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색채학
1.1. 톤 이미지맵
톤 이미지맵은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이다. 디자이너의 내적 감성을 외현화하여 디자인 컨셉을 보여주는 것이 톤 이미지맵의 핵심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컬렉션을 만들 때 3-7개의 이미지들로 이미지맵을 구성하며, 모델 사진이나 특정 패션 상품의 사진은 배제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맵을 만들 때에는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주었던 이미지들이 디자인 발상 순서에 맞춰 잘 배치되어 있는지, 패션 아이템이 노골적으로 드러나지 않는지, 디자인 요소들이 잘 드러나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톤 이미지맵은 디자인 감성에 따라 달리 구성된다. 로맨틱, 엘레강스, 소피스티케이티드, 모던, 매니쉬, 액티브, 컨트리, 에스닉 등의 감성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톤과 분위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엘레강스는 고상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액티브는 젊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컨트리는 자유롭고 전원적인 이미지를 지향한다. 엘레강스를 표현할 때에는 부드럽고 회색조의 톤을 사용하며, 액티브의 경우 비비드하고 화려한 색상을, 컨트리의 경우 난색 계열과 자연스러운 소재를 주로 활용한다.
모던과 아방가르드는 현대적이고 기능적이며 차가운 느낌의 패션 이미지로, 무채색 중심의 퇴색된 밝은 회색톤과 대조가 강한 배색을 사용한다.
톤 이미지맵을 통해 디자이너는 자신의 내적 감성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컬렉션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1.2. 패션테마 이미지맵
패션테마 이미지맵은 무드 보드라고도 불리며, 패션을 공부할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다. 영화의 포스터가 단 한 장의 사진으로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함축하여 보여주는 것처럼, 패션에서 이미지맵도 같은 역할을 한다. 패션테마 이미지맵은 전체적인 컬렉션을 나타내는 아트워크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특정한 컬렉션을 구상하기 전에 컬렉션에 포함되는 다양한 것들을 함축할 수 있는 하나의 틀을 만들어 보게 된다.
이미지 맵을 만드는데에는 특별한 형식이나 제약이 없으며 만드는 사람의 마음대로 만들면 된다. 일반적으로 콜라주 같은 기법이 많이 사용되며, 어떤 디자이너는 그림으로 이미지맵을 만들기도 하고 3D로 만들기도 한다.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좋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된 적이 있는 이미지를 재조합해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콜라주 기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미지맵에는 디자이너의 고유한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하고,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보여주는 실물의 작품이 있어야 한다. 잘 구성된 이미지 맵에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디자이너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레이아웃이 보기 좋게 구성되어 있고 컬렉션의 전체적인 성격이 어렵지 않고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다. 또한 컬렉션에 사용될 색상이나 소재들의 특징이 어떤 것인지 보는 사람이 알기 쉽게 나타나야 한다.
패션 테마를 분류할 때에는 주제에 따라 레트로 지향, 모던 지향, 미래 지향, 예술 지향, 에스닉 지향, 자연 지향, 스포츠 지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레트로 지향은 과거에서 모티브를 찾는 것이고, 모던 지향은 현대적인 감성에서 모티브를 찾는 것이다. 미래 지향은 퓨처리스틱한 이미지나 우주 등 미래와 관련된 느낌을 자아내는 것에서 모티브를 찾는 것이고, 예술 지향은 르네상스 사조나 고전주의 등 예술사조에서 모티브를 발견하려는 것이다. 에스닉 지향은 집시 풍이나 이국적인 모티브를 찾는 것이고, 자연 지향은 자연 속에서 볼 수 있는 산뜻한 느낌이나 싱그러운 느낌 등 자연의 여러 사물에서 모티브를 찾는 것이다. 스포츠 지향은 활동적이면서도 스포티한 감성에서 모티브를 찾게 된다.
수준 높은 이미지맵을 만들기 위해서는 첫째로 레터링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지맵이 이미지로 만들어지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미지맵에 텍스트가 개입되는 순간 이미지가 줄 수 있는 의미에 손상을 입게 된다. 공간과 여백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며, 레이아웃 역시 이미지맵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미지 속의 오브제들이 어떤 위치에 어떠한 크기로 놓여 있고,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맵을 만들 때 런웨이 사진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미지 맵 안에 디자이너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스토리 텔링을 집어넣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지맵을 체계적으로 만들면 전체적인 컬렉션을 디자인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미지맵을 단순한 것이 아닌 하나의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
2.1. 비트맵 방식
비트맵 방식은 그림을 가로 세로 동일한 간격의 그리드(격자)로 세분하여 여러 개의 점으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점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 이하로 작아지면 사람은 이를 그림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 점 하나를 픽셀(pixel)이라 하며 화소라고도 한다.
비트맵 방식에서는 1비트의 데이터를 가지고 하나의 점을 표시한다. 따라서 가로가 640화소, 세로가 350화소인 그림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24,000(640*350)비트의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