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방암수술논문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방암의 이해
1.1. 정의
1.2. 종류
1.3. 원인 및 위험인자
1.4. 증상과 징후
1.5. 진단
2. 유방암의 치료
2.1. 수술적 치료
2.2. 항암화학요법
2.3. 방사선 요법
2.4. 항호르몬 치료
3.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
3.1. 생활습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2.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3. 부부친밀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4.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간호중재
4.1. 절개부위 관리
4.2. 신체기능 증진
4.3. 심리사회적 지지
5. 유방암 예방 및 조기 발견
5.1. 유방 자가검진
5.2. 정기검진의 중요성
5.3. 예방적 중재 방안
6.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언
6.1. 생활습관 관리
6.2. 우울 관리
6.3. 부부친밀도 증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방암의 이해
1.1. 정의
유방암이란 유방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유방 조직 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암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유방암은 보통 모유를 생산하는 샘(소엽)이나 모유를 운반하는 관(유관)에서 시작되며,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퍼지는 정도에 따라 침윤성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분류된다. 즉, 유방암은 유방 내에서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로, 정상 유방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형성되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1.2. 종류
유방암의 종류는 암이 기원한 세포의 종류 및 침윤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우선 암의 발생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조직에서 생기는 암과 그 밖의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나뉜다""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암은 암세포의 침윤 정도에 따라 다시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구분된다"" 비침윤성 암은 자신의 본디 구역 안에 한정되어 있는 아주 초기의 암을 의미하며, 침윤성 암은 유관이나 소엽의 기저막을 침범한 암으로서 이미 어느 정도 진행한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인 유방암의 종류에는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소엽 상피내암(비침윤성), 유방 파제트병 등이 있다"".
1.3. 원인 및 위험인자
유방암의 원인 및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다.
유방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위험인자로는 여성 호르몬 관련 요인,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첫째, 여성 호르몬 관련 요인이다.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은 유방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에스트로겐에 오랜 기간 노출되는 것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임신과 출산, 수유 경험이 적은 여성들도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적 요인이다. 비만과 관련된 체중증가, 방사선 노출, 수면 패턴 방해 등이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야간 근무를 하는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데, 이는 야간 근무로 인해 멜라토닌 분비가 저하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셋째, 유전적 요인이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2-3배 정도 증가한다. BRCA1, BRCA2와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유방암은 여성 호르몬, 환경, 유전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1.4. 증상과 징후
유방암의 대표적인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유방 종괴는 유방암의 증상 가운데 약 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증상으로, 유방에 종괴가 있을 때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유두 분비는 유방 종괴 다음으로 흔한 증상으로, 많은 환자들이 유두 분비가 있을 경우 유방암을 의심하고 걱정하지만, 유두 분비가 있는 환자의 일부만 악성 질환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전체 유방암 환자의 1%만 유두 분비 증상을 보인다. 한편, 유두에서 피가 분비되는 혈액성 유두 분비의 대부분은 관내 유두종 등 양성 질환으로 인한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유방암의 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유방암이 진행됨에 따라 피부의 궤양, 함몰, 겨드랑이 종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유방의 염증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증상 없이 정기 검진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도 20% 정도 된다."
1.5. 진단
유방암의 진단은 다양한 영상 및 조직검사 기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 유방암 진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검사는 유방촬영술(mammography)이다. 유방촬영술은 조기 유방암을 발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성 병변은 종괴, 석회화, 구조 왜곡 등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므로 유방촬영술을 통해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다.
둘째, 유방초음파검사는 유방 조직의 밀도가 높아 유방촬영술로는 병변을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유방 조직이 치밀하여 유방촬영술의 한계가 있는데, 이때 초음파검사를 통해 악성 병변을 감별할 수 있다.
셋째, 자기공명영상(MRI)은 방사선 노출이 없고 양측 유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유방암 진단에 도움을 준다. 유방암의 병기 결정, 수술 전 병변 범위 평가, 재발 여부 확인 등에 활용된다.
넷째, 전산화단층촬영(CT)은 유방암 확진 후 타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평가하거나 치료 후 추적 관찰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영상검사 결과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을 내릴 수 있다. 조직검사에는 미세침흡인세포검사, 총생검, 맘모톰 조직검사 등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진단 기법을 활용하여 유방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병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2. 유방암의 치료
2.1. 수술적 치료
유방암 환자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크게 유방 전체를 절제하는 유방전절제술과 암을 포함한 일부 정상 유방만을 절제하는 유방보존술로 나뉜다.
유방전절제술은 넓은 병변으로 인해 유방 보존이 힘든 경우 유방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유방을 완전히 제거하므로 유방 조직이 남지 않게 된다.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유방보존술은 암을 포함하여 일부 정상 유방만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유방조직의 일부만 제거하므로 유방의 모양과 기능을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
참고 자료
서수진 ( Su-jin Seo ), 노주희 ( Ju-hee Nho ), 이명하 ( Myoungha Lee ),and 박영삼 ( Youngsam Park ). "유방암 생존자의 생활습관, 우울, 부부친밀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1 (2020): 28-36.
이지현. "멜라토닌이 유방암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서울
김수현 외. 간호과학의 임상적용을 위한 성인간호학I. 학지사메디컬 .2020.
김수현 외. 간호과학의 임상적용을 위한 성인간호학Ⅱ. 학지사메디컬 .2020.네이버 지식백과 [유방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30&cid=510)유방암 -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cdc.go.kr › health › mobileweb › content › group_view손쉽게 할 수 있는 유방암의 조기 발견방법 - 유방암 자가검진
http://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33883질병관리본부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최원석 기자, [유방암 증상, 원인, 예방법, 자가진단법 모두 알아두기!], 메디컬투데이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합과 – 유방암의 치료, 감시림프절, 재건술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RT유방질환클리닉 http://minhospital.co.kr/breast_1/main/index.asp
개별과제논문 : 박현주, 손혜경.(2020). 국내 유방암 환자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중앙간호연구, 제20권 제4호, p150-159
조별과제논문 : 규수, 윤요상, 윤현. (2015). 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샘호르몬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6), 3882-3888.
유방암 생존자의 생활습관, 우울, 부부친밀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Influence of lifestyle, depression, and marital intimacy on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서수진(Su-jin Seo), 노주희(Ju-hee Nho), 이명하(Myoungha Lee), 박영삼(Youngsam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