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음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제로음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로 칼로리 음료의 위해성에 관한 논의
1.1. 서론
1.1.1. 문제제시
1.1.2. 이론적 배경
1.2. 인공감미료의 개념
1.3. 인공감미료에 대한 인식과 연구
1.3.1. 인공감미료와 당뇨병의 상관성
1.3.2. 인공감미료와 비만
1.3.3. 인공감미료와 암유발의 상관성
1.4. 결론 및 시사점

2. 인공감미료 안전성 검토
2.1. 국제암연구기관의 발암물질 분류 기준
2.2. 1일 섭취허용량의 정의와 산출방법
2.3. 아스파탐의 1일 섭취허용량 및 식품 사용기준
2.4. 감미료 첨가 가공식품의 사례 분석
2.5. 가공식품 품질 향상을 위한 대체 식품첨가물 제안

3.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 마케팅 전략
3.1. 제로 탄산수 시장 현황
3.2. 클룹 제로소다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3.2.1. STP 전략
3.2.2. 마케팅 믹스 전략
3.3.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로 칼로리 음료의 위해성에 관한 논의
1.1. 서론
1.1.1. 문제제시

현대 사회는 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각 세계의 문화를 이전과 달리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런 현상을 겪게 되며 국민들이 섭취하는 음식들이 점점 더 서구화 되어져 왔다. 서양의 음식들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섭취하던 음식들에 비해 기름지고, 자극적이다. 따라서 국민 전체의 비만 율 은 점점 증가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비만이 유발하는 각종 성인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기존음식들에 비해 열량이 낮은 음식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중에는 체중조절에 도움이 되는 제로 칼로리 음료들이 출시되었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 중 이를 애용하는 이들도 존재하지만, 당류 대신에 첨가되는 인공감미료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져서 이를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런 인공감미료에 대한 의심들을 불식시키고, 더 나아가 제로 칼로리 음료를 사용하여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1.1.2. 이론적 배경

음료의 성분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제로 칼로리 음료 중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코카콜라 제로, 나랑드 사이다의 영양 성분을 우리가 흔히 먹는 코카콜라, 칠성 사이다의 영양 성분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성분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일반 코카콜라와 제로콜라는 다른 성분들에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 않고, 성분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당류의 한 종류인 설탕의 첨가 여부이다. 일반 코카콜라는 설탕, 기타 과당 등을 첨가하여 단맛을 낸 반면, 제로콜라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등의 인공감미료를 이용해서 단맛을 냈다. 설탕의 첨가 여부에 따라 일반 콜라는 칼로리가 표기 되는 반면, 제로콜라는 칼로리가 표기 되지 않는다. 물론 제로콜라가 실제로 0칼로리는 아니다. 제로콜라는 실제로 100ml 당 0.24kcal 의 열량을 가지고 있지만, 국내법상 100ml당 4kcal 미만일 경우 0칼로리로 표기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로칼로리인 나랑드 사이다와 칠성 사이다의 성분표를 살펴보면, 기존 사이다는 당류로 단맛을 낸 반면, 나랑드 사이다는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등의 인공감미료를 이용하여 단맛을 첨가하였다. 실제로 일반 탄산음료와 제로 칼로리 음료의 가장 큰 차이가 이 인공감미료들의 첨가여부에 의해 기인되므로, 앞으로의 논의는 다른 성분들 보단 인공감미료에 대한 연구결과들로 전개해보고자 한다.


1.2. 인공감미료의 개념

인공감미료란 설탕, 포도당, 꿀 과 같은 천연감미료와 구별되는 물질로, 단맛이 천연감미료 보다 높아 식품공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현재 제로 칼로리 음료에서 단맛을 내기위해 설탕이나 기타과당 대신 사용되는 합성감미료들은 아세설팔캄륨,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등이 있다.


1.3. 인공감미료에 대한 인식과 연구
1.3.1. 인공감미료와 당뇨병의 상관성

혹자들은 인공감미료가 지방 축적을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내세워 인공감미료가 당뇨병의 발병확률을 높인다는 주장들을 내세운다. 인공감미료 중 수크랄로스는 '글루코오스 트랜스포터'(glucose transporters) 라는 세포 내에서 지방 축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활성을 돕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보다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Allison C Sylvetsky 의 실험 Consumption of Diet Soda Sweetened With Sucralose and Acesulfame에서는 수크랄로스는 피하지방 축척 유전자를 의미 있게 변형시키지 않는다고 결과를 내놓는다. 또한 수크랄로스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다고도 하였다.

