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1.1. 태동기(1950년대~1960년대 후반)
1.2.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1.3. 발전기(1980년대 후반~현재)
1.3.1. 시기별 발달과정
1.3.2. 구체적인 발달과정
2.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
2.1. 개인 중심의 서비스
2.2. 지역사회 기반
2.3. 다양한 서비스의 통합
2.4. 자립과 사회참여 촉진
3. 영국 사회복지법제의 역사
3.1. 구빈법의 발전과정
3.2. 페이비언 협회의 출현과 베버리지 보고서
3.3. 복지국가 위기론과 대처리즘, 그리고 '제3의 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1.1. 태동기(1950년대~1960년대 후반)
영국의 지역사회복지는 1950년대~1960년대 후반을 태동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수용보호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여 지역사회보호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태동하였다. 서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역사회보호 또는 재가복지개념은 수용보호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지역사회보호는 사회적 보호의 욕구를 지닌 사람들을 위한 보호의 방법으로서 수용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서 출발했다. '시설보호로부터 지역사회'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의 개발과 실천은 2차대전 이후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구체적으로 수용보호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여 지역사회보호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태동하였다. 이러한 지역사회보호의 태동기는 사회적 보호의 욕구를 지닌 사람들을 위해 수용시설보다 지역사회에서의 보호가 더 바람직하다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
1.2.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형성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에는 시봄 보고서의 제출 이후 지역사회 보호로 실질적인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지역사회보호의 초기 개념은 시설로부터 지역사회로 나아간다는 포괄적인 의미였으며, 지역사회보호로 실질적인 전환 계기는 시봄보고서의 제출 이후라 할 수 있다. 시봄위원회는 지방행정의 대인사회서비스 조직·책임을 검토하고 지역사회에 기초해 가족지향적인 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사회서비스 부서의 창설을 제안했다. 즉, 시봄 보고서는 지역사회에 기초해 가족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사회서비스 부서의 창설을 제안했다. 1960년 후반 사회복지서비스 부분의 주요한 정책적 근거가 된 시봄 보고서는 지방행정 당국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고용·교육, 주택당국, 경찰, 교회, 자원봉사조직, 친구, 이웃에 의한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지역사회 보호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고 모호한 개념이었기에 정권의 교체에 따른 정책이념의 변화는 지역사회 보호에 관한 정책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1.3. 발전기(1980년대 후반~현재)
1.3.1. 시기별 발달과정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의 시기별 발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 시기는 수용보호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여 지역사회보호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태동하였다. 서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역사회보호 또는 재가복지개념은 수용보호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지역사회보호는 사회적 보호의 욕구를 지닌 사람들을 위한 보호의 방법으로서 수용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서 출발했다. '시설보호로부터 지역사회'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의 개발과 실천은 2차대전 이후에 이루어졌다.
시봄 보고서의 제출 이후 지역사회 보호로 실질적인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지역사회보호의 초기 개념은 시설로부터 지역사회로 나아간다는 포괄적인 의미였으며 지역사회보호로 실질적인 전환 계기는 시봄보고서의 제출 이후라 할 수 있다. 시봄위원회는 지방행정의 대인사회서비스 조직·책임을 검토하고 지역사회에 기초해 가족지향적인 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사회서비스 부서의 창설을 제안했다. 즉, 시봄 보고서는 지역사회에 기초해 가족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사회서...
참고 자료
김보영. "영국 사회복지서비스 -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역할 분담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53.- (2006): 120-125. 영국 사회복지서비스.
鄭相陽. "영국 커뮤니티 케어의 발전 ." 社會科學硏究 5.- (1995): 221-250. 시봄 보고서에서 1989년 커뮤니티 케어 백서까지.
정자혜. "영국과 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활성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대전
김윤배, 배의식 외 3명 저,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23
조추용, 김양이 외 2명,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23
임동호, 장영은 외 2명 저, 사회복지학개론, 양서원, 2023
김흥주 저, 지역사회복지론(이론.현장.사례), 신정, 2023
노길희, 박일연 외 3명 저, 사회복지학개론, 공동체, 2023
최선희 저, 지역사회복지론(커뮤니티실천의 정체성·이론·실천사례),지식터, 2023
김보영(2015), 「베버리지 복지국가에서 캐머런정부까지」, 『한국사회복지학』 67(2),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창곤(2017), 「영국 사회복지 역사 연구의 동향과 시사점-인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학술대회』,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황정훈(2018),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의 형성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