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방어기제는 정신구조의 내적갈등이나 외부 환경의 요구와 자아가 갈등에 직면하여 불안이 일어날 때, 자아가 불안을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개인을 보호해 주는 심리적 과정이다. 방어기제의 개념은 프로이드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마음내의 갈등에 대하여 가장 초기에 언급한 것 중의 하나이다. 초기 방어 이론은 방어가 불안을 일으킬 수 있는 추동이나 소망을 의식되지 않게 한다고 보았으며, 방어의 심리 내적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에 보다 초점을 두었다. 최근에는 방어기제를 성격형성의 기초와 특정 성격의 행동 지표 또는 증상 형성의 결정요소로서 인식한다. 정신역동이론의 입장에서, 방어기제는 신경증적 증상해석을 비롯하여 인격형성, 적응 및 대처방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자와 더불어 정상인의 성격, 행동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2. 방어기제의 개념
방어기제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불안하거나 피하고 싶은 상황에 직면하게 되어,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때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불안을 제거하려는 심리기제이다. 프로이드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마음내의 갈등에 대하여 가장 초기에 언급한 것 중 하나이다. 정신분석 용어사전에는 방어를 '위험들과 그에 수반되는 불쾌한 정동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자아의 분투'로 정의한다. 초기 방어 이론은 방어가 불안을 일으킬 수 있는 추동이나 소망을 의식되지 않게 한다고 보았으며, 방어의 심리 내적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에 보다 초점을 두었다. 최근에는 방어기제를 성격형성의 기초와 특정 성격의 행동 지표 또는 증상 형성의 결정요소로서 인식한다. 정신역동이론의 입장에서 방어기제는 신경증적 증상해석을 비롯하여 인격형성, 적응 및 대처방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자와 더불어 정상인의 성격, 행동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3. 방어기제의 종류
3.1. 억압
억압은 가장 보편적이고 원시적인 방어기제로, 받아들일 수 없는 욕망, 감정, 기억, 사고 등을 의식 수준에서 몰아내어 무의식 속으로 집어넣는 것이다. 특히 죄책감, 수치심,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경험일수록 억압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2학년 때 긴 두 개의 동시를 암기하는 숙제가 있었으나, 암기에 취약했던 아이는 그 숙제가 있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친구들과 놀기만 했다. 결국 나머지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 느낀 창피함이 너무 커서 이후로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숙제를 열심히 하게 되었다. 이처럼 고통스러운 기억을 무의식 속으로 억압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억압은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생각이나 감정을 의식의 영역에서 무의식 속으로 배제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가장 원시적이고 보편적인 방어기제라고 할 수 있다.
3.2. 억제
억제는 의식적 혹은 반의식적으로 특정한 사실을 잊으려는 노력이다. 개인이 특정한 상황에 대한 기억이나 인식을 억누르거나 막으려 하는 방어기제이다. 실연당한 젊은이가 한때 사랑했던 연인과의 기억을 잊으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억제는 무의식의 영역이 아닌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방어기제이다.
3.3. 취소
취소는 스스로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일으키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취소 또는 무효화하려는 방어기제이다. 보통 속죄행위가 여기에 해당된다. 어릴 적 아빠가 외박을 하시고 난 후에 예쁜 미미인형을 사와서 저와 동생에게 주시고 엄마가 좋아하는 양념치킨을 시켜 주셨는데, 이제 보니 아빠는 취소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