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의 사회적 문화적 이슈와 여성 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성 건강의 사회문화적 이슈: 데이트폭력
1.1. 데이트폭력의 선정이유
1.2. 선행연구 고찰
1.2.1. 국내 연구의 쟁점
1.2.2. 국외 연구의 쟁점
1.2.3. 공통점과 차이점
1.3. 데이트폭력의 이해
1.3.1. 개념 및 유형
1.3.2. 특성 및 실태
1.4. 데이트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1.4.1. 정책적 측면
1.4.2. 간호중재 방안
1.5. 참고문헌
2. 여성 건강의 사회문화적 이슈: 가정폭력
2.1. 가정폭력 현황 및 문제점
2.1.1. 경제적 문제
2.1.2. 사회복귀를 위한 교육 문제
2.1.3. 편견에 따른 심리적 문제
2.1.4. 건강 문제
2.1.5. 가정폭력의 위험
2.2. 가정폭력 해결방안 및 간호중재
2.2.1. 한국의 가정폭력 복지정책
2.2.2.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2.3. 자기 성찰
2.4. 참고문헌
3. 여성 건강의 사회문화적 이슈: 미혼모
3.1. 미혼모 건강 현황 및 문제점
3.1.1. 미혼모의 건강 현황과 특성
3.1.2. 경제적 문제
3.1.3. 교육 및 사회복귀 문제
3.1.4. 편견에 따른 심리적 문제
3.1.5. 건강 문제
3.2. 미혼모 건강을 위한 해결방안 및 간호중재
3.2.1. 한국의 미혼모 복지정책
3.2.2. 미혼모 간호중재
3.3. 자기 성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성 건강의 사회문화적 이슈: 데이트폭력
1.1. 데이트폭력의 선정이유
올 한 해 동안 여성에 대한 데이트폭력 관련 뉴스나 신문 기사를 본 횟수가 열 손가락을 넘어갈 정도로 많았다. 데이트폭력의 피해자인 여성이 자살을 하는 경우에 크게 뉴스 보도가 되었고 겨우 살아남았지만 심한 중상을 입는다거나 영구적 장애를 입었을 경우가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지곤 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여성의 건강을 해치고 있는 사회문화적 이슈는 단연 '데이트폭력'이라고 생각이 되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위의 예시처럼 심한 경우에만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어 알려지고 있는데, 이보다 경한 경우는 알려지지 않는 것이 비일비재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피해자의 99%는 여성이고, 가해자의 성별은 100% 남성이라는 통계적 자료를 보고, 앞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더욱더 많은 국민과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2. 선행연구 고찰
1.2.1. 국내 연구의 쟁점
국내 연구의 쟁점은 다음과 같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트 관계에서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을 61.1%가 경험하였고 발생률은 꾸준하게 증가해오고 있으며, 통계에 들어가지 않은 수많은 여성이 데이트폭력피해를 경험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데이트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응 방안 및 법제 관련 연구, 피해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예방 연구는 많이 해왔지만 피해자의 심리적 피해와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미흡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인 젊은 여성이 폭력으로 인해 심리적 트라우마로 힘들어하고, 불안증과 우울증을 경험하며, 외상후스트레스 후유증의 증상인 신체화를 호소한다는 것이 주요 연구결과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데이트폭력으로 인한 신체화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정서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데이트폭력 가해자 중심으로 진행된 다른 선행 연구와 달리 피해자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다.
1.2.2. 국외 연구의 쟁점
국외 연구의 쟁점은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 뿐만 아니라 여성의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보고 있다. "통제적 행동"은 여성의 이동이나 친척, 친구와의 접근을 제한하는 행위를 포함하고, "심리적 학대"는 파트너를 비하하거나 굴욕감을 주는 위협, 모욕 행위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통제적 행동을 심리적 학대의 형태로 간주하는데, 통제적 행동과 심리적 학대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28개 회원국에서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5명 중 1명 이상이 현재 또는 이전의 파트너로부터 신체적 및 성적 폭력을 경험했으며 35%에서 통제 행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에서는 통제 행동을 포함한 심리적 학대가 다른 형태의 데이트폭력보다 훨씬 더 빈번하고, 신체적 학대에 노출된 대부분의 여성이 심리적 학대도 동반되었다고 보고한다.
