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불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췌장암 불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췌장의 구조 및 기능
1.2. 췌장암 발생률
1.3. 췌장암 연구의 필요성

2. 췌장암의 정의와 원인
2.1. 췌장암의 정의
2.2. 췌장암의 발생원인
2.2.1. 환경적 요인
2.2.2. 유전적 요인
2.2.3. 만성 췌장염

3. 췌장암의 임상증상 및 진단
3.1. 임상증상
3.1.1. 복부 통증
3.1.2. 황달
3.1.3. 체중 감소
3.1.4. 소화 장애
3.1.5. 당뇨병
3.1.6. 기타 증상
3.2. 진단검사
3.2.1. 영상검사
3.2.2. 혈액검사
3.2.3. 기타 검사

4. 췌장암의 치료
4.1. 수술적 치료
4.2. 항암화학요법
4.3. 방사선치료
4.4.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5. 췌장암 환자를 위한 간호
5.1. 증상 관리
5.2. 영양 관리
5.3. 심리적 지지
5.4. 치료 지원
5.5. 합병증 예방 및 관리

6. 예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췌장의 구조 및 기능

췌장은 위의 뒤 하부를 좌우로 뻗은, 길이 약 14~17cm, 폭 3~5cm, 두께 2~3cm, 무게 60~160g의 가늘고 긴 장기이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머리부는 십이지장 만곡부, 중간은 몸통부이며 꼬리부는 비장에 도달해 있다. 췌장의 외분비부는 많은 소엽으로 분리된 복합 포상선으로, 여러 개의 도관이 합류하여 주췌관으로 되어 있으며, 십이지장 유두부로 췌액을 방출한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췌액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함께 소장의 첫 부분인 십이지장으로 들어가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 중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에 관여한다. 내분비와 관련된 췌장 세포들은 작은 무리를 지어 마치 섬처럼 무수히 산재해 있어서 췌장섬 또는 랑게르한스섬이라고 불리는데, 이 내분비샘에서는 혈당 조절에 중요한 호르몬인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혈액 속으로 분비한다."


1.2. 췌장암 발생률

최근 암 발생률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은 국내 전체 암 발생률 8위를 차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 수는 1만 6294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17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2015년 전체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0.8%(남자가 10.33%, 여자가 11.5%)에 불과한 실정이다. 과거 1993년의 9.4%와 비교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수치로, 췌장암은 국내 10대 암 중 치료 성적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국내 췌장암 환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50대 이상 남성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을 발견한 뒤 생존 기간은 4~6개월에 불과하고 수술을 한 뒤에도 5년 이상 생존율이 10% 미만일 정도로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 바로 췌장암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췌장암 연구의 필요성

췌장암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세상에 내놓은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 영화 '사랑과 영혼' '더티 댄싱' 등으로 한국에 잘 알려진 배우 패트릭 스웨이지, 세계 최고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등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소리 없이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알려진 췌장암은 말기에 가까워져야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췌장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췌장암의 증상은 비특이적이어서 증상만으로 췌장암을 진단하기 어렵다. CT 등의 영상 의학적 검사가 필수적이다. 종양 표지자 중 CA19-9가 췌장암과 관련하여 많이 쓰이고 있지만 특이도가 낮아 초기 진단에서 활용도가 높지 않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췌장암 조기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췌장암 특이 종양 표지자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은 CA19-9, LRG1, TTR의 3개 표지자로 구성된 패널로 90~95%의 높은 정확도로 췌장암을 진단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처럼 혈액으로 췌장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시기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췌장암은 치료 성적이 가장 나쁜 암 중 하나로, 환자 대부분이 진단받은 지 1년 안에 사망한다. 하지만 1기 췌장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40%대에 이르러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크다. 따라서 췌장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 진단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췌장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조기 진단 및 치료 방법을 개선하여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들의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췌장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2. 췌장암의 정의와 원인
2.1. 췌장암의 정의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양덩어리이다. 췌장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분비 기관이자 소화기관으로, 내분비세포와 외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췌장암은 이 췌장 내 세포에서 발생하며, 그중 90% 이상이 췌관 선암종에 해당한다. 췌관 선암종이란 췌관을 형성하는 선세포에서 기원한 암을 말한다. 그 외에도 낭선암, 내분비종양 등의 췌장암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 선암종을 지칭한다. 췌장암은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악성 종양으로, 치료가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특히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진단이 힘들며,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 성적이 좋지 않다""


2.2. 췌장암의 발생원인
2.2.1. 환경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췌장암 발생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흡연은 췌장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담배에 포함된 발암물질로 인해 췌장암의 상대위험도가 2~5배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췌장암의 약 1/3 가량이 흡연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담배를 끊은 이후에도 췌장암 발생 위험은 10년 이상 지나야 비흡연자와 유사한 수준까지 낮아진다.

