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을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할 때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
2.1. 원형 이론의 개념
2.2. 원형 이론의 특징
3. 한국어 어휘 교육과 원형 이론
3.1. 한국어 어휘의 특성
3.2. 원형 이론의 활용 시 장점
3.3. 원형 이론의 활용 시 단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대학 수학 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의 다양한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한 기본 토대로서 주목을 받아 왔다. 전공과목은 물론이고 대학에서 참여해야만 하는 여러 수업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업을 구성하는 어휘와 관련된 이해와 사용능력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비단 어휘 교육이 학문적인 목적을 갖는 교육에서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어휘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래서 어휘는 교육과정의 내용 중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어휘는 학습자의 몫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앞서 논한 바와 같이 어휘는 그의 활용에 있어서 범위가 넓고 중요도가 높다. 그런 만큼 체계적인 학습이 요구되는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어휘 학습과 관련된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원형 이론을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할 때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해 볼 것이다.
2.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
2.1. 원형 이론의 개념
원형 이론이란 자연 범주가 원의 모양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레이콤, 랑가커, 크루스, 테일러 등과 같은 학자에 의해 수정되었고 그 뒤 좀 더 세련된 언어이론이라는 방향으로의 언어학적 접근을 이루었다"".
기본적으로 원형 이론은 낱말이 고정된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하는데, 여기서의 낱말의 의미는 의미망으로 저장되며 해당 망구조 안에서 한 고리인 개별적인 낱말은 원형을 중심으로 하여 저장되고 이해된다"".
해당 이론에서 원형의 정의는 그 범주를 대표할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이고도 적절한, 그리고 이상적이고 좋은 보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
참고 자료
김기혁, 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 보고사, 2010.
신희삼,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2010.
구본관,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허용 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박이정, 2005.
한재영 외, 한국어교수법 , 태학사, 2006.
김기혁, 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 보고사, 2010.
구본관,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허용 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박이정, 2005.
한재영 외, 한국어교수법 , 태학사, 2006.
김기혁, 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 보고사, 2010.
구본관,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박형우, <국어 어휘 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대 청어람어문교육, 2021-12-31, VOL46
박형우, <국어 어휘 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대 청어람어문교육, 2021-12-31, VOL46