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역학과 수학
1.1. 라그랑주 역학
1.1.1. 라그랑주의 생애
라그랑주는 프랑스계 이탈리아 태생의 수학자로, 1736년 토리노 시에서 부유한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라그랑주의 아버지는 Sardinia 국왕의 회계상인이었으나 실수로 재산을 탕진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라그랑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홀로 공부에 전념할 수밖에 없었다.
라그랑주는 그리스와 로마의 시인들의 작품에 몰두하다가 우연히 Edmond Halley의 전기를 읽고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7세까지는 수학에 대한 흥미가 전혀 없었으나, Halley의 대수학 관련 논문을 읽고 독학으로 수학에 매진하게 되었다.
19세에 토리노 육군학교 수학교수가 된 라그랑주는 등주(等周) 문제의 일반적 취급에 관하여 L.오일러의 인정을 받았다. 이후 1766년 달랑베르의 추천으로 프리드리히대왕의 초빙을 받아 베를린 아카데미의 수학부장이 되었다. 87년부터는 파리에 거주하며 활동하였고, 프랑스혁명 당시에는 신(新)정부 아래에서 신도량형법제정위원장을 역임하였다.
95년에는 신설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의 교수, 97년에는 파리 이공대학의 초대학장이 되었다. 나폴레옹 1세 시대에는 상원의원이 되었으며 백작의 작위를 받기도 하였다.
라그랑주는 등주문제, 변분학, 정수론, 미분방정식론, 타원함수론, 불변식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해석역학(1787)》을 통해 역학사에 새로운 단계를 열었으며, 삼체문제 연구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음전파의 이론적 연구, 파동방정식 연구, 지도학 이론 등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달성하였다.""
1.1.2. 라그랑주 역학의 개념과 원리
라그랑주 역학의 개념과 원리는 다음과 같다.
라그랑주 역학은 뉴턴 역학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역학 체계로, 동역학을 보다 일반적이고 체계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라그랑주는 계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있어 좌표와 운동량에 대한 일반화된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복잡한 입자계의 운동을 보다 간단한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라그랑주 역학의 핵심 개념은 라그랑주 함수(Lagrangian)이다. 라그랑주 함수는 계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차이로 정의되며, 이를 일반화된 좌표와 일반화된 속도의 함수로 나타낸다. 이 라그랑주 함수를 극값의 원리에 적용하면 운동방정식인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도출된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일반화된 좌표와 속도만을 이용하여 계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게 해준다.
라그랑주 역학의 또 다른 핵심 개념은 일반화된 좌표와 일반화된 운동량이다. 복잡한 계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라그랑주는 일반화된 좌표를 도입하였다. 일반화된 좌표는 계의 구속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독립적이며, 이를 통해 계의 자유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화된 운동량은 일반화된 좌표와 속도의 편미분으로 정의되며, 이를 통해 운동방정식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이처럼 라그랑주 역학은 일반화된 좌표와 속도, 그리고 라그랑주 함수를 통해 계의 운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기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복잡한 동역학 문제를 단순화하고 일반화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1.1.3. 라그랑주 함수
라그랑주 함수란 물리계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고 운동을 규정하는 양이다. 라그랑주 함수 L은 계의 운동에너지 T와 퍼텐셜에너지 U의 차로 정의되며, L=T-U로 표현된다.
이러한 라그랑주 함수 L은 일반화된 좌표 q와 그 시간미분 q̇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계의 위치를 결정하는 일반화된 좌표 q와 그 시간에 따른 변화율 q̇로 라그랑주 함수 L=L(q,q̇)가 나타내어진다. 이를 통해 계의 전체 운동이 기술되므로, 라그랑주 형식은 해석역학의 기본적인 체계를 형성한다.
뉴턴 역학, 전자기장 내 하전입자의 운동, 상대론의 운동방정식 등 여러 물리계에서의 운동방정식도 이러한 라그랑주 형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즉, 일반화된 좌표와 그에 대한 시간미분으로 표현되는 라그랑주 함수 L을 통해 해당 계의 운동을 통일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 것이다.
라그랑주 함수 L을 이용하면, 일반화된 좌표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