주 비율이 높은 지역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부산진구는 다문화 가구가 1,286개로 부산광역시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지역이며, 이 중 개금3동에는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이 30명 거주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부산진구 내에서도 특히 개금3동 지역에 다문화 가구가 밀집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부산진구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총 11,600가구이며, 이 중 개금3동에 1,277가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동에 비해 개금3동의 저소득층 비율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부산진구는 여성 인구가 많고 고령화 비율이 높으며, 1인 가구와 다문화 가구, 저소득 가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3. 건강상태 및 보건상태
83세 여자 김OO님의 건강상태 및 보건상태는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