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험성평가 (제시된 주제 중 2개 선택) 요약 제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본론
2.1.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 실무지침 개발
2.1.1. 범위와 핵심질문 결정
2.1.2. 수용개작계획의 문서화
2.1.3. 실무지침 및 관련문헌 검색
2.1.4. 검색된 실무지침에 대한 선별작업
2.1.5. 실무지침의 질 평가
2.1.6. 실무지침의 내용 평가
2.1.7. 권고의 수용성과 적용성 평가
2.1.8. 권고의 선택과 수정
2.1.9. 수용개작 실무지침 초안 작성
2.1.10. 근거수준과 권고등급 평가
2.1.11. 외부검토
2.1.12. 최종 권고안 확정
3. 결론
3.1. 결론 및 제언
3.2. 코멘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VTE 이하 VTE)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을 포함하는 것으로 입원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한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북미와 유럽의 유병률에 비하여 적은 수준이지만, 인구의 고령화와 수술 및 악성종양 등의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면서 정맥혈전색전증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VTE의 예방과 중재를 위한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엄격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의 개발과정을 따른 실무지침을 선정하고, 이를 2012년 병원간호사회에서 개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 수용개작"방법론에 기반하여 수용개작을 통한 VTE 예방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 실무지침 개발
2.1.1. 범위와 핵심질문 결정
범위와 핵심질문 결정"은 본 연구에서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연구의 초점과 방향을 설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연구의 범위와 핵심질문을 명확히 설정하여 이후의 실무지침 개발 과정이 체계적이고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운영위원회에서는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와 관련된 여러 대상자들, 즉 내과환자와 외과, 산과, 부인과, 정형외과 등의 수술환자, 암환자 및 그 외에도 정맥혈전색전증 위험이 증가된 대상자군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범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정맥혈전색전증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간호중재에 대해서도 범위를 포괄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처럼 광범위한 범위 설정은 추후 실무지침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핵심질문은 실무지침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 쟁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와 관련된 핵심 쟁점을 포괄하도록 구체화하였다. 핵심질문에는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요인 사정, 예방중재의 종류와 방법, 예방중재의 효과성과 안전성 등이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실무지침이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의 광범위한 범위 설정과 구체적인 핵심질문 도출은 이후 실무지침 개발 과정에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지침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고 볼 수 있다."
2.1.2. 수용개작계획의 문서화
수용개작계획의 문서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실무위원회에서는 수용개작 과정을 확정하고 수용개작 진행과정 일정표를 작성하였다. 즉, 실무위원회에서는 수용개작 방법, 일정, 역할 분담 등을 문서화하여 수용개작 계획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수용개작 과정을 이행할 수 있었다. 수용개작을 위한 구체적인 일정 및 각 단계별 담당자와 역할 등을 명확히 정하고 문서화함으로써 수용개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2.1.3. 실무지침 및 관련문헌 검색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 실무지침 개발을 위해 VTE 예방간호에 대한 실무지침 검색을 진행하였다. VTE 예방간호에 대한 실무지침 검색을 위해 7단계에서 결정한 범위와 핵심질문에 기초하여 검색전략을 개발하였다.
사용언어는 국문과 영문으로 하였으며, VTE 예방간호 실무지침에 대한 검색어는 "venous thromboembolism", "deep vein thrombosis", "pulmonary embolism", "prevention", "guidel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ursing"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국내외 주요 실무지침 데이터베이스와 문헌 검색 엔진을 통해 체계적인 검색을 수행하였다.
주요 검색 채널로는 영국 SIGN(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NICE(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미국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
참고 자료
조용애, 2015 근거기반실무지침 정맥혈전색전증 예방간호, 3-37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2019). 보건교육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 정혜선, 박영임(2007). 건강증진이론과 적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이현서(2015). 우리나라 비만인 성인 남녀의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배상수(2016). 건강증진의 이론과 접근방법, 계축문화사.
전국대학보건학교육협의회(2018).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방법론. 한미의학.
건강과뉴미디어센터, 노기영 외 3명 저(2020).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한울아카데미.
김명 저(2017), 보건교육과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https://ir.ymlib.yonsei.ac.kr/bitstream/22282913/128787/1/T007976.pdf : 정신과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적 갈등상황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정화 (2003)
https://konyang-my.sharepoint.com/:w:/g/personal/19802047_konyang_ac_kr/EfTG2H10tJBCqeK-COj4dAkBkNOrkrTQvYKon6s7GrVwJA?rtime=N347t9B010g : 정신과 간호사가 겪는 윤리적 갈등 상황
https://brilliantsyndrom.tistory.com/19
https://www.polarisoffice.com/d/2RQU19PP : 정신과 간호사가 하는 일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국립정신건강센터 : 우리나라 정신질환자 입원 추이 표 그림(2015년)
정신 질환 및 정신 질환자 용어 정의 : 네이버 국어사전, 네이버 영어사전
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 복지법)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강제입원 막으려다 10만 정신지환자 치료 놓칠라 : Premium Chosun
정신 병원 강제 입원 제도, 금지해야 하는가? : 중학독서평설 블로그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도덕적 민감성 및 윤리적 환경 – 정신간호학회지, 노다복(2013)
정신보건간호사의 정신질환자 돌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2018)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치료제도의 위헌성 – 경희법학연구소, 정태호(2016)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조치의 정당성 – 법과 정책연구, 박독배(2017)
정신질환자 범죄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 내 관리방안 –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안성훈(2018)
독일의 정신보건법제와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제도 – 법학논집, 박귀천(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