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01
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논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음악, 그대는 내 마음의 표현이요, 선교의 강력한 도구라
1.1. 평생에 고민할 것, 음악을 다루기에 앞서
1.2. CCM, 그대는 내 마음의 표현이요, 선교의 강력한 도구라
1.3. 음악, 그대가 우리 손에 쥐어질 때면
1.3.1. 음악, 그 자체는 중립적인가
1.3.2. CCM과 CWM의 구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1.3.3. 미국과 우리나라의 CCM문화 현실의 차이
1.3.4. CCM의 장르는 어디까지 허용되는가
1.3.5. 선교의 도구로서의 사례와 한 가지 제안

2. 한국 사회와 난민
2.1. 들어가며
2.2. 본론
2.2.1. 현 상황에 대한 고민
2.2.2. 앞으로에 대한 고민
2.3. 마치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음악, 그대는 내 마음의 표현이요, 선교의 강력한 도구라
1.1. 평생에 고민할 것, 음악을 다루기에 앞서

평생에 고민할 것, 음악을 다루기에 앞서...

교회에 다닌다 하는 청소년과 청년들 사이에서 CCM을 듣지 않는 사람이란 찾아보기 힘들다. 개 교회의 찬양팀은 예수전도단, 어노인팅 등 집회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찬양과 스타일을 쫓아가기 위해 한 주에도 몇 번씩 모여 서로와 맞추어 본다. 그것으로도 부족한 이들은 외국음반을 듣기도 하고 스스로가 작곡하고 편곡한 곡들을 연습한다.

비록 지금의 CCM이라 하는 음악이 예배 음악에 치우치긴 했지만, CCM은 분명 기독교인들 안에서 어느 정도의 대중성을 확보했을 뿐 아니라, 각 교회 찬양단의 실력을 높여주고 창조적인 음악을 만들어내는데 큰 기여를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요와 별 다를 바 없는 단순히 즐기기에 급급한 음악으로서의 청취나 예배에 쓰이기 힘든 노래들을 무분별하게 사용함으로 인한 혼란 등을 야기한 것도 사실이다.

CCM이란 단어와 음악이 처음 만들어지게 된 동기는 순수하고 비전 있는 작업이었음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곡되고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기 마련인 것은 타락한 인간의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그럼에도 본래의 동기나 비전에 따라 발전되기 위해 혹은 또 다른 새로운 목적을 가지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누군가의 끊임없는 노력은 계속 이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의 필요에 따라 CCM을 재 정의한 조의 논문은 귀하게 쓰일 것이라 기대한다. 먼저는 앞으로 사역의 현장 한가운데서 치열하게 싸울 신학생들에게 바른 분별력과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데 있어 통찰력을 줄 것이고,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고민하게 함으로 앞으로 계속 일어날 정체성의 혼란가운데서 쓰러지지 않는 견고한 모퉁이돌이 될 것이다. 또한 신학적으로 부족한 CCM아티스트와 문화선교사들에게 올바른 성경적 안목을 가져다 줄 것이며 그것을 소비하고 누리는 신자들에게도 올바른 문화의식을 심어줄 것이라 믿는다.


1.2. CCM, 그대는 내 마음의 표현이요, 선교의 강력한 도구라

현대의 또는 동시대적인(Contemporary) 기독교 음악이라 불리는 CCM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소통되기 시작한지 3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CCM이라는 단어의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음악의 한 분야로, 또 문화적으로 자리매김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CCM은 처음 들어올 때부터 확실한 자신의 이름을 갖지 못한 채 지금까지 방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70년대를 지나 80-90년대의 활발한 활동을 끝으로 현재는 예배와 신자들의 삶을 왔다 갔다 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며, 전문가들의 논의들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듯 싶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MP3 불법 유통과 예배 음악의 붐으로 인한 정체현상은 기독교인들의 관심조차 멀어지게 하였다. 이 시점에서 CCM이라는 단어의 재 정의로 방향을 맞추고 논지를 전개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고 감사한 일이라 생각된다.

CCM이 우리의 마음을 표현하고 선교의 강력한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현대의 또는 동시대적인 기독교 음악"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현재 CCM은 예배 음악에 치우침으로 인해 기독교 신자들 안에서만 소통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CCM의 본래 취지는 단순히 예배 음악에 국한되지 않고, 기독교인들의 삶 안에서 하나님을 향한 마음의 표현이자 동시에 비기독교인들을 향한 복음 전파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즉, CCM은 수직적인 예배 음악(CWM)과 수평적인 동시대 음악의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CWM은 하나님께 예배하는 노래이며, CCM은 크리스천이 즐기고 또 세상으로 향해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CCM은 단순히 "교회 안의 음악"이 아닌 "기독교인의 마음의 표현이자 선교의 도구"로 볼 수 있다.

이렇듯 CCM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그 역할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예배 음악과 대중음악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과거 CCM은 이 두 가지 측면을 잘 아우르며 발전해 왔으나, 최근 들어 예배 음악 중심으로 쏠리면서 복음 전파라는 본연의 목적을 상실해 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CCM 아티스트들의 의식 전환과 더불어 기독교인 소비자들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CCM이 단순히 교회 안에서만 향유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삶 가운데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복음을 전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CCM 아티스트들 역시 단순히 예배 음악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동시대 음악 문화 속에서 기독교인의 삶과 신앙을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CCM은 단순히 교회 음악이 아닌 선교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인들의 마음과 삶을 대변하며 동시에 비기독교인들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CCM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


참고 자료

헤럴드 베스트 “신앙의 눈으로 본 음악” 하재은 옮김 IVP [서울. 1995].
프란시스 쉐퍼 “기독교와 현대사상” 홍치모역 성광문화사 [서울 1992].
R.S.Brindle "새로운 음악“ 김동주역 도서출판 작은우리 [서울 1994].
R.S. 브레즐.
하덕규, “CCM과 예배” 연세 목회전문화 세미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Vol.6 [2004].
하덕규, “CCM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장로회 신학교, Vol58 [2004].
하덕규, “음악 사역의 현장에서 본 CCM” 기독교교육연구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Vol11 [2000].
한국교회 예배의“찬양음악”과 “하이테크 미디어” 활용("Praise Music" and "High-Tech Media" Usage in Korean Church Worship), 신국원(총신대 신학과), 2007.
존 프레임,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Biblical Defense.
데이비드 웰즈, 윤석인 역 <거룩하신 하나님>, 부흥과 개혁사(2007).
김형인, <미국 기독교의 형성과 발전> 북미연구. 2000.
문화를 알면 사역이 보인다, 박양식 저(著). 서울: UCN: 기독교연합신문사, 2004.
Marilyn Ferguson, 김용주 역, <뉴에이지 혁명>, 정신세계사, 1994.
곽용화, <당신은 뉴에이지와 그 음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낮은 울타리, 1995.
김철웅. <진정한 CCM이란 무엇인가>” 『基督公報』. 제2557호 (2006. 5).
현 CCM사역자 알레듀오 '윤원효'와의 인터뷰 (첨부 참조).
현 CCM사역자 최인혁 집사님 인터뷰 (첨부 참조).
크리스천투데이, 세상으로 나간 미제이, 그들의 1년, 2005, 12, 21.
"http://www.mej.or.kr/bbs/zboard.php?id=data"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