스웨덴에서 수행된 이전 선행 연구 중 통제적 행동과 우울증 증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경우가 거의 없다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통제적 행동이 여성의 기본적 자율성 및 자유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폭력과는 질적으로 다르기때문에 통제 행동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성의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2.3. 공통점과 차이점
우리나라와 외국 모두 전 세계적으로 데이트폭력이 심각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연구를 하게 되었고, 관련 연구가 많지 않다는 것을 꼬집고 있다" 이는 공통점이다. 또한 두 연구 모두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피해자 여성의 심리적 증상인 우울 증상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받았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영문 article은 한국 논문과 비교하여 여성의 평균 연령대가 42.7세로 더 높고, 표본 수도 573명으로 더 많았다. 또한, 데이트폭력 이후 우울증을 겪고 있는 여성을 사회경제적 위치, 취업유무, 어린 시절 학대를 목격한 적이 있는지의 항목들로 더 세세하게 설문을 하였다. 특히 영문 article에서는 어린 시절에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보고 자랐거나 노출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우울증에 더 많이 기여된다고 밝혔다. 다른 요인으로 사회적인 자원이 미치는 영향도 이야기하고 있다.
1.3. 데이트폭력의 이해
1.3.1. 개념 및 유형
데이트폭력이란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하는 언어적·정서적·경제적·성적·신체적 폭력을 의미한다. 주로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상대방을 통제하거나 지배하려는 행동을 포함한다"" 데이트폭력에는 상대방의 행동이나 거동을 감시하거나 감제하는 행동, 상대방의 옷차림이나 대인관계를 제한하는 행동,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성관계를 요구하는 행위, 때리거나 밀치는 등의 신체적 폭력 행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헤어지자는 상대방의 요청을 거부하거나 집요하게 스토킹하는 행동도 데이트폭력에 해당한다""
1.3.2. 특성 및 실태
데이트폭력의 특성 및 실태는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은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하는 언어적·정서적·경제적·성적·신체적 폭력을 말한다. 가해자가 상대방의 일상생활을 통제하거나 감시하는 등의 "통제적 행동"이 포함되며, 가해자가 상대방을 비하하거나 모욕감을 주는 "심리적 학대"도 데이트폭력에 해당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통제적 행동을 심리적 학대의 한 형태로 간주하고 있지만, 통제적 행동과 심리적 학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EU 회원국의 보고에 따르면 여성 5명 중 1명 이상이 현재 또는 이전 파트너로부터 신체적 및 성적 폭력을 경험했고, 35%에서 통제 행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에서는 통제 행동을 포함한 심리적 학대가 다른 형태의 데이트폭력보다 훨씬 더 빈번하고, 신체적 학대에 노출된 대부분의 여성이 심리적 학대도 동반되었다고 보고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트 관계에서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을 61.1%가 경험하였고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스웨덴에서도 통제적 행동을 겪은 여성의 비율이 25%로 나타났다.