흔히 과도한 당의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병 유발에 기여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세포의 포도당 이동과 포도당 이용에 이상을 일으켜 혈당상승을 유발하고, 이 혈당상승이 당뇨병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음식 조리 시 설탕 사용 대신 아스파탐을 사용한 경우, 음식 섭취 시 혈당 증가량이 현저히 낮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또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의 인공감미료를 이용한 음료들은 대한당뇨병학회에서 지정한 당뇨병환자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섭취가능한 음식으로도 선정되어 있기도 하다.

즉, 인공감미료가 당뇨병을 유발한다는 주장들은 아직 명확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사용하면 혈당 상승이 낮고, 당뇨병 환자들도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감미료가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3.2. 인공감미료와 비만

인공감미료와 비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이용한 음식들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당류를 사용하는 기업들의 식품들의 판매량이 감소하게 마련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의 입장에서 작성된 여러 가지 기사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인공감미료는 식욕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욕증가는 체중증가를 일으키기 마련이라는 주장이다. 즉, 설탕을 인공감미료로 대체하여 얻는 식품의 열량 감소효과는 식욕증가로 인한 체중증가로 인해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예일대학교 의과 대학의 미국 임상 신경과 전문의 및 조교수를 겸임하고 있는 Steven Novell...


참고 자료

국가 지표 체계-비만율,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39
이미지 출처-코카콜라 공식사이트, www.cocacola.com
두산백과-인공감미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5992&cid=40942&categoryId=32099
김진구,「설탕 대신 저열량 인공감미료? 당뇨병 위험 높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2권 제3호 2010년 9월 발암물질 분류 및 관리 체계 고찰 / 최상준, 임경채(대구카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한국연구재단(NRF) 웹진, R&D 포커스-연구자를 만나다, 비만 잡는 천연 감미료 알룰로스, 경북대학교 최명숙 교수
건강한 성인과 젊은 성인의 D-알룰로스의 위장관 내약성. 비무작위 대조 시험, 2018년 12월 19일;10(12):2010. DOI: 10.3390/nu10122010., 한영지, 최보라, 김소영, 김성보, 김양희, 권은영, 최명숙, PMID: 30572580 PMCID: PMC6315886 DOI: 10.3390/nu10122010
국제암연구기관(https://www.iarc.who.int/)
매경헬스(http://www.mkhealth.co.kr), 김보람 기자, 2023.07,14, WHO,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 확정…일일허용량은 그대로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결과, 한국소비자원, 1997, 안전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 및 식품첨가물공전)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4_03.jsp?idx=8200281
발암물질의 분류기준 및 목록작성의 필요성(기고), 산업보건 no.295 = no.295 , 2012년, pp.37 – 49, 김수근(성균관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발암물질 확인 및 관리의 국제 동향,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임철홍, PDF 파일
제로칼로리 탄산음료에 대한 고찰: 국내 시장 분석과 관련 학술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정은영(전주대학교),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8권 제3호, 2023.08
삼성서울병원 삼성당뇨소식지 Vol322, 설탕 대체 인공 감미료, http://www.samsunghospital.com/webzine/smcdmedu/332/webzine_332_3.html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뉴스레터, 이달의 보건환경 리포트, 차세대 가능성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 식품의약품부, 영양평가팀, 2022.08.30.,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45362
마케팅관리, 이석규, 박영사, 2006.
마케팅조사원론, 안광호•임병훈, 경문사, 2002.
광고와 예술, 배리 호프먼,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마케팅의 정석, 은종성, 도서출판 책길, 2018.
디지털 마케팅의 올바른 이해, 이상래, 삼성 SDS(주) 상무, Koita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과 혁신 vol.440 p38~p41, 2020.4.
open.ads > 콘텐츠 > 마케팅 전략 > 마케팅 사례> [브라이뷰의 생각] 폭발적인 성과를 낸 콘텐츠 마케팅 성공사례, https://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12681, 2024. 3. 6.
TREND LITE 23-027호, 기묘한,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2L60McmylFyeyTavPzE8GjIFFKkQr1E=
2003. 7. 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