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벼의 기상생태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벼의 기상생태형
2.1. 기상생태형의 분류
2.2. 기상생태형의 지리적 분포
2.3. 기상생태형과 재배적 특성
2.4. 우리나라 작물의 기상생태형
3. 올늦음성에 따른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
4. 우리나라 조생종 벼를 필리핀에서 재배했을 때 예상되는 생육특성
4.1. 우리나라 벼 품종의 구분
4.2. 필리핀의 기후 환경과 벼의 기상생태형
4.3. 우리나라 조생종 벼의 필리핀 재배 시 예상되는 생육특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통일벼의 육성이 1970년에 이루어진 사건은 한국이 보릿고개 위기를 극복하고 주요 작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게 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어서 통일벼의 단점을 극복하여 쌀의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고, 일본의 쌀 재배기술이 극적으로 발전하여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 통일벼의 사례와 같이 농촌진흥청 식량종자 개발부터 보급, 식량종자 보급까지 모든 면에서 종자에 관하여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식량안보라는 국가적 목표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볼 수 있지만 국내 식품 종자업체들이 설 자리를 잃은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 농림축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세계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골든 씨드 프로젝트(GSP)를 추진하고 있으며, 식량종자 분야 쌀, 감자, 옥수수를 대상으로 하여 사업에도 참여한다.
2. 벼의 기상생태형
2.1. 기상생태형의 분류
기상생태형의 분류는 온도와 일장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기준으로 하며, 감광형(bLt형), 감온형(blT형), 기본영양생장형(Blt형), blt형의 4가지로 구분된다"
감광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기간이 짧고 감온성은 낮으며 감광성만이 큰 형태로, 생육기간이 감광성에 지배된다"
감온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성이 감광성보다 작고 감온성만이 커서 생육기간이 감온성에 지배되는 형태이다"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은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온성·감광성이 작아 생육기간이 기본영양생장성에 주로 지배되는 형태이다"
blt형은 어떤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짧은 형태의 품종을 의미한다"
2.2. 기상생태형의 지리적 분포
위도에 따라 온도와 일장에서 차이가 나는데, 주로 일장보다는 온도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지리적 분포에 따른 식물의 생육을 좌우하는 것은 온도이며 위도에 따른 기상생태형은 다음과 같다.
저위도 지대는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온성·감광성이 작아서 고온 단일인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길어 수량이 많은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이 재배된다. 대만, 미얀마, 인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고위도 지대는 여름의 고온기에 일찍 감응되어 출수·개화하여 서리가 오기 전에 성숙할 수 있는 감온형(blT형)을 재배한다. 일본의 홋카이도, 만주, 몽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중위도 지대는 위도가 높은 곳에서는 감온형이, 남쪽에서는 감광형을 재배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이 여기에 속한다.
2.3. 기상생태형과 재배적 특성
기상생태형과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올늦음성(조만성)에 따라 벼 품종은 감온형(blT형), 감광형(bLt형), 기본영양생장형(Blt형), blt형으로 구분된다. 올늦음성은 벼의 어린 이삭(꽃눈) 분화시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기본영양생장성, 감광성, 감온성 등에 의해 지배된다.
감온형은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이 강해 고온에 의해 어린 이삭이 빨리 분화되어 출수와 등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감온형은 조생종에 해당한다. 반면 감광형은 기본영양생장성과 감온성이 작고 감광성이 강해 출수와 등숙이 일장에 지배된다. 감광형은 만생종에 해당한다. 기본영양생장형은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온성, 감광성이 작아 기본영양생장에 의해 생육이 결정된다. blt형은 어떤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짧은 품종이다.
이러한 특성에 따른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올늦음성에 따라 감온형은 조기파종, 조기수확이 적합하고 감광형은 만식에 적합하다. 둘째, 묘대일수감응도는 감...
참고 자료
윤병삼, 필리핀의 식량자급 정책, 세계농업 제150호 (2013. 2)
김승준, 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세계농업 제198호 (2017. 2)
송주호, 식량안보와 필리핀 쌀 사례, 세계농업 제164호 (2017. 2)
채종철, 코이카 원조, 필리핀 쌀 자급에 희망 심어, 일간경기 (2014. 4)
http://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489
서원호, 식량종자 수출, 종자시장 블루오션을 향한 첫 출항, 서울Biz (2019. 9)
https://biz.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924035002&wlog_tag3=naver
이기노, "조생종 벼 재배, 이렇게 하세요", 한국농어민신문 (2014. 4)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224#:~:text=%EC%A1%B0%EC%83%9D%EC%A2%85%20%EB%B2%BC%EB%8A%94%20%ED%8C%8C%EC%A2%85%EC%97%90%EC%84%9C%EB%B6%80%ED%84%B0,%EC%9E%AC%EB%B0%B0%EA%B4%80%EB%A6%AC%EB%A5%BC%20%ED%95%B4%EC%A4%98%EC%95%BC%20%ED%95%9C%EB%8B%A4.
강경호, 열대지역에서도 우리의 차진 쌀 생산한다?, 식품외식경제 (2011. 8)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366
신영근, 열대지역 재배 가능한 '자포니카' 벼 개발<농진청>, 연합뉴스 (2011. 3)
https://www.yna.co.kr/view/AKR20110316047100061
고형광, 농진청 개발한 온대벼 'MS11', 아열대지역 휩쓸다, 아시아경제 (2011. 3)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1608512406411
전혜경, 농진청, 열대지역 적응 온대벼 ‘MS11’ 개발·보급,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11. 3)
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JSESSIONID_KOREA=D1ypcL9QzLT2BpT445rs1tJBxwGkyhYQ7GfVlYJxlKdw4Gfy6LxC!1044917203!359132369?newsId=148709093
농촌진흥청, 잡곡, 품종에 따라 파종시기 달리해야,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09. 3)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5338136
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ADAPTATION AND MITIGATION INITIATIVES IN PHILIPPINE RICE CULTIVATION,
http://unfccc.int/files/focus/mitigation/application/pdf/amia_philippines.pdf
생태형,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70982&cid=50317&categoryId=50317
기상생태형, 한국잔디연구소,
http://ktri.or.kr/news/dictionary.asp?SpecChar=%B0%A1&searchItem=K&keyword=&page=17
최윤석, 필리핀의 쌀 재배 농법, 해외농업개발서비스
http://www.oads.or.kr/info/info04.asp?bgbn=R&bidx=2348&page=4&sfield=0>xt=&gbn=A05&bcat=&stab=A0715
장수지, 식량종자사업단] 벼 ‘KGIR 1호’, 지난해 수출 11만달러 기록, 한국농정 (2020. 3)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0480
조성우 외, 국내 육성 조생종 벼 품종들에 대한 등숙기 고온내성 평가,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한작지(Korean J. Crop Sci.), 60(2): 146~152(2015)
원용재 외, 열대아시아 적응 다수성 자포니카 벼 ‘아세미1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Korean J. Breed. Sci. 51(2):140-145(2019. 6)
https://blog.naver.com/didvk0414/221305355585
박순직 외 1인, 『식용작물학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04
류수노 외 2인,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박홍규 외 6인, 「아열대와 온대 기후 하에서 벼 생육 비교」,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권 2호. 한국농림기상학회, 2006, 45~53쪽
이규종 외 4인, 「온도 상승 조건이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7권 2호.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306~316쪽」,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7권 4호.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156~164쪽
이규종 외 3인, 「온도 조건에 따른 벼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 반응의 품종간 차이」,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7권 4호.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306~316쪽
박순직 외. 생물통계학. 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필리핀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