이처럼 데이트폭력은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폭력이며, 단순한 신체적 폭력 수준을 넘어 심리적 학대와 통제 행동을 포함하는 등 그 실태가 심각한 수준이다. 데이트폭력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자 여성의 인권 침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4. 데이트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1.4.1. 정책적 측면
데이트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의 정책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 근절을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는 우선 데이트폭력에 대한 별도의 법안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가정폭력, 성폭력 상담소나 여성긴급전화 1366에서 데이트폭력 신고 접수 및 상담, 임시보호를 하고 있지만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자와는 지원 대상이 달라 한계가 있다. 데이트폭력 피해자도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자와 동일하게 의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데이트폭력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데이트폭력 피해자 지원 정책 마련, 데이트폭력 가해자 처벌 및 교정 프로그램 도입,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
특히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학교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성교육과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이 중요하다. 성인지 감수성 향상,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 제고, 건강한 데이트 문화 조성 등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데이트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도 강화되어야 한다. 경찰과 법원의 신속하고 엄정한 대응, 피해자 보호 및 지원 서비스 확대, 응급피난처 마련 등이 필요하다. 특히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심리적 치유와 자립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종합적으로 데이트폭력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1.4.2. 간호중재 방안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간호중재로는 우선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 관리가 필요하다"".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을 포함한 한 부모가족 지원시설을 통해 그들이 사회적 서비스와 다른 지지서비스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임신한 피해 여성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건강관리제공자를 찾아주고, 정기적인 산전관리 일정을 지키도록 하며, 출산과 분만 준비를 돕고 관련 건강증진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청소년 피해 여성들이 그룹 활동에 참여하여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임신 시 요구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을 간호하는 간호사는 상담과 교육을 광범위하게 실시해야 하며, 비밀 유지, 신뢰감, 자아 존중감을 심어주는 것이 주요한 간호내용이 된다"". 피해 여성이 신체검진을 받을 때에도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대하여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아 존중감 증진과 문제해결 기술을 도와주어 그들이 자신의 발달과업을 진행하고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의 신체적 안녕을 증진하기 위해 기본적인 건강 측정과 함께 영양 섭취, 감염 예방 등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 가족의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와 딸의 관계 개선을 위한 중재를 제공하고, 필요시 미혼부도 포함하여 지원한다"". 산전교육을 통해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아 존중감을 높이며, 지역사회 자원을 안내하여 향후 생활 적응을 돕는다"".
특히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 중 청소년의 경우, 학교와 연계하여 임신과 부모 됨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정규교육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분만과 산욕기에도 존중과 지지를 제공하며 퇴원 시 피임과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간호중재를 통해 데이트폭력 피해 여성이 신체적, 심리사회적으로 회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1.5. 참고문헌
'1.5. 참고문헌'에는 작성한 보고서 내용에 대한 참고 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먼저 첫 번째 참고문헌은 "Lovestad S,...
참고 자료
Lövestad S, Löve J, Vaez M, Krantz G. Prevalenc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its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a female population sample in Sweden. BMC Public Health. 2017 Apr 20;17(1):335.
Mittal M, Resch K, Nichols-Hadeed C, Thompson Stone J, Thevenet-Morrison K, Faurot C, Cerulli C. Examining Associations Between Strangul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 Histories. Violence Vict. 2018 Dec;33(6):1072-1087.
Pengpid S, Peltzer K. Associations of physical partne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health risk behaviours and ment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25 countries. BMC Public Health. 2020 Jul 2;20(1):937.
김수민,김예진,김유정,남지현,박금빈,박이준,안혜민,오세연,유가현,유다현,전예지,김옥수,and 길민지. "20대 여성의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 불안 및 신체화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54 (2020): 159-172.
여성가족부, 한국여성의전화, 데이트폭력·스토킹 피해자 지원을 위한 안내서(2022) p.8
윤성효. 코로나19 사태 가정폭력-성폭력 검거, 지난해보다 증가. 오마이뉴스. 2020. 05. 0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38809&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경찰청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safe182.go.kr/index.do
여성가족부 2019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조난영. 그림책을 통한 가정폭력 가해자의 동일시 경험 연구. 한국독서치료학회. 2019, vol.11,no.1,pp. 85-110 (26 pages)
이재영, 김연수. 범죄피해자의 경찰 신변보호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찰학회. 2020, vol.22,no.1, 통권 80호 pp. 261-288 (28 pages)
박혜림.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대응과제.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0, vol.12,no.1, 통권 28호 pp. 213-235 (23 pages)
경찰통계 2018
김지윤. 기혼여성의 의사소통유형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6).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제 8판.
송광수(2012).『미혼모의 현황과 미혼모 복지정책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표(2018),(2015) 『2018년, 2015년의 연령병 미혼모, 미혼부 수와 그 자녀수 통계표』.
김혜영(2013).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젠더와 문화』.
손현성(2015). 『“이혼 후 양육비 모른 척하다 감치, 2년새 두배.”』. 한국일보.
전승엽(2018). 『“미혼모가 생부에게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게 해주세요.”』. 연합뉴스.
박기용(2017). 『“양육비 받아내주는 정부, 무책임한 아빠보다 낫네. 양육이행관리원 출범 3년째.”』. 한겨래.
고경심외(2015). 『양육미혼모 모자가정 건강지원사업 건강실태조사 연구』. 한국여성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