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년기이슈와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의 성생활
1.1. 노인 성생활 현황 및 문제
1.2.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
1.3. 노인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성생활 실태 조사
2. 간호학적 접근
2.1. 성적 문제와 관련된 간호진단
2.2. 간호중재와 평가
2.2.1. 간호중재의 주요 목표
2.2.2. 간호사의 역할
2.2.3. 성교육
2.3. 정책적 지원방안
3. 노인 성 문제에 대한 논의
3.1. 노인의 성에 대한 문제 제기
3.2. 노인 성생활에 대한 인식 변화 필요성
3.3. 노인 성 관련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의 성생활
1.1. 노인 성생활 현황 및 문제
노인의 성생활 현황 및 문제는 다음과 같다. 노년층의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한 서호주대학교 연구팀은 70~90세 남성 2,7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0~79세 노인 중 지난 1년 동안 성관계를 가진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무려 40%에 달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처럼 노인들의 성생활이 생각보다 활발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노인의 성생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노인 성매매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해당 지역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남성 중 발기력에 자신감을 보인 상위 그룹은 하위 그룹에 비해 건강 지표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생활이 건강하면 전반적인 건강상태도 좋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처럼 노인의 성생활은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노인의 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해 노인들의 성적 욕구가 잘 드러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의 성생활 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며 사회의 관심은 단지 질병 없이 오래 사는 것만이 아니라 '노후 생활의 질'로 확산되고 있는데,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하나인 성(Sexuality)을 노후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요건으로 꼽고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한국사회의 서구화, 종교적인 가치관의 변화, 성, 개념의 변화 등으로 인해 노년기의 성에 대한 관점도 변화하고 있는데, 노인에게 있어 성이란 포괄적인 사회적 관계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또한 성적 건강이란, '신체적·지적·사회적·정서적·지적· 사회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풍부하게 하고, 인격·의사소통·사랑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통합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노년기의 성이라는 것은 단순한 성관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애정 과 친밀감을 표현할 수 있는 폭넓은 차원에서 인식되어야 한다"". 노인도 자신의 의사에 따 라 성생활을 계속하거나 이성교제 및 노혼을 할 신체적 기능과 권리가 있으며 단순히 '노령'이라는 생애 주기적 조건으로 제약을 당하거나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사회가 노인의 건전하고 활발한 성생활을 격려하고 지지한다면 노후의 삶을 보다 활기차고 즐겁게 생활하도록 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1.3. 노인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구성원의 태도이다. 자녀들은 대개 "우리 부모님은 성행위를 절대 하지 않는다"거나 "부모님은 나이가 들어서 이제 그런 것을 안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가족구성원의 태도는 노인의 성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은 노인의 성에 대해 개방적으로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는 성에 관해 도움이 되는 대안과 적절한 자원을 가족 구성원에게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이다.
둘째, 장기요양시설이다. 건강한 노인을 위한 거주시설이나 질병이 있는 노인...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30401&PAGE=1&topTitle=)
노인우울증 [geriatric depression, 老人憂鬱症]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네이버 지식백과] 노인 우울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노인우울증 기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611251757001)
노인 성병, 5년새 61% ‘급증’ - 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06377
충청일보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536637
박명화 외. (2013).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오진주. (1998). 노인의 성생활 경험에 대한 서술적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윤재실. (2010). 노인의 성(性)생활 인식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인아. (2012). 여성 노인의 性생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