또한 비만도 췌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만인 경우 췌장암 발생률이 증가하지만,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아 단정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 외에도 고칼로리 식단, 특히 육류와 지방의 과도한 섭취가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신선한 과일과 채소류, 비타민 등의 섭취는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화학물질 노출도 췌장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 벤조딘 등의 화학물질 노출이 췌장암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종합하면, 환경적 요인 중에서도 특히 흡연, 비만, 고칼로리 식단, 화학물질 노출 등이 췌장암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2.2. 유전적 요인

췌장암의 약 5-10%는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다"" 이는 췌장암 환자 중 약 7.8%에서 가족력이 있어, 일반인의 췌장암 발생률 0.6%에 비해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췌장암이 잘 발생한다고 알려진 유전 질환으로는 유전 췌장염,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증(AT),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폰 히펠-린다우 증후군(Von Hippel-Lindau syndrome) 등이 있다" 이러한 유전 질환에서 췌장암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최근 이와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2.3. 만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은 췌장에 생긴 만성적인 염증으로, 췌장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손상되는 질환이다. 췌장의 만성 염증으로 인해 췌세포의 손상 및 증식이 반복되면서 비정상적인 췌세포 증식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만성 췌장염이 췌장암의 전암 병소로 간주되는 주요 이유이다.

또한 만성 췌장염의 발생빈도와 췌장암의 발생빈도가 서로 비례하여 증가하고, 췌장암이 잘 발생하는 연령대가 만성췌장염에 비해 10~20년 후라는 점,...


참고 자료

http://www.health.kr/main.asp
http://www.kmle.co.kr/
췌장암 관련 정보
김근순 최경옥 현경선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제 7판
대한병리학회 부산, 울상, 경남지회, [병리학], 정문각, 제 4판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https://www.koreansso.org/general/general01_8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48
NANDA 간호진단
Heather Herdman, T.and Shigemi Kamitsuru. (2016)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2015-2017. 서울:정담미디어
Von Krough, G. (2011) Taxonomy Ⅲ proposal. NANDA International Latin American Symposium. Sao Paulo, Brazil.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3). 간호과정 실무지침 Clinical guide to nursing process.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NANDA(난다)간호진단 목록 2015-2017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저자 차영남외 8명
감염위험성(p73~81), 급성통증(p153~143), 체액불균형(p221~223) 참고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 암정보-췌장암 교육자료 참고
https://www.snuh.org/main.do-> 암센터- 암교육자료->췌장암
삼성 서울 병원 교육자료“췌장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참고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372&cid=51004&categoryId=51004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7판. 현문사. 2019
이미형 외.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서울: 현문사. 2019
정향미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개정판. 파주 : 수문사. 2021
서울아산병원질환백 - 췌장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77
국가암정보센터 - 췌장암
https://www.cancer.go.kr/
서울대학교병원 - 췌장암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23
한국암분석센터
http://katr.kr/%EC%B7%8C%EC%9E%A5%EC%95%94%EC%9D%B4%EB%9E%80/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공식블로그 (이미지)
https://blog.naver.com/ewhamedi/222455602320
서울아산병원 -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김시현(2018). 췌장절제술 후 증상이 수술 후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방승민(2016). 전이성 췌장암의 새로운 치료법. 대한췌담도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185-190
이지선(2018)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 설명 모형 개발 = Explanatory Model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1-18
윤호영, 조종관, 유화승, 방선휘(2013). 한방치료를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에서 통증개선 및 삶의 질을 회복한 증례. 대한암한의학회지 J of Kor. Traditional Oncology Vol. 18, No. 1, 2013;9-15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2018), 성인간호학 제7판 상권, 서울: 현문사.
국가암정보센터. (2017). 췌장암. 2, 2018,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1/cancer/view.do?cancer_seq=5117
인터넷자료 http://deulksd546.tistory.com/7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457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4183&searchWord
http://sev.iseverance.com/cancer/dept_clinic/cancer_center/pancreaticobiliary_cancer/disease/view.asp?con_no=73361 (연세의료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