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암의 병태생리
1.1. 신생물(Neoplasm) 및 종양(Tumor)
1.2.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차이
1.3. 암의 발생 과정
1.3.1. 발단기
1.3.2. 증진기
1.3.3. 진행기
1.4. 암 발생의 원인
1.4.1. 외적 요인
1.4.2. 내적 요인
1.5. 암의 증상
2. 구강악안면 영역의 종양
2.1. 양성 종양
2.1.1. 치성 종양
2.1.2. 비치성 종양
2.2. 악성 종양
2.2.1. 상피세포 기원
2.2.2. 결체조직성 기원
2.2.3. 근조직 기원
2.2.4. 신경조직 기원
2.2.5. 전이성 종양
3. 종양의 진단 및 치료
3.1. 진단 검사
3.1.1. 혈액 검사
3.1.2. 영상 진단 검사
3.1.3. 내시경 검사
3.1.4. 세포 검사 및 생검
3.2. 종양의 치료
3.2.1. 수술 요법
3.2.2. 화학 요법
3.2.3. 방사선 요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암의 병태생리
1.1. 신생물(Neoplasm) 및 종양(Tumor)
신생물(Neoplasm) 및 종양(Tumor)은 정상 세포가 어떤 자극을 받아 유전자 형질이 바뀌어 세포의 모양과 기능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체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덩어리를 의미하며, 양성종양(benign tumor)과 악성종양(malignant tumor)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종양은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metastasis; 종양이 원래 발생한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반면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에 침윤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신체 각 부위에 확산되거나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악성종양을 암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세포는 세포 자체의 조절 기능에 의해 분열 및 성장하고, 수명이 다하거나 손상되면 스스로 사멸(죽어 없어짐)하여 전반적인 수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러한 세포 자체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적으로는 사멸해야 할 비정상 세포들이 과다 증식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종괴(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데, 이러한 상태를 암(cancer)으로 정의할 수 있다.
1.2.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차이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은 여러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육안소견이나 현미경 소견, 분자병리학적으로 규칙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양성 종양은 기원 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며 전이 없이 주위조직과 비교적 경계가 명료하다. 반면 악성종양인 암의 경우 육안으로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하며 침윤성 성장을 보인다. 현미경 소견으로 볼 때 양성종양은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정상적이고 분화도가 좋으며 유사분열이 적은 반면, 악성종양은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증가하고 핵의 모양이 불규칙적이며 분화도가 다양하고 유사분열이 많이 일어난다. 분자병리학적으로도 양성종양은 DNA가 정상적인 반면 악성종양은 DNA가 증가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성장형태와 전이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양성 종양은 주위 조직을 압박하며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지만 피질골을 천공하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면서 빠르게 성장할 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셋째, 양성종양은 악성종양에 비해 대부분 젊은 나이에 호발하지만 구강암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증가한다. 암에 대한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담배나 알코올 소비가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구강암은 초기에도 비교적 감별이 가능하며 생검, 환자의 생활습관, 전신상태 및 고위험군 검진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1.3. 암의 발생 과정
1.3.1. 발단기
암의 발생 과정 중 발단기는 암을 유발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인자들이 DNA에 손상을 입히면서 시작된다. 이 과정은 가역적이지만 회복이 되지 않으면 유전적 변이로 유도되어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민감성이 높아진다. 바이러스, 환경적 요인, 생활양식의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이 이 발단기에 해당하는 개시 인자들이다. 이 단계에서는 암으로 즉시 변이가 되지는 않지만 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1.3.2. 증진기
증진기(Promotional period)는 발단이 된 세포가 제2인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계이다. 발단과 촉진을 모두 생성하는 일부 인자들은 분명한 발암물질로 명명되며, 이러한 촉진 인자는 세포 내 유전자 정보, 표현의 변화, DNA 합성 증진, 특이한 유전자의 복사 증가 및 세포의 의사 전달을 변경시킨다. 담배, 알코올, 고지방과 같은 촉진 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1.3.3. 진행기
진행기는 세포의 형태(morphology)와 표현형(phenotype)의 변화에 관여하여 점차적으로 악성 형태를 띠며 주위 조직으로 침윤되고 신체의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발단기와 증진기를 거쳐 세포가 점점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면서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고 전이되는 단계이다. 암세포는 점차 분화 정도가 나빠지고 왕성한 증식 능력을 갖게 되며, 정상 조직을 파괴하여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고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전이된다. 이때 암세포는 세포외기질을 분해하여 주변으로 침윤할 수 있게 되며, 신생혈관 생성을 자극하여 혈행성 전이를 일으킨다.
전이된 암세포는 다시 그 부위에서 증식하여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게 되므로, 진행기에는 원발 병소 외에 다발성의 전이성 병소가 나타나게 된다. 암의 진행 단계가 높아질수록 암세포의 공격성과 침습성이 증가하여 주위 조직 파괴와 전이가 더욱 활발해진다. 이에 따라 예후가 나빠지며 생존율이 낮아지게 된다.
1.4. 암 발생의 원인
1.4.1. 외적 요인
암의 발생에는 여러 가지 외적 요인이 관여하며, 이 요인들에 의해 정상세포가 비정상 세포로 변화된다. 대표적인 외적 요인에는 화학적 발암물질, 물리적 발암물질, 생물학적 발암요인 등이 있다.
첫째, 화학적 발암물질로는 공업화합물, 휘발성 물질, 방향성 아민, 타르, 석면, 벤젠 등이 있다. 이들 물질은 암 유발 물질로써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정상 세포에 유전적 손상을 줌으로써 암이 발생할 수 있다. 담배연기 역시 폐암, 구강암 등 여러 종류의 암을 유발하는 화학적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살충제, 약물 등도 화학적 발암물질로 간주된다.
둘째, 물리적 발암물질로는 방사선 물질과 자외선 등이 있다. 방사선 물질에 노출되면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자외선 역시 피부암의 주요 발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증가는 피부암 발생률 증가...
참고 자료
이승준(2016).유전성 유방암, 난소암에서 BRCA1/BRCA2 돌연변이 검출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의 임상 적용. 서울대학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201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9387&cid=51004&categoryId=51004)
국가암정보센터,2013.02.01(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20201010000)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3797&menuSeq=3811&viewType=all&id=cancer_020103000000)
김재덕,김형식(1989).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The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27(8),709-719
Rustin, Gordon J, van der Burg, Maria E L; Griffin, Clare L, Guthrie, David; Lamont, Alan(2010). Early versus delayed treatment of relapsed ovarian cancer(MRCOV05/EORTC55955): a randomised trial. The Lancet, 376(9747),1155-1163
조현찬(2013).종양표지자(=암표지자)종류와 검사의 임상활용.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http://blog.naver.com/hyouncho2?Redirect=Log&logNo=60198456765)
성수경(2008). 부인과 질환에서의 혈청 CA125의 임상적 유용성. 경북대학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William Bement(2014). How Taxol/paclitaxel kills cancer cells.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25(18), 2677-2681
서울대학교 암병원-암정보교육센터-유용한 암정보-약물정보-파클리탁셀
http://m.kmle.co.kr/novakview.php?m=%B6%F3%BD%C4&view=999+%C7%D7%BE%CF%C1%A6%C0%C7+%B1%E2%C0%FC%BF%A1+%B5%FB%B8%A5+%BA%D0%B7%F9%BF%CD+%BA%CE%C0%DB%BF%EB.htm
구훈섭,허규찬(2012).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에 대한 폴립절제술의 장기간 예방효과. 대한장연구학회,10(3),314-316
최신 구강악안면외과학 제 2판, 대한나래출판사 권경환 외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대한치과의사협회지,47(10),637-646.)
한지형, 김응권, 임순환 and 김창희. "구강암의 발생현황과 원인" 치위생과학회지 12, no.5 (2012) : 451-458.
김경아.(2009).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대한치과의사협회지,47(10),637-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