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수문사 호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구조
1.1.1.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
1.1.2. 허파
1.1.3. 가슴우리(흉곽)
1.2. 기능
1.2.1. 호흡생리
1.2.2. 호흡 조절
2. 건강사정
2.1. 건강력
2.1.1. 호흡계 질환의 위험 요인
2.1.2. 호흡계 질환 증상
2.2. 신체검진
2.3. 임상진단 검사
3. COPD 간호문제 및 간호계획
3.1.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2.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3.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구조
1.1.1.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
기관은 직경 2~2.5cm, 길이 11cm의 관으로 기관분기부(제 5번 등뼈와 복장뼈몸통자루 경계부위)에서 오른쪽과 왼쪽 2개의 주기관지로 갈라진다. 기관의 내강은 섬모가 붙어있는 상피세포로 구성되고 술잔세포에서는 점액을 분비한다. 기도근육은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이완되어 내강이 넓어지고 부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수축되어 좁아진다. 두 개의 주기관지 중 오른 주기관지는 왼 주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 경사가 급해 흡인이 용이하다. 오른 주기관지는 가가 3개의 엽기관지(상,중,하)로, 왼 주기관지는 2개의 엽기관지(상,하)로 분지한다. 호흡세기관지는 호흡종말세기관지와 허파꽈리관, 허파꽈리주머니 및 허파꽈리로 구성된다.
1.1.2. 허파
허파는 빗장뼈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로막 쪽 넓은 면에 허파바닥이 자리잡고 있다. 오른쪽 허파가 왼쪽 허파보다 길고 무겁다. 허파는 기관지순환과 가스교환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기관지순환은 허파를 포함한 전체 호흡기관에 영양을 공급하고, 흡입된 공기를 따뜻하게 하며 습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가스교환에는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반면 허파순환은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이 폐동맥을 통해 허파로 들어가 모세혈관에서 가스교환을 거쳐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는 순환을 말한다.
허파꽈리는 표면활성제가 적절하게 분비되지 않으면 허탈될 수 있다. 표면활성제는 허파꽈리의 표면장력을 낮춰 들숨시 허파팽창을 도와 환기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3. 가슴우리(흉곽)
가슴우리(흉곽)는 좌우 12개의 갈비뼈, 복장뼈, 어깨뼈 및 등골뼈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물 안에는 허파와 심장, 큰혈관, 림프절, 가슴샘 및 식도가 위치한다. 갈비뼈 사이에는 갈비사이근이 있으며, 가슴우리의 바닥쪽은 가로막이 위치한다. 가슴막(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액성막으로, 두 개의 가슴막 사이를 가슴막안이라고 하며 장액성 액체가 있어 윤활제 역할과 들숨 시기에 허파가 팽창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슴막 안은 항상 음압 상태를 유지한다.
들숨 시에는 갈비뼈 간격이 벌어지고 가슴위쪽으로 넓어지며, 가로막 수축과 가슴우리가 넓어지면서 가슴 안 음압이 증가한다. 호기 시에는 갈비뼈 사이근육과 가로막이 이완되면서 가슴 안 부피가 좁아지고 허파 안 공기가 양압이 된다. 이러한 가슴우리의 구조와 기능은 호흡 과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즉, 흉곽의 펌프 기능으로 공기 흐름을 유발하고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결국 가슴우리는 폐와 함께 호흡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기관으로, 폐의 환기와 가스 교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슴우리의 구조와 기능 장애는 호흡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2. 기능
1.2.1. 호흡생리
환기는 기도를 따라 폐로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이다."" 신선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고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공기가 체외로 배출된다." 환기량-관류량 비율이 4/5, 즉 0.8:1일 때 폐의 가스교환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가스교환은 허파꽈리 내에서 가스의 분압 차이에 의해 확산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가스분자는 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한다."
폐순응도는 압력을 가했을 때 허파가 팽창되는 정도를 말하며, 탄성 반동은 확장된 허파를 팽창되기 이전으로 되돌리는 압력을 뜻한다."" 기도 저항은 흡기 동안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호흡 중에 이겨내야 하는 힘이다."
산소의 대부분은 산소혈색소(산소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되며, 혈색소와 산소의 친화성은 산소해리곡선으로 나타낸다." 곡선의 좌측 이동은 많은 혈색소가 산화되어 있지만 조직으로의 산소 유리가 적음을 의미하며, 우측 이동은 친화성이 낮아져 산소포화도는...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1, 김금순 저, 수문사, 2016.02.26.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Ⅰ」, 파주시: 수문사; 2017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Ⅱ」, 파주시: 수문사; 2020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7판. 서울시: 현문사; 2019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5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8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1판. 서울시: 고문사; 2019
정기석 ( Ki Suck Jung ). "COPD의 치료가이드." 대한내과학회지 77.4 (2009): 422-428.
이계영. "COPD 증상의 단계별 치료 지침." 대한내과학회지 62.5 (2002): 591-595.
정기석 ( Ki Suck Jung ). "COPD의 치료가이드." 대한내과학회지 77.4 (2009): 422-42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II, 수문사
세브란스 심장혈관 병원,
https://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education/normal/view.asp?con_no=21989&page=1&SearchField=&SearchWord=
Youngin scientific, NT-proBNP, https://youngin.com/product/applicationView.do?seq=108
서울아산병원, 혈색소,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19
서울삼성병원, 심장재활예방팀,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XB301&MENU_ID